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 공개SW 활성화 방안 요약 및 질의사항

"개방형OS"라는 신조어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웠는데,
정보를 조금 검색해 보니깐 그게 뭔지 구체적으로 보이는 것 같습니다.

*** 참고 정보

  1. 정부가 주도한 리눅스OS, 누가 쓰나? (ZDnet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 ... 0002062071
  2. 2014년 NIPA 공개SW 지원사업 내역

    http://www.oss.kr/oss_business10_60
  3. 하모니커 프로젝트 홈페이지

    http://hamonikr.org/

하모니커 프로젝트라는게 뭔가 싶어 살펴보니깐
한 군데의 소규모 개발업체(개발자?)에게 개발기간 4개월 주고
리눅스 한글화 환경 만들어내는 건데, 어떻게 했나 보니깐

(1) 리눅스 민트 메이트 버전 사용
(2) 한글 환경이나 눈에 띄는 자잘한 버그 잡아주고
(3) 자동번역기를 사용해서 배포판을 먼저 자동번역하고
(원래의 리눅스 민트 자체가 한글화가 잘 되어 있는데, 어느 부분을 얼마나 더 번역하는건지는 모르겠군요)
(4) 난 후에 스크립트로 ISO배포본으로 자동 빌드해 주기

이렇게 하는가 보더군요.

프로젝트 모집 공고는 5월에 냈는데
실제 일은 8월부터 시작했고
(공고후 선정심사과정에 1~2개월 잡아먹고, 선정후 협약하는데 1개월 이상 잡아먹지요)
완료는 11월에 끝나도록 되어 있지만
정부과제 특성상 실제 엔지니어링적인 일은 10월말에 완료가 되어야 겠지요.
따라서 실제 주어진 개발기간은 3개월 정도로 추산됩니다.
(나머지 1개월은 행정처리 등에 소모되는 기간임)

개발비용은 2억5천만원이군요.
소프트웨어 과제이므로 직접비 비율을 따지고, 그게 아마 전액 인건비라고 가정하면
대충 감으로 볼 때 중급개발자 3~5명 정도 투입한 걸로 과제계획을 제출하지 않았나 추측됩니다.

꼴랑 4개월짜리 단발성 프로젝트지만 기간에 비해 금액이 비교적 높다고 생각됩니다.
(세금낭비라고 비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개발비를 업체 사장님 혼자 다 먹지 마시고
실제 개발에 참여한 개발자들에게 최대한 온전하게 돌아갔으면 합니다.)

리눅스 민트 현재버전을 자동번역해서 빌드해 주는 스크립트 시스템을 만드는게 사실
일거리가 얼마나 될지는 가늠하기 힘들다고 사료됩니다.
(원래 개발이라는게, 구현 자체는 간단하고 쉽더라도,
안정성 확보나 디버깅 등의 팔로우업 과정에서 얼마나 리소스를 할당하느냐에 따라 크게 규모가 달라지기 때문이죠.
자동번역하는 스크립팅까지 들어가는 것 같은데, 번역 퀄리티는 안 좋더라도 중간에 뻑 안나고
종료까지 순탄하게 잘 작동되게 하기도 상당히 삽질이 많이 필요하지 않을까 추측해 봅니다.)

아무튼 여기서 한글화된 리눅스 민트 버전의 배포본이 나오는가 본데
나중에 시간나면 한 번 깔아봐야 겠습니다.

근데 정부과제가 항상 그렇듯이
이 과제 역시 철저하게 단발성 과제이군요.
용역회사 한군데 잡아다가 대충 인건비 적절히 부풀려서 이윤 남기게 해 주고
공무원은 "개방형OS" 개발했다고 실적 만들고
그렇게 "개발"된 "개방형OS"는 역시 또 잊혀져 가겠지요.

리눅스 민트가 업데이트 되어갈텐데 그걸 지속적으로 따라가면서 관리하는 프로젝트가 아니니까요.
그냥 2억5천주고 리눅스 민트 한글 환경 좀 손 봐주고 프로젝트 종료.

정부에서 하는 "개방형OS"가 이렇죠.
예전에 부요리눅스인가 뭔가 할 때도 단발성 과제 하고 종료되니까 그냥 싹 다 접어버리던데
정부관료들에게 "지속가능성[서스테이너빌리티]"라는 개념이 아직 주입이 안 되어 있나 봅니다.
영리든 비영리든 간에 그게 지속가능하냐 하는게 가장 중요할텐데
이런 사업은 그냥 데모만 하고 끝내면 되는 거라고 생각하고
지속성은 아예 따지지를 않았나 봅니다.

암튼 다 되고 나면
대한민국의 천민 계급인 '군대 사병들’이 사용하는 PC의 윈도우를 다 지우고 이걸로 싹 다 깔아버리겠다는 심산 같군요.
요즘 젋은 사병들이 PC를 가지고 뭘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추측컨데 윈도우용 게임 같은건 이제 쫑 나는 건가요… (사병들이 게임 안한다면 별 상관 없겠죠)
조류독감 퍼져서 닭이 집단 폐사하면 갑자기 군부대 사병들의 급식에 닭고기가 많아지는 것과 동일한 메커니즘 같습니다.
아니면, 최근에 MS사에서 국방부에 윈도우 및 오피스 라이센스료를 거액 청구했다가 국방부한테 쫑크(?)먹고 데꿀멍 했던 사건이 기억나는데
그 이후에 국방부에서 민감도가 높지 않은 사병들 휴식용 PC에 리눅스로 깔아버리자라고 어떻게 NIPA랑 이야기가 되었을지도 모르고요.

아무튼 각설하고

그래서 정부가 하면 실패한다고 생각됩니다.

이건 그냥…
개방형OS "개발"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허접하고
개방형OS 확산 "사업"이라고 하기에도 너무 빈약하고
개방형OS 설치 "모범사례" 정도 하나 만들어보는 정도 수준 같애요.

[quote="dymaxion":mbi0v18k]"개방형OS"라는 신조어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웠는데,
정보를 조금 검색해 보니깐 그게 뭔지 구체적으로 보이는 것 같습니다.

*** 참고 정보

  1. 정부가 주도한 리눅스OS, 누가 쓰나? (ZDnet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 ... 0002062071
  2. 2014년 NIPA 공개SW 지원사업 내역

    http://www.oss.kr/oss_business10_60
  3. 하모니커 프로젝트 홈페이지

    http://hamonikr.org/

하모니커 프로젝트라는게 뭔가 싶어 살펴보니깐
한 군데의 소규모 개발업체(개발자?)에게 개발기간 4개월 주고
리눅스 한글화 환경 만들어내는 건데, 어떻게 했나 보니깐

(1) 리눅스 민트 메이트 버전 사용
(2) 한글 환경이나 눈에 띄는 자잘한 버그 잡아주고
(3) 자동번역기를 사용해서 배포판을 먼저 자동번역하고
(원래의 리눅스 민트 자체가 한글화가 잘 되어 있는데, 어느 부분을 얼마나 더 번역하는건지는 모르겠군요)
(4) 난 후에 스크립트로 ISO배포본으로 자동 빌드해 주기

이렇게 하는가 보더군요.

프로젝트 모집 공고는 5월에 냈는데
실제 일은 8월부터 시작했고
(공고후 선정심사과정에 1~2개월 잡아먹고, 선정후 협약하는데 1개월 이상 잡아먹지요)
완료는 11월에 끝나도록 되어 있지만
정부과제 특성상 실제 엔지니어링적인 일은 10월말에 완료가 되어야 겠지요.
따라서 실제 주어진 개발기간은 3개월 정도로 추산됩니다.
(나머지 1개월은 행정처리 등에 소모되는 기간임)

개발비용은 2억5천만원이군요.
소프트웨어 과제이므로 직접비 비율을 따지고, 그게 아마 전액 인건비라고 가정하면
대충 감으로 볼 때 중급개발자 3~5명 정도 투입한 걸로 과제계획을 제출하지 않았나 추측됩니다.

꼴랑 4개월짜리 단발성 프로젝트지만 기간에 비해 금액이 비교적 높다고 생각됩니다.
(세금낭비라고 비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개발비를 업체 사장님 혼자 다 먹지 마시고
실제 개발에 참여한 개발자들에게 최대한 온전하게 돌아갔으면 합니다.)

리눅스 민트 현재버전을 자동번역해서 빌드해 주는 스크립트 시스템을 만드는게 사실
일거리가 얼마나 될지는 가늠하기 힘들다고 사료됩니다.
(원래 개발이라는게, 구현 자체는 간단하고 쉽더라도,
안정성 확보나 디버깅 등의 팔로우업 과정에서 얼마나 리소스를 할당하느냐에 따라 크게 규모가 달라지기 때문이죠.
자동번역하는 스크립팅까지 들어가는 것 같은데, 번역 퀄리티는 안 좋더라도 중간에 뻑 안나고
종료까지 순탄하게 잘 작동되게 하기도 상당히 삽질이 많이 필요하지 않을까 추측해 봅니다.)

아무튼 여기서 한글화된 리눅스 민트 버전의 배포본이 나오는가 본데
나중에 시간나면 한 번 깔아봐야 겠습니다.

근데 정부과제가 항상 그렇듯이
이 과제 역시 철저하게 단발성 과제이군요.
용역회사 한군데 잡아다가 대충 인건비 적절히 부풀려서 이윤 남기게 해 주고
공무원은 "개방형OS" 개발했다고 실적 만들고
그렇게 "개발"된 "개방형OS"는 역시 또 잊혀져 가겠지요.

리눅스 민트가 업데이트 되어갈텐데 그걸 지속적으로 따라가면서 관리하는 프로젝트가 아니니까요.
그냥 2억5천주고 리눅스 민트 한글 환경 좀 손 봐주고 프로젝트 종료.

정부에서 하는 "개방형OS"가 이렇죠.
예전에 부요리눅스인가 뭔가 할 때도 단발성 과제 하고 종료되니까 그냥 싹 다 접어버리던데
정부관료들에게 "지속가능성[서스테이너빌리티]"라는 개념이 아직 주입이 안 되어 있나 봅니다.
영리든 비영리든 간에 그게 지속가능하냐 하는게 가장 중요할텐데
이런 사업은 그냥 데모만 하고 끝내면 되는 거라고 생각하고
지속성은 아예 따지지를 않았나 봅니다.

암튼 다 되고 나면
대한민국의 천민 계급인 '군대 사병들’이 사용하는 PC의 윈도우를 다 지우고 이걸로 싹 다 깔아버리겠다는 심산 같군요.
요즘 젋은 사병들이 PC를 가지고 뭘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추측컨데 윈도우용 게임 같은건 이제 쫑 나는 건가요… (사병들이 게임 안한다면 별 상관 없겠죠)
조류독감 퍼져서 닭이 집단 폐사하면 갑자기 군부대 사병들의 급식에 닭고기가 많아지는 것과 동일한 메커니즘 같습니다.
아니면, 최근에 MS사에서 국방부에 윈도우 및 오피스 라이센스료를 거액 청구했다가 국방부한테 쫑크(?)먹고 데꿀멍 했던 사건이 기억나는데
그 이후에 국방부에서 민감도가 높지 않은 사병들 휴식용 PC에 리눅스로 깔아버리자라고 어떻게 NIPA랑 이야기가 되었을지도 모르고요.

아무튼 각설하고

그래서 정부가 하면 실패한다고 생각됩니다.

이건 그냥…
개방형OS "개발"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허접하고
개방형OS 확산 "사업"이라고 하기에도 너무 빈약하고
개방형OS 설치 "모범사례" 정도 하나 만들어보는 정도 수준 같애요.[/quote:mbi0v18k]

2억 5천만원을 차라리 고층 빌딩에서 아래로 뿌리는게 나을 겁니다. 수많은 사람의 하루를 행복하게 할테니까요. 무슨 일을 얼마나 열심히 했는지 모르겠지만, 민트 17 한글판 firefox 메뉴는 한글로 나옵니다. 하모니카 0.7에서 firefox 한번 써 보세요. 이렇게 세금을 낭비하면서 돈 없다고 증세한다고 난리니…즛즛~~

[url:mbi0v18k]http://www.ubuntu-kr.org/viewtopic.php?f=4&t=27229[/url:mbi0v18k]
위 검댕소년 님의 글에 달았던 댓글을 여기데 다시 달아봅니다.

[quote:mbi0v18k]이것이 한국형 오픈 os 베타 버젼이 맞나요? 그렇다면, 정말 실망스럽습니다. 다른 것은 몰라도 한글화 작업, 한글 사용에는 별 불편이 없지 않을까 기대했는데… 전혀 아니네요. 리눅스 민트/메이트 한글판에 더해 놓은 게 무었인가요? 한글 설정 다시 하지 않고 그대로 써도 control+space로 한/영 전환 가능한 것? 한/영키로 한영 전환이 되는 것도 아니고…

설치할 때부터 조짐이 나빴습니다. 버튼에는 한글로 나오지만, 패널에 주는 안내 메세지는 모두 영어이더라구요. 설치하고 나서, Firefox를 열어보니 메뉴를 포함하여 모든 것이 영어이고, 영어가 기본 설정이고, 게다가 Forefox 28 버젼이고… 메신저 프로그램도 마찬가지…

저게 한국형 오픈 os 어쩌구라면, 세금이 투입되었을 것인데 (아닌가요?), 뭘 했다는 건지 저는 모르겠습니다. 평소에 민트/메이트 한글판 잘 아시는 분들은 한번 보아주세요. 우분투의 한글화 정도를 고려하면 한국형 os라고 부를 수 없을 것 같군요. 또 "베타"라는 말 뒤에 숨으려 할래나? "베타"는 "알파"가 아니죠? 곧 릴리스 될 것이라는 뜻이잖아요?

초등학생에게 사용하게 한다는 것은 택도 없습니다. 초등학생이 사용하지 못할 것을 한국형 os라 부를수는 없죠.
[/quote:mbi0v18k]

흠…
단발성 4개월짜리 프로젝트로 뭔가 대단한 결과물이 나올거라고 기대할 수는 없겠죠.
너무 심한 결과물만 아니기를 바랄 뿐입니다.
조금 걱정이 되어서 하모니커 프로젝트 홈페이지에 코멘트를 나름대로 남겨놓고 왔습니다.
환경이 좋지 않은건 알지만 사명감을 가지고 엔드유저들을 잊지 말아달라는 요지였습니다.
이 프로젝트로 인해서 상황이 확 바뀌거나 굉장한 진보가 있거나 하는 기대는 애초에 아무도 안 할 것 같습니다.
다만 약간의 성과가 있기를 바라는데요.
단발성 프로젝트는 이쯤에서 그만하고 지속성이 있는 지원 모델이 어떤 것이 있을지
심각하게 연구해 볼 때가 아닌가 싶군요.
대안과 해결책을 찾아서 공무원 책상 앞에 팡 던져줄 수 있는 상황이 되기를 바랍니다.

정부지원에만 의존해서는 지속성을 가지는 것이 불가능하죠.
또 정부지원에만 의존해서는 정부의 입김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한국내 소프트웨어 기업들과 국책연구소들이 모여서 비영리재단 같은걸 만드는 형태도 나쁘지 않을 것 같은데…
재단에서 표준 통합 배포본 개발을 지속적으로 계속 하고요.
그렇게 덩치가 있고 안정감이 있게 된다면
엔드유저들도 모여들어서 여러가지 재미있는 활동이나 결실들도 나올 수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삼성전자 같은 회사가 그런 역할을 해 주면 좋을텐데
그들은 시야가 너무 단기적인 성향이 강해서 중장기적인 연구개발을 하는 체질은 아니더군요.
오픈 이노베이션 연구개발 모델도 스스로 정립하고 있지 못한 상태 같구요.
우리나라 기업들 전반적인 성향이 그렇기도 하고요.
뭐 아직 뚜렷한 해결책은 저도 없지만 여러 사람들이 토론하다 보면 꽤 좋은 방법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요?

os만들기 이전에 정부 홈피에 있는 엑티브x 부터 걷어내는게 우선아닌가요.

주민등록등본 하나 못뽑는 OS가 어찌 정부주도 OS란 말인지.

왜 항상 일을 거꾸로 해나가는 걸까

http://hamonikr.org/

[quote="k9200544":aophxt6n]웃자고 하는 이야기입니다.

한글화만 본다면 북한 OS 인 붉은별 선택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quote:aophxt6n]

웃긴데 웃을수가 없습니다…

[quote="인생유람":3g8w4p5x]http://hamonikr.org/ 사이트 열리나요 ?
저는 (뉴욕에서는) 안 열리네요…
ㅎㅎ… 단발성 사업에 너무나 많은 기대를 한걸까요 ?[/quote:3g8w4p5x]한국에 있는 저는… http://hamonikr.org 까지는 잘 됩니다만 메뉴중 커뮤니티 클릭하니 Not found라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