Ssd 부팅 질문입니다

며칠을 삽질하다… 도저히… ㅜㅜ
설치관련 문의드려요…

시스템은
i5 / asrock B75 PRO3
SSD 128G (삼성) 과 HDD 500G 이렇게 있는데요

우분투는 12.04, SSD 에, 파티션은 이렇게 나눴습니다.
/ 40G
/boot 100M
/home 나머지
/tmp 2G
/usr 20G
/var 2G
/swap 1G

일단, HDD 비워놨습니다.
문제는요, 부팅순서랑 기타 바이오스 설정 전부 다 확인했고, 설치는
잘 되는데 설치후에 부팅하면 검은화면에 왼쪽위에 커서만 깜빡입니다.

이것저것 해봤는데 별다른 이상은 없어 보이는데요…
혹시 저 같은 문제 있으신 분 계신가요?

참, 참고로
HDD에 /home, /tmp, /var, /swap
이렇게 하는게 더 나을듯 싶은데… 이렇게 구성해도 문제가 없을려나요?
그리고 체감상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하고요…
부팅이 안되니 해볼수가 없어서 ;;;

메인보드가 UEFI 부트로더를 사용하는 모델 같습니다.

우분투 위키에서 관련 내용을 좀 훑어 봤습니다.

https://help.ubuntu.com/community/UEFI

기존의 설치 되어 있는 운영체제가 EFI 모드로 설치 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아니면 EFI 모드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일단 바이오스 셋업에서 EFI 모드와 기존 바이오스 모드를 선택하는 부분이 있으면 그냥 바이오스 모드를 사용하도록
설정을 합니다.

Ubuntu-Secure-Remix 12.04.1 64 비트 버전이나 보통의 12.04.1 64비트 버전 이미지로 설치 합니다.
앞의 것을 추천하는 이유는 Boot-repair라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 입니다.

라이브 이미지로 부팅할 때 평소 처럼 아래쪽에 사람 그림하고 키보드 그림이 보이면
바이오스 모드로 부팅이 된 것이고 그럽 선택 화면이 뜨면 EFI 모드로 부팅이 된 것이랍니다.

설치는 원래 하던 대로 합니다. 설치 완료 후 부팅이 되지 않을 경우 다음과 같이 합니다.

다시 설치 이미지로 부팅해서 Boot-repair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Recommended repair’ 기능을 실행 합니다.

이렇게 하면 된다고 하네요.

이미 64비트 버전으로 설치 하신 경우라면 라이브 이미지로 부팅해서 Boot-repair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https://help.ubuntu.com/community/Boot-Repair

[quote:2yn2ljgs]2nd option : install Boot-Repair in Ubuntu

  • boot your computer on a Ubuntu live-CD or live-USB.

  • choose "Try Ubuntu"

  • connect internet

  • open a new Terminal (Ctrl+Alt+T), then type:

[code:2yn2ljgs]sudo add-apt-repository ppa:yannubuntu/boot-repair && sudo apt-get update[/code:2yn2ljgs]

  • Press Enter.

  • Then type:

[code:2yn2ljgs]sudo apt-get install -y boot-repair && boot-repair[/code:2yn2ljgs]

  • Press Enter [/quote:2yn2ljgs]

[quote="trebrones":sw317pyi]
SSD 128G (삼성) 과 HDD 500G 이렇게 있는데요

우분투는 12.04, SSD 에, 파티션은 이렇게 나눴습니다.
/ 40G
/boot 100M
/home 나머지
/tmp 2G
/usr 20G
/var 2G
/swap 1G
[/quote:sw317pyi]
일단 파티션을 여러 개 만들면 이후 파티션 작업을 할 일이 있을 때 복잡도만 증가 합니다.
간단하게 해도 되는데 복잡하게 할 필요가 없다는 데에는 큰 이견이 없으시리라고 봅니다.

또한 여러 파티션으로 나눌수록 공간 활용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한쪽은 공간이 빡빡한데 한쪽은 부족한 그런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힘듭니다.

이건 개인적인 경험 입니다만, 파티션 구조가 복잡할 수록 파티션 작업시에 실수할 확률이
많아 집니다. 파티션 작업시의 실수는 곧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지기 때문에 파티션 갯수를
줄이는 것을 선호 합니다.

[code:sw317pyi]/boot[/code:sw317pyi]
아주 예전에는 부팅 할 때 필요한 커널 이미지가 하드 특정 영역 안쪽(앞 쪽)에 있어야 하는
제약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루트(/) 파티션을 앞 쪽 에다 잡을 수 없는 경우 /boot 파티션을
앞 쪽에다 자그마하게 만들곤 했었습니다.

또는 여러 가지의 배포본을 설치할 경우 /boot를 공유해서 공간 활용을 조금이나마 해보려는
경우도 있지만 요즘 상황에서는 의미 없는 일이라고 생각 합니다.

또 다른 경우는 부트로더가 루트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아서 커널을 읽어 들일 수
없기 때문에 boot 파티션을 부트 로더와 호환 되는 형식으로 생성해서 이런 제약을 피해가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역시나 요즘은 거의 의미 없는 일이 되었습니다.

[code:sw317pyi]/tmp, /var[/code:sw317pyi]
왜 분리하셨는지 명확한 이유를 [b:sw317pyi]‘지금 당장’[/b:sw317pyi] 가지고 계시지 않다면 무의미한 일 입니다.
보통의 데스크탑 사용자의 경우 분리할 필요가 전혀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code:sw317pyi]/usr[/code:sw317pyi]
/home 디렉토리의 내용을 제외 하고는 루트 파티션의 사용 공간 중 80% 이상이 /usr 입니다.
루트 파티션이 곧 /usr 입니다. 딱히 나뉘어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

[code:sw317pyi]swap[/code:sw317pyi]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적극적으로 쓰시지 않는다면 비상용으로 1기가 정도 주시면 됩니다.
하이버네이션 자주 쓴다 하면 메모리 용량의 1.5~2배 정도 주시면 됩니다.

하이버네이션 졸라 잘 뻑납니다. 노트북 사용자라면 가끔 아쉬운 기능이긴 한데 잘 테스트
해보고 쓰세요. 왠만하면 잠자기(서스펜드) 기능만 쓰시길 추천 합니다.

[code:sw317pyi]/home[/code:sw317pyi]
여기는 별도로 나누길 적극적으로 추천 합니다. 윈도우즈 쓸 때 C 드라이브는 윈도우즈 하고
프로그램만 깔고 개인 자료는 D 드라이브에만 저장하 듯이 분리해두면 편합니다.

우분투 버전 업그레이드 하다 실패 했거나 기타 응급상황에서 최후의 선택은 재설치가 될
경우가 많습니다. /home을 분리해두면 이런 재설치가 간편 합니다. 기존의 루트
파티션만 포맷하고 /home은 포맷 없이 마운트 지정만 해주면 깔끔하게 재설치가 끝납니다.

사실 재설치는 재설치 자체가 어려운게 아니고 그동안 사용하던 모든 설정을 잃어 버리기
때문에 매우 귀찮은 일인데 /home 파티션만 유지해주면 거의 모든 설정이 보존 되기 때문에
아주 좋습니다.

[size=150:sw317pyi]성능[/size:sw317pyi]
위의 파티션을 별도로 나누었을 때 성능의 변화는 '없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제 생각에는 오히려 부팅, 종료 시간이 아주 약간 이나마 길어질 것 같습니다.

[size=150:sw317pyi]공간 할당[/size:sw317pyi]

저는 루트 파티션에 8~10기가 정도 주고 공간 부족 없이 몇 년 째 잘 쓰고 있습니다.

기본 설치에서 추가로 이것 저것 꽤 많이 깔아도 10기가 다 쓰기 힘듭니다. 다만 /tmp, /var 같은 곳이
가끔 예기치 않게 특정 프로그램이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쓰는 경우가 있어서 여유 공간이 좀 있는게
좋습니다. 그런 일이 자주 생기면 그 특정 프로그램의 설정을 수정해서 다른 곳을 임시 공간으로 쓰게
하면 됩니다.

[size=150:sw317pyi]결론[/size:sw317pyi]

/ = 8~10G
/home = 나머지

[size=150:sw317pyi]선택 사항[/size:sw317pyi]

가끔 다른 배포본이나 우분투 새 버전 나왔을 때 깔아 볼 용도로 6기가 정도 별도로 빼 놓습니다.
버추얼 박스 쓰면 되긴 하지만 느릴 때가 있어서 별도로 설치해 보고 싶을 때 쓸만 합니다.

500GB 하드가 별도로 있으시다고 했는데 저와 비슷한 구성 이십니다.

저는 60G SSD + 120GB HDD를 사용하는데 120GB 하드는 통채로 Videos 폴더에 마운트해서 사용 합니다.
홈 폴더 중 용량 많이 차지하는 곳이 그 곳 뿐이 없더 군요.

버추얼박스 이미지 저장 폴더도 그 곳으로 지정했었네요. 공간을 많이 먹어서.

마잇님 !!!
와…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파티션을… 나누어 놓으면 더 편하고 실용적인줄 알았는데…
이런면이 있었군요…
저녁에 집에가서 다시 한번 해보고 댓글 달겠습니다…
자세한 설명에 감동해서… 먼저 글 남겨요… ^^
감사합니다~~~~~~

kocomguard 님~!
한 15분을 멍 잡으며… 기다렸는데… ㅜㅜ
다시 한번 해보고 댓글 달께요 ~
설명 다시 한번 감사드려요 ㅎㅎ

저는 서버에 32GB SSD랑 120GB HDD 하나
그리고 파일 서비스용으로 1TB짜리 4개 2TB짜리 2개 설치해서 운용하고 있습니다.

이쯤에서 마잇님께 질문!!

저 서버는 swap없이 /boot, /, /var, /home을 따로 나눴는데요.
잘한 짓인가요?

[quote="tinywolf":1hoazt1f]저는 서버에 32GB SSD랑 120GB HDD 하나
그리고 파일 서비스용으로 1TB짜리 4개 2TB짜리 2개 설치해서 운용하고 있습니다.

이쯤에서 마잇님께 질문!!

저 서버는 swap없이 /boot, /, /var, /home을 따로 나눴는데요.
잘한 짓인가요?[/quote:1hoazt1f]

/boot와 /var, /home을 나누는건 나누는 방식에 따라 성능에 영향을 미칠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습니다.

간단히 예를 들어서 /boot의 경우 새 커널 이미지를 업데이트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부팅시마다 자동으로 마운트 해줄 필요 없고 또한 /boot파티션에 파일마다 타임 스탬프를 기록해야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많습니다. 또한 저널링이 필요 없어 ext4가 아닌 ext2를 사용하여 더 빠르고 더 적은 용량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특히 SSD를 쓰는 사용자라면 파일 i/o를 최대한 줄일 필요가 있고 /boot 파티션을 나누는건 개인적으로 강력히 권장하는 방식입니다. 마찬가지로 gentoo와 아치 리눅스 유저들도 ssd 사용자라면 noatime과 noauto 옵션을 줄 수 있게 따로 나누어 파티션 하는걸 권장하고 있기도 합니다.

/var를 나누는것은 사실 / 파티션에 밀어넣는것과 별반 효율을 보이지 않지만, 몇몇 특별한 경우 (ex: root파티션의 일부 파티션을 squashfs로 사용한다던가) 하는 경우 큰 도움이 됩니다.

나눠서 나쁠건 없지만 안 나눴다고 큰 문제가 생기는 아닌 계륵같은 존재.

/home 파티션을 나누는건 아시다시피 각종 유저 설정을 재설치시에 쉽게 공유 할 수 있다는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umask등을 따로 지정할수 있어서 추천합니다.

swap파티션은 일반적으로 있으면 좋고 없어도 메모리 용량이 충분하다면 큰 의미를 가지지 않습니다. 다만 몇가지 사유로 필요한 경우, SSD 파티션이 아닌 HDD파티션에 swap 파티션을 만들것을 gentoo에선 강력히 권장하고 있습니다. swap파티션의 경우 ssd에서 동작할경우 ssd에 잦은 i/o를 발생시키므로 사용시 주의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저는 과거에 /var이 로그와 메일정크로 가득차서 서버 자체가 뻗어버렸던 기억이 있어서…
그 이후로 부터는 서버는 꼭 /var을 나누고 있습니다.

현재 운용하고 있는 우분투 데스크탑 기반으로 설치된 서버는
/boot - ext2
/ - ext4 (과거에는 reiserfs로 사용했었지만 ext4가 안정화된 이후에는 ext4로 사용)
/var - ext4
/home - xfs
그리고 lvm으로 묶여있는 저장용 하드들은 ext4로 포맷해서 사용하고 있구요.
서버의 메모리가 8기가라서 따로 swap을 잡지는 않았습니다.

/var을 나눠도 그만 안 나눠도 그만이라니 저대로 하길 잘한 것 같군요.
설명 감사드립니다.

마잇님~!!
드뎌 부팅 했습니다…ㅎㅎ;;
시간이 안나서 좀 전부터 시도 했는데…
64bit 버젼 받고 있는도중…
갑자기 부팅메뉴에서 봤던게 생각나서… 다시 들어가 봤는데
F11 눌러서 부팅메뉴 들어가면…
USB가 두개로 잡히더군요…

USB : USB이름
UEFI : USB이름

첨엔 UEFI로 부팅해서 설치 했었는데…
이번엔 USB로 부팅해서 설치하니… 잘 됩니다…부팅도…

감사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