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컴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안녕하십니까?
오래간만에 뵙습니다.

그런데 뜬금없이 한컴에 대한 생각이라는 글을 쓰게 되었냐면…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사랑(?)과 질타를 받았던 한글이라는

소프트웨어를 만든 한컴이라는 회사가 저리 매각되니 답답해서

한 마디 써보렵니다.

제가 알기로 한글이 출시된 지는 20년 가까이 되었다고 기억합니다.

당시에는 한글을 지원하는 워드프로세서가 마땅한게 없었죠.

삼보에서 나온 보석글 부터 시작해서, 금성 (구, LG) 에서 나온

하나워드프로세서(+ 하나스프레드시트) 류 정도가 전부였죠.

이런 상황에서 한글의 등장은 그야말로 센세이션(?) 이죠.

하지만 한컴은 거기까지가 끝이었다고 봅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한컴은 97년 MS 매각 파동 때 이미

회사의 '기조’를 ‘완전히’ 인터넷 기반으로 바꿔야 마땅했다고 봅니다.

기조(?) 라고 하니, 회사에서 뭔 기조? 라고 하실 수도 있으시겠지만,

어떤 사람이든지 조직이 있던지 간에 자신의 존재의 이유가 명확하지 않으면

존재할 가치가 없겠죠…

그걸 미리 아시고 이찬진 씨가 드림위즈를 세우신 건지도 모르지만요.

만일 인터넷 기반으로 바꾸고 싶지 않았다면 미리 HWP 형식을 국제표준형식으로

등록하고 공개 했어야 한다고 봅니다.

하지만 최근의 소식을 듣자하니 HWP 공개 방법을 완전한 오픈소스가 아닌

제한된 형태의 공개를 선택했다고 하더군요.

이러한 사업모델은 결국 한컴에게 ‘결단코’ 득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한컴타자연습의 글 중에 이런 글이 있었다고 기억하는데요

‘국민들의 타자실력 향상을 통해 더 많은 정보교류…’

네, 맞습니다. 하지만 그 이전에 그 동안 국민들의 정보교류를

한컴이 방해하지 않았나 먼저 생각해보는 것을 어떨런지요…

글을 맺으면서 저도 80년대 말부터 XT를 썼으니 컴퓨터 역사의

증인이라고 해도 될런지는 모르겠지만,

또한 ‘뭣도 모르는 게 시건방지게 글을 쓴다.’ 라고 하실 수도 있겠지만

한컴과 같은 국민기업(?)이 이렇게 매각과 구설수에 휘말리는 것이

안타까울 뿐입니다. 그래도 한컴의 성공을 보면서 벤처를 시작하신 분들

또 그런 성공을 보면서 꿈을 꾸는 IT의 말학후배들도 있지 않겠습니까?

저는 이러한 혼란이 조속히 해결되기를 바랍니다.

그래야 한국 IT가 그래도 ‘살아있다’ 라는 증표라도 될테니 말입니다.

또한 한컴 역시 지나친 문서형식 독점이 아닌 정말로 국민들의 정보교류를

위해 오픈소스와 상생의 길을 걸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두서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도스 시절에는 hwp 만한 것이 없었죠.

하지만 ttf(true type font) 시대가 오면서 이야기는 또 달라집니다.
hft 폰트를 더 이상 문서 만드는데 사용하지 말았어야 합니다. 레거시를 위해 읽는 용도로만 사용했어야 합니다. 하지만 한글 2007 버전을 보면 새로 문서를 만들 때 htf 폰트가 default 로 사용되도록 해놓았습니다. 지금은 어떨런지 모르겠군요.

인터넷 시대가 오면서 이야기는 또 달라집니다.
문서 포맷을 일찌기 공개해서 여러 다양한 운영체제 및 환경에서 hwp 포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어야 합니다.
폐쇄 포맷, 문서 장기간(수십년) 보관 불가. 외국인과 문서 교류 불가, 포맷을 공개했다고 하지만 폐쇄적 라이선스.

시장을 국내로 축소
리눅스용 HWP 프로그램을 볼 때 한글과컴퓨터사 스스로가 시장을 한국으로 축소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받습니다.

리눅스용 한글
32비트, 64비트 영문, 한글 우분투, 레드햇 지원 리눅스용 HWP 한글 내놓았으면 판매량은 지금보다 더 많았겠죠. 하지만 자사의 아시아눅스에 특화시켜서(그들 말로는 최적화) 타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하기 어려움.

한컴이 개과천선할 때까지 저는 절대로 HWP 프로그램 구입하지 않을 겁니다.

그동안 공공기관, 관공서에서 HWP 프로그램을 국민의 세금으로 대량으로 구매해주니 한글과컴퓨터라는 부족한 회사가 지금까지 살아있는 겁니다. 원래는 시장 경쟁을 통해 망해도 진작 망했어야되는 회사인데 말이죠.
한컴은 hwp 폐쇄 포맷, 폐쇄 라이선스로 상당히 많은 사람들을 불편하게 하고 있고요…
공정하게 시장에서 경쟁했더라면 이미 망했을 기업입니다.

아래 기사 보듯 웃긴 일도 있었죠. 포맷 공개도 없이 국가 표준 신청 ㅎㅎㅎㅎ
한글과컴퓨터사가 이런 기업입니다.

2009-09-21 오후 01:43:30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 ... 77808.html

[quote:27e4j17b]김영익 대표이사는 지난 10일 기자간담회에서 “아래아한글을 국산 워드프로세서 국가표준(KS)으로 등록신청했다”며 “표준이 등록되는 시점에 맞춰 한글의 파일 형식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quote:27e4j17b]

2009.10.01 11:52

http://www.idg.co.kr/newscenter/common/ ... wsId=59532

[quote:27e4j17b]◆ 표준의 전제조건 ‘개방’ = 한컴이 HWP 표준화에 성공하려면 기표원 관계자의 언급처럼 문서포맷을 공개해야 한다.[/quote:27e4j17b]

국가 표준 등록되면 공공기관, 관공서 등에 열심히 대량 납품하겠죠. 이렇게 편하게 돈 벌겠죠.
금융권, 관공서에서 뿌려대는 보안 프로그램 마냥 그렇게 편하게 돈 벌겠죠.

문서포맷을 공개해야 한다…

현재 공개한 형태로는 공개가 공개가 아닙니다…

다른 프로그램을 임의로 금지할 수 있는 조건으로 공개했기 때문이죠…

자승자박이죠, 오히려 매각이 잘 된 일로 치고 싶네요… 불편한 건 빨리 없어져 주는 게 좋죠… 국산이라고 무조건 오냐오냐 해서 신애리 같은 악독한 짓을 했죠, 지킬거는 지켜야지 한컴은 어떤면 에선 애플보다 더 악질이죠…

부디 회사가 좀 IT를 주업으로 다루고 한국의 IT를 선도할 생각인 회사가
인수했으면 좋겠어요…
폐쇠적인 정책을 펼쳐서 문제지만 그래도 한글이 있음으로해서
옛한글 입력이라던지 한글을 표현하기위한 워드프로세서로서의 노력은 정말 대단한거였거든요
만일 한글이 없었다면 MS의 횡포에 의해 농락당했을 한글 표기방식을 생각하면 말이죠
(대표적으로 조합형을 버리고 강제적으로 완성형으로 전환한일이라던지)

전에 Daum에서 인수 의사가 있었다고 들었는데 Daum으로 인수되어도 괜찮지 않나 싶어요 쩝…

이건 뭐 현금동원력을 노리고있는 기업 사냥꾼들의 표적으로 이리저리 표류만 하고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