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리눅스를 우분투로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제가 배울적 포트가 연결되는 방식에는 tcp와 udp가 있고
tcp는 3-way 방법을 이용한 연결기반에 신뢰성있는 정보를 전송에 이용하고
udp는 비연결기반의 비신뢰적(?)이라고 말할수 있는 전송에 이용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http 의 경우 udp 기반의 비신뢰전송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etc/services 의 내용을 보면 http의 경우에는 같은 포트번호에
tcp, udp가 모두 같이 설정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service는
DNS 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netstat -ntlp 를 통해 관찰하면
http 서비스를 담당하는 apache2 에서는 Proto 가 tcp로 되어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가끔 인터넷 서핑을 하다보면 css가 전송중에 문제가 발생해 깨졋거나 html문 일부분의
받는데 문제가 발생해 페이지 일부분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는 부분이
udp 기반의 http서비스에서 볼수 있는 현상이라고 계속 생각해 왔는데
제가 잘못 알고있는 것인지 선배님들의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quote:hb6mbhec] HTTP communication usually takes place over TCP/IP connections. [b:hb6mbhec]The
default port is TCP 80 [/b:hb6mbhec][19], but other ports can be used. This does
not preclude HTTP from being implemented on top of any other protocol
on the Internet, or on other networks. HTTP only presumes a reliable
transport; any protocol that provides such guarantees can be used;
the mapping of the HTTP/1.1 request and response structures onto the
transport data units of the protocol in question is outside the scope
of this specification.
[/quote:hb6mbhec]
http://www.ietf.org/rfc/rfc2616.txt
[quote="ihavnoth":1wfiekfa][quote:1wfiekfa] HTTP communication usually takes place over TCP/IP connections. [b:1wfiekfa]The
default port is TCP 80 [/b:1wfiekfa][19], but other ports can be used. This does
not preclude HTTP from being implemented on top of any other protocol
on the Internet, or on other networks. HTTP only presumes a reliable
transport; any protocol that provides such guarantees can be used;
the mapping of the HTTP/1.1 request and response structures onto the
transport data units of the protocol in question is outside the scope
of this specification.
[/quote:1wfiekfa]
http://www.ietf.org/rfc/rfc2616.txt[/quote:1wfiekfa]
제가 단단히 잘못알고있었네요!! 조언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