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 ssh 서버 설정 질문드립니다. 포트 포워딩 관련

ssh를 사용하고자 설정하였는데 도무지 접속이 되지 않아서 뭐가 잘못된건지 봐주셨으면 합니다! :)

현재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포트 포워딩으로 ssh포트 22번을 열어두었습니다.
-> 처음에는 local IP(192.~)로 외부에서 접속을 시도했었습니다.
-> 멍청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_-;
-> public IP(80.
~,현재 핀란드에 있습니다)로 접속을 시도했습니다.
->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물론 localhost로는 접속이 가능합니다.)
-> 공유기 설정을 슈퍼DMZ로 바꾸었습니다. (테스트를 위해서)
-> public IP로 접속이 성공했습니다!!! (포트 포워딩의 문제구나 확신이 들었습니다.)
-> 하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superDMZ를 사용하지 않고 포트 포워딩을 하고 싶습니다.

제가 포트 포워딩 설정이 처음이라 잘못한건가 해서 파일 첨부해 올리겠습니다~
(파일첨부를 못하고 있습니다-_-;;:wink:

[quote:2ekg5dw5]서비스포트 : 22
프로토콜 : TCP
IP주소 : 192.168.XXX.168 (local IP, 사설 IP??입력)
내부포트 : 1085[/quote:2ekg5dw5]

이거 한번 해보겠다고 공부 많이 하는것 같습니다 :)
포트 포워딩, 터널링, DHCP, 등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리눅스는 참 사람을 힘들게합니다--ㅋ
나름 쓸만큼 쓰고 있다고 생각해서, 문제가 생기면 검색을 참 잘해서, 질문할 일은 없을거라 생각했는데,
오산이었습니다-
-ㅋㅋㅋㅋ

현재상황은,

http://www.canyouseeme.org/ 에서 드디어 포트가 열린것까지 확인했습니다ㅋ

그런데 여전히 터미널에서 ssh로의 접속은 Connection refused가 뜨네요.
여전히 뭐가 또 문제일까요-_-ㅋ

안녕하세요. Seony입니다.

공유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의 각종 포트접속은 거의 대부분 공유기에서 해결이 가능한 문제입니다.
다만 그 전에 먼저 ssh 서버데몬이 올라와있는지 확인하시구요, localhost로 접속이 가능한지 테스트를 해봐야합니다.

$ sudo /etc/init.d/ssh start
$ ssh localhost

쓰신 글에서 위의 사항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하셨으니 결국은 공유기와 씨름을 하셔야합니다.
공유기에서 단순히 22번 포트를 열었다고 해서, 운영 중이신 우분투 서버의 22번 포트에 자동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구요, 어떤 내부 컴퓨터의 22번 포트로 연결시킬 것인지를 공유기에게 알려줘야합니다.

즉, 다시 말해서, 공유기에서 22번 포트를 열었다고 해서 그 공유기에 물린 모든 컴퓨터의 22번에 접속이 되는 게 아니라는 얘깁니다. 하나의 포트는 단 하나의 IP하고만 연결됩니다. 공유기 설정법을 잘 확인해보세요.
노파심에 말씀드립니다만, 우분투는 root의 ssh접속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일반 유저로 로그인하세요.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quote:3kopdaj0]서비스포트 : 22
프로토콜 : TCP
IP주소 : 192.168.XXX.168 (local IP, 사설 IP??입력)
내부포트 : 1085[/quote:3kopdaj0]

왜 내부포트가 1085이죠?
분명 ssh를 22번 포트로 열어두셨다고 적으셨는데…
보통 포트포워딩하게 되면
내부포트와 외부포트 두 가지를 설정하게 됩니다.
내부 포트는 공유기를 시점으로 해서 공유기 안의 컴퓨터를 내부 네트워크로 보고 해당 pc의 22번 포트를 내부포트로 하셔야 합니다.
외부 포트도 기억하기 쉽게 22번 할수도 있지만
외부를 9999번 주게 되면
말씀하신 공인ip의 9999번 포트로 접속하게 되면
해당 포트는 192.168.xxx.168의 22번 포트로 포트 포워딩 되는 것이죠.

[quote="엔신 ":1sc2w0ej][quote:1sc2w0ej]서비스포트 : 22
프로토콜 : TCP
IP주소 : 192.168.XXX.168 (local IP, 사설 IP??입력)
내부포트 : 1085[/quote:1sc2w0ej]

왜 내부포트가 1085이죠?
분명 ssh를 22번 포트로 열어두셨다고 적으셨는데…
보통 포트포워딩하게 되면
내부포트와 외부포트 두 가지를 설정하게 됩니다.
내부 포트는 공유기를 시점으로 해서 공유기 안의 컴퓨터를 내부 네트워크로 보고 해당 pc의 22번 포트를 내부포트로 하셔야 합니다.
외부 포트도 기억하기 쉽게 22번 할수도 있지만
외부를 9999번 주게 되면
말씀하신 공인ip의 9999번 포트로 접속하게 되면
해당 포트는 192.168.xxx.168의 22번 포트로 포트 포워딩 되는 것이죠.[/quote:1sc2w0ej]

2222포트도 22번 대신 자주 등장하는 포트같아서 일부러 1085번을 사용했는데 그게 문제가 될까요?
구글에서 포트검색을 해봤더니 따로 특정 프로그램에 쓰이는것 같지는 않아서요 :)
현재 다시 canyouseeme에서 포트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b:1sc2w0ej]아무래도 네트워크 설정에서 DHCP?? 설정을 수동(Manual)로 바꿔야 하는것 같습니다.[/b:1sc2w0ej]
[u:1sc2w0ej]이게 문제가 될 수 있나요??[/u:1sc2w0ej]
처음에는 됐는데, 다시 DHCP로 했다가, 바꾸려니 또 안되네요--;;
dyndns.com에서 ddns까지 신청했는데-
-ㅋㅋ

만약에 내부 포트를 1085 로 했다면 ssh 서버 설정에서 포트를 변경 해야 합니다.
그냥 내부 외부, 둘 다 22로 하시지 그러세요 ?
꼭 내부 아이피를 쓰는 리눅스 머신은 ssh 포트를 1085로 받고 싶으신 건지요 ?

어디서부터 잘못했는지 모르겠지만, 접속 이상무 입니다!!
오늘 학교에서 접속해보니 접속이 잘 됩니다.
간략하게 정리를 하자면,

[quote:1uup1g6r]ssh(openssh-server, openssh-client) 설치
remote desktop 설정, 접근가능하게 (->근데 이거 꼭 허용해야하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_-ㅋ)
공유기 DHCP 고정할당
공유기 포트 포워딩
공유기 원격제어 설정(의도하지 않게 DDNS까지 설정)
canyouseeme.org 에서 포트가 정상적으로 열렸나 확인
외부접속 시도.[/quote:1uup1g6r]

그런데 여전히 의문으로 남는건,

  • 지금도 DDNS로 등록한 도메인으로 외부에서 접속은 되지만, 내부컴으로 접속을 시도하면 찾지 못한다는것 - 그것때문에 안되는 줄 알고 계속 설정 바꾼건데-_-;;
  • WOL을 아직 성공 못했다는것.
  • 왜 samba랑 ftp를 사람들이 쓰는지, ssh로 sftp를 쓸수있는데 말이죠, 음 나름 생각해본건 samba 사용은 지인들에게 공유를 하기 위해서?

우분투 사용은 사람을 공부하게 하네요--ㅋ
ssh로 X11forward가 된다던데, sftp가 되는것도 신기한데 말이죠-ㅇ-
터널링이 뭔가 궁금해졌습니다-
- 포트 포워딩 알아보다가 안건데, 아직 이해가-_-;;
그리고 공개키방식을 이용한 접속까지!!!

[quote="idprayforu":3vl44obe]

  • 왜 samba랑 ftp를 사람들이 쓰는지, ssh로 sftp를 쓸수있는데 말이죠, 음 나름 생각해본건 samba 사용은 지인들에게 공유를 하기 위해서?
    [/quote:3vl44obe]

samba는 UNIX와 Windows 사이의 네트워크를 통한 리소스공유를 용이하게 해 주지요.
단순히 파일을 주고받는 ftp나 sftp와는 개념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음… 그리고, sftp보다 ftp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ftp를 많이들 사용하시나…?)
홀딱 벗겨져도 별로 창피함을 모르는(신경을 안쓰는) 대담함 때문일지도 모르겠네요~ ^^;

[quote="cswoo":cft86bzt]
samba는 UNIX와 Windows 사이의 네트워크를 통한 리소스공유를 용이하게 해 주지요.
단순히 파일을 주고받는 ftp나 sftp와는 개념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음… 그리고, sftp보다 ftp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ftp를 많이들 사용하시나…?)
홀딱 벗겨져도 별로 창피함을 모르는(신경을 안쓰는) 대담함 때문일지도 모르겠네요~ ^^;[/quote:cft86bzt]

대담함ㅋㅋ 그런가요-
samba가 단순히 파일공유만 하는 줄 알았던 제 얕은 지식때문이었네요-ㅋ
지금 document를 보니 samba

[quote="cswoo":30ykysfe]
samba는 UNIX와 Windows 사이의 네트워크를 통한 리소스공유를 용이하게 해 주지요.
단순히 파일을 주고받는 ftp나 sftp와는 개념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음… 그리고, sftp보다 ftp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ftp를 많이들 사용하시나…?)
홀딱 벗겨져도 별로 창피함을 모르는(신경을 안쓰는) 대담함 때문일지도 모르겠네요~ ^^;[/quote:30ykysfe]

대담함-ㅋㅋ
samba가 단순 파일공유인 줄 알았던 얕은 지식때문에 이렇게 무식한 질문을 했네요-_-ㅋ
언젠가 samba도 갑자기 공부하고 싶은 날이 오면 그때 제대로 알겠지만,
잠깐 검색해보니 복잡한걸 간단히 해주는군요-ㅋ

아무래도 전 ssh를 설치한 지금 노트북이 데스크탑이 될것 같네요-ㅋㅋ
x11 forwarding도 시도해봤는데, 엄청 신기합니다-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