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do 명령어에 대한 궁금증이 잇습니다

안녕하세요 ^^

우분투 초보입니다… 궁금증을 말씀드릴게요!

먼저

sudo apt -get 막 이렇게 하는거랑…

sudo setpci -s 00:02.0 F4.b

이런거 구분을 어떻게하는건가요?

도대체 이런 긴것들을 어떻게 다외우는거죠…;

전반적인 궁금증입니다 ㅠㅠ

뭐하나를 할려도 명령코드가 엄청기니까요…

명령어를 이해하면 됩니다.(정말 길고 자주 쓰이지 않는 명령어라면 어디 적어두든지 해야지요 :mrgreen: )
명령어를 칠 때는 스페이스바를 기준으로 구분을 하는데요
보통은 첫 단어가 명령어이고 그 뒤부터는 명령어가 받는 인수입니다.(용어가 정확한지는 모르겠네요;:wink:
각 명령어의 도움말은 '(명령어) /?'나 '(명령어) --help’혹은 'man (명령어)'를 치시면 나옵니다.
각 명령어가 무엇인지 궁금하시면 궁금하시면 직접 도움말을 찾아보세요 ;)

질문 내용에 들어간 것 중 sudo와 apt-get에 대해 설명을 해 드리자면
sudo는 관리자 권한(슈퍼유저 권한, 루트 권한)을 얻어서 인수로 오는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명령어입니다.
apt-get은 패키지를 관리하는 명령어인데, 관리자 권한이 있어야 쓸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주로 쓰이는 인수는 install (패키지 이름), remove (패키지 이름) 등이 있습니다.

일차적으로… 자주 쓰는거 아니면 다 안외웁니다;; 그건 당연한거지요.

그리고 체계를 모르셔서 "길다" 고 느끼시는데… 저런 것 대부분은 각각 짧은 명령어들의 조합인겁니다. 의미를 알면 외우지 않아도 되는거죠. 예를 들어, 가장 자주 쓰게 되는 것 중 하나인 프로그램 인스톨 명령어의 경우는

sudo apt-get install [프로그램 이름]

가 되는데, sudo (관리자 권한 실행 프로그램) + apt-get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 + install (명령) + 프로그램 이름. 이렇게 해야 하는 작업의 순서대로 그냥 입력해 주는 것 뿐입니다. 문장으로 치는거랑 큰 차이 없어요.

sudo apt-get install [프로그램 이름]

이 명령어는 리눅스가 깔려있는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을 불러와 인식하는게 아니라

인터넷에 떠도는걸 os가 잡아와서 설치하는거죠?

그리고 우분투 10.10에서는

안깔려있는 프로그램을 예를들어 xflux 같은

걸 터미널에

xflux 라고 치면

[ 아래 명령을 치면 xflux를 설치하실수 있습니다 ]

이렇게뜨던데요

[size=150:2iubft62]원리[/size:2iubft62]가 뭔지 궁금합니다…

윈도우 쓰다가 써봣는데 신기하기도하고

os가 인터넷에서 잡아와서 컴퓨터에 설치하는거 맞나요?

sudo apt-get

이 명령어는 리눅스가 깔려있는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을 불러와 인식하는게 아니라

인터넷에 떠도는걸 os가 잡아와서 설치하는거죠?

그리고 우분투 10.10에서는

안깔려있는 프로그램을 예를들어 xflux 같은

걸 터미널에

xflux 라고 치면

[ 아래 명령을 치면 xflux를 설치하실수 있습니다 ]

이렇게뜨던데요

원리가 뭔지 궁금합니다…

윈도우 쓰다가 써봣는데 신기하기도하고

os가 인터넷에서 잡아와서 컴퓨터에 설치하는거 맞나요?

sudo : 관리자 권한 임시획득
apt-get : 패키지 목록을 인터넷상 저장소를 통해 받고 목록을 업데이트하고 => update
저장소에 새로 업데이트된 패키지가 있는지 확인하고 => upgrade
업데이트된 목록을 통해 패키지를 찾아 설치하는 등… => install

패키지 업데이트를 관리하고 설치/제거 하는 명령입니다.
인터넷이 연결되어있어야 설치/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소프트웨어 소스에 저장되어있는 목록을 통해 업데이트를 확인하고 새 패키지를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인터넷에 떠돌고 있다기 보다는 서버에 저장해뒀다 꺼내쓰는거로…

sudo와 같은 명령어는 /bin과 같은곳에
저장이 되어있고요…

없는 프로그램을 입력했을때
'sudo apt-get install 어쩌구~~'를
입력하라고 나오는 것은 저장소에 저장된 주소에서 탐색해서
나오는 것 같습니다…

[quote="BBang":2nhq8kna]
안깔려있는 프로그램을 예를들어 xflux 같은

걸 터미널에

xflux 라고 치면

[ 아래 명령을 치면 xflux를 설치하실수 있습니다 ]

이렇게뜨던데요

원리가 뭔지 궁금합니다…

[/quote:2nhq8kna]

명령어가 안 될 경우
command-not-found 패키지의 기능으로
command-not-found-data 의 정보를 참고하여 보여 줍니다.

[quote="BBang":1p8gi3hc] 터미널에

xflux 라고 치면

[ 아래 명령을 치면 xflux를 설치하실수 있습니다 ]

이렇게뜨던데요

[size=150:1p8gi3hc]원리[/size:1p8gi3hc]가 뭔지 궁금합니다…

윈도우 쓰다가 써봣는데 신기하기도하고

os가 인터넷에서 잡아와서 컴퓨터에 설치하는거 맞나요?[/quote:1p8gi3hc]

우분투는 기본적으로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라는 곳에서
우분투에 설치가 가능한 거의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apt-get명령어를 이용하면 그곳에 모여있는 프로그램 목록을 뒤져서
설치하라고 명령한 프로그램을 가져오는 식입니다
OS가 인터넷을 뒤져서 찾아오는게 아니라
공식 서버에 파일들을 죄다 모아놓고 거기서 바다오는 식인거죠

소프트웨어센터는 기본적으로 우분투에 공식적으로 검증된 프로그램들만 올려놓는데요
따라서 없는 프로그램들이 몇몇 존재한다거나 최신버전이 아니거나 할 수 있습니다
그럴경우에는 "저장소"라고해서 다른 서버의 주소를 등록해주면
apt-get을 입력했을때 다른 저장소의 파일들도 뒤져다가 설치해주게 됩니다

아니면 인터넷상에서 deb라는 확장자의 파일(우분투/데비안용 패키지파일)들을 다운받으셔서 그냥실행하시면
윈도우의 설치파일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설치가 진행됩니다

참고로 apt-get 이라는 명령어와 유사한 명령어인 aptitude라는 명령어도 있습니다
apt-get의 발전형이라고 보시면 되요
간혹 apt-get이 의존성 문제로 설치가 막히는 경우가 있는데
aptitude로 입력하면 잡아주더라구요
사용법은 똑같이
sudo aptitude install ~~~~입니다.

단, sudo apt-get install aptitude를 먼저 입력해서 aptitude를 설치하시는게 먼저입니다.

아 덧붙여서

http://www.getdeb.net http://www.playdeb.net

이 사이트들에서는 우분투용 각종 프로그램들을 소개하고 설치할수 있게 해줍니다.
getdeb은 각종 유틸리티들을, playdeb은 각종 게임들을 제공합니다

우분투용 패키지가 따로 없거나 완전 최신버전의 패키지들도
컴파일해서 바로 설치할수 있는 형태로 배포해주는 사이트입니다

접속하셔서 설명서(영어) 한번 읽어보시면 쉽게 이용하실 수 있어요
특히 각종 미니게임들 받을때 매우 유용하게 쓸수 있지요

[quote="BBang":3ql0pwnl]안깔려있는 프로그램을 예를들어 xflux 같은 걸 터미널에

xflux 라고 치면

[ 아래 명령을 치면 xflux를 설치하실수 있습니다 ]

이렇게뜨던데요

[size=150:3ql0pwnl]원리[/size:3ql0pwnl]가 뭔지 궁금합니다…[/quote:3ql0pwnl]
위 메시지를 띄우는 프로그램도 따로 있습니다. 이름은 기억이 안 나는데 아마 소프트웨어 저장소 추가시 등에 미리 목록을 만들어 두는게 아닐까 합니다.

음… 저도 사족을 달자면…

sudo apt-get install 어쩌구 입력하실 때

sudo apt-g(탭) ins(탭) 하시면 자동완성 됩니다…

그러니깐 진짜 하고 싶은 말은…

끝까지 다 안 외우셔도, 치셔도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라는거죠.

음 그렇구나 '한개를 알려주면 열개를 알수 있다’처럼 여긴 ‘한개를 물어보면 열개를 알려주는구나’
참 그렇다면 근간에 나온책이 이런 내용들을 다 포함해서 만든것 인가요?
(아직 그 책을 보지 못해서 궁금하네요.)

[quote="풋상":3o0j4b6f]참고로 apt-get 이라는 명령어와 유사한 명령어인 aptitude라는 명령어도 있습니다
apt-get의 발전형이라고 보시면 되요 간혹 apt-get이 의존성 문제로 설치가 막히는 경우가 있는데
aptitude로 입력하면 잡아주더라구요
사용법은 똑같이
sudo aptitude install ~~~~입니다…[/quote:3o0j4b6f]
의존성 때문에 막힐 순 없을텐데요… apt-get 과 aptitude는 의존성에 있어선 같은 정보에 의존하고 있다고 압니다. 어떤 패키지가 그렇던가요?

aptitude가 apt시리즈의 발전형이긴 합니다. 지금이야 apt-get도 자기가 깐 패키지들을 관리하고 지울때 의존성 패키지들도 같이 지우지만 예전에는 aptitude밖에 그걸 하지 못했지요. 더불어 apt-get apt-cache apt-file 등의 기능들을 하나로 묶어서 명령어들이 좀 더 일관성을 가진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apt-get도 의존성 패키지들을 관리하고 함께 지우는 기능을 가지게 되어서 둘 사이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습니다. 아마도 실 사용에 있어서 가장 큰 차이는 aptitude는 recomnends도 같이 깔아버리니까 문제가 일어날 일이 적어지긴 한다는 거지만 이건 반대로 말해서 쓸데없을지도 모르는 패키지도 깔게 된다는 소리기도 해서…

뭐, 이것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문제는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가 apt-get을 쓴다는 겁니다. 이러는 이상, 패키지 관리를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를 전혀 활용하지 않고 aptitude만으로만 하실게 아니면 aptitude 사용은 자제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유인 즉, 위에도 말씀드렸지만 두 프로그램은 패키지를 지울때에 의존성도 같이 지워주기 위해 자기가 깐 패키지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데, 이 정보가 둘 사이에 공유되지 않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서로 섞어 쓰게 되면 자기가 뭘 깔았고 뭘 지워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얽히게 된다는 건데 보통은 별 문제 없지만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는거죠.

우분투에서 더 이상 Aptitude를 기본으로 내장시키지 않는 이유도 이거라고 알고 있습니다. aptitude는 libapt 을 필요로 하는데, 이게 apt패키지 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apt-get 역시 그 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apt-get 없이 aptitude만 존재하는게 불가능한거죠.

[quote="Vulpes":1sgeu8tc]
의존성 때문에 막힐 순 없을텐데요… apt-get 과 aptitude는 의존성에 있어선 같은 정보에 의존하고 있다고 압니다. 어떤 패키지가 그렇던가요?[/quote:1sgeu8tc]

김프를 설치하고 있었는데 apt-get에서 의존성관련한 오류메세지를 출력하면서 설치가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이곳저곳 열심히 검색해보면서 찾아보았는데 결국 해결하지 못했었습니다(제 실력이 부족한 탓이었겠습니다만…)
그때 혹시나…하는 생각으로 aptitude를 써보았는데 아무렇지 않게 설치가 성공하더라구요
그날이후로 aptitude를 주로 사용하는 편입니다…만
사용을 자제하는편이 낫겠네요

그리고 10.10이었던가요… 최근버전부터는 autitude는 기본 페키지에서 빠진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번에 쳤더니… 깔라고 친절히 말해주더군요^^…

그리고 우분투의 경우엔… 소프트웨어 센터가 잘되어있어서 그렇게 터미널에 들어오실 일이 없으시지요^^…ㅎㅎㅎㅎ;;;

떠돌이님께서 작성하신 책이라면 다 들어가있을껍니다…
저도 아직 보지는 못했지만. 초심자들에게 필요한 … GUI환경들은 다 해놓으셨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