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의 인터페이스에 공인 ip로 외부에 연결할려고 합니다.
외부망 1 - ---------- eth0 리눅스 서버 eth1 ----------- 외부망 2
위와 같이 한 서버에 두 개의 외부망을 연결하려고 합니다.
networking 데몬으로 두 인터페이스 설정 완료하고 mii-tool 과 ifconfig로 하면 설정이 다 잡혀있습니다.
그런데 외부와 통신을 하면 한 곳만 통신되고 한곳은 안되더군요.
네트워크 리스타트 시키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옵니다.
if-up.d/mountnfs[eth1]: waiting for interface eth2 before doing NFS mounts
한 곳은 active 로 한 곳은 stand by로 만드는거 같은데.
두 군데 다 active , active로 할 수 없을까요?
[quote="a52355":2j4f8vt5]두 개의 인터페이스에 공인 ip로 외부에 연결할려고 합니다.
외부망 1 - ---------- eth0 리눅스 서버 eth1 ----------- 외부망 2
위와 같이 한 서버에 두 개의 외부망을 연결하려고 합니다.
networking 데몬으로 두 인터페이스 설정 완료하고 mii-tool 과 ifconfig로 하면 설정이 다 잡혀있습니다.
그런데 외부와 통신을 하면 한 곳만 통신되고 한곳은 안되더군요.
네트워크 리스타트 시키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옵니다.
if-up.d/mountnfs[eth1]: waiting for interface eth2 before doing NFS mounts
한 곳은 active 로 한 곳은 stand by로 만드는거 같은데.
두 군데 다 active , active로 할 수 없을까요?[/quote:2j4f8vt5]
당연히 할 수 있는데 외부망 1 과 외부망 2가 전혀 별개의 독립망인가요? 그럼 라우팅테이블을 잘 세팅해줘야 효과를 볼거 같네요. 쉽게 말해서 패킷을 외부로 보내야하는데 1번으로 보내야하는지 2번으로 보내야하는지 결정해야하는데 이걸 세팅을 해줘야겠죠. 안그럼 전혀 안쓸거에요.
외부망 두개는 독립망이고요.
라우팅 테이블에는 두 인터페이스 다 default로 각자의 게이트웨이로 잡혀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서버 단에서 인터페이스는 살려 놓지만 하나의 인터페이스만
통신이 가능하고 나머지 인터페이스는 막아놓은거 같습니다.
그래서 통신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죽으면 막아놓은 인터페이스를 열어 주고요
그런데 제가 원하는 것은 처음부터 두 군데 인터페이스를 다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할려면 설정에 추가 해야 할게 있나요?
[quote="a52355":t0r5m4fv]외부망 두개는 독립망이고요.
라우팅 테이블에는 두 인터페이스 다 default로 각자의 게이트웨이로 잡혀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서버 단에서 인터페이스는 살려 놓지만 하나의 인터페이스만
통신이 가능하고 나머지 인터페이스는 막아놓은거 같습니다.
그래서 통신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죽으면 막아놓은 인터페이스를 열어 주고요
그런데 제가 원하는 것은 처음부터 두 군데 인터페이스를 다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할려면 설정에 추가 해야 할게 있나요?[/quote:t0r5m4fv]
음… Linux ethernet bonding 으로 구글 검색해서 어떻게 설정하는지 알아보세요. 여러개의 이써넷을 써서 로드밸런싱하고 하나가 먹통시 백업하게하고 이런 목적으로 하는것인데 지금 원하는게 이런건지 불분명하네요 왜 이써넷을 2개 물려놨는지 목적이 말이지요. 라우터 역할을 리눅스 박스에서 해결하려는건지 하여튼 목적이 없으면 1개만 연결해서 쓰면 됩니다.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라우팅 테이블 세팅을 수정해 주면 되더군요.
/etc/network/interfaces 에서 게이트 웨이를 안 잡아주고
수동으로 양쪽 로드밸런싱하게 게이트웨이 설정해주니 양쪽으로 동시 통신이 가능하네요.
인터넷이 2개인 이유는 집에 다른 업체 회선이 2개 들어올 경우 양쪽 다 사용하기 위해서 입니다.
^^
감사합니다. 댓글 보면서 그래도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