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너마저...

한참 윈도우즈로 작업중에
하도 피씨가 버벅거려서 프로세스를 살펴보니
구글 크롬의 새버전 인스톨러가 백그라운드에서 열심히 돌아가고 있더군요…

내가 오토 업데이트라도 체크했었나 싶어서 살펴보니 그런건 없더군요.

내가 잘못 알았나 싶었지만 찾아보니 이미 오래된 일인가 보네요…

참고자료:

http://www.google.com/support/forum/p/C ... 25e4&hl=en

사실 크롬은 깔아놓고 쓰지도 않고 있어서
언제부터인가 잊고 있었는데…
고맙게도(?) 항상 새버전을 깔아주고 있었군요…

뭐 이런게 좋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는듯 하지만…

그나마 구글 서비스를 잘 이용하는 편이었는데
매~~우 실망이네요.

지워도 기분이 찝찝하네요…

윈도XP에서 크롬쓰는데 수동으로 업데이트하는데 자동은 어떻게 세팅하세요??

사실 뭐가 찝찝하신지 잘 모르겠습니다.

자동 업데이트를 하면서 강제로 시작페이지 고정을 하는 것도 아니고,

광고 프로그램을 까는 것도 아닌데 왜 찝찝하신건지;

[quote="ctrl144":3gogrq28]사실 뭐가 찝찝하신지 잘 모르겠습니다.

자동 업데이트를 하면서 강제로 시작페이지 고정을 하는 것도 아니고,

광고 프로그램을 까는 것도 아닌데 왜 찝찝하신건지;[/quote:3gogrq28]

안쓰시는 프로그램이 자기도 모르게 업데이트되고 있으니까 그러신 거 아닐까요? ^^;

[quote="ctrl144":3umr366t]사실 뭐가 찝찝하신지 잘 모르겠습니다.

자동 업데이트를 하면서 강제로 시작페이지 고정을 하는 것도 아니고,

광고 프로그램을 까는 것도 아닌데 왜 찝찝하신건지;[/quote:3umr366t]

144 님을 공격하자는 취지는 절대 아니고…;;;
저도 사실 찝찝했습니다;
성격상 저도 백그라운드에 돌아가는 프로그램이 뭐가 무엇때문에 어떻게 돌아가는지
전부 다 컨트롤을 해야 직성이 풀리는 성격이라
크롬이 자동 업데이트를 하고 있다는걸 저도 인터넷을 보고 알았는데…

뭐랄까요…
친한 친구 소식을 본인이 아닌 남을 통해서 알게된 씁쓸함…이랄까요ㅡㅡ?
뭐 암튼 그렇습니다.
자동업데이트… 좋은거고 굳이 반대할 이유는 없는데
공지가 좀 미흡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저는…ㅎㅎ

[quote="ctrl144":bfnxgxaa]사실 뭐가 찝찝하신지 잘 모르겠습니다.

자동 업데이트를 하면서 강제로 시작페이지 고정을 하는 것도 아니고,

광고 프로그램을 까는 것도 아닌데 왜 찝찝하신건지;[/quote:bfnxgxaa]

만약 ctrl144님이 자동업데이트를 선호하시고
구글을 무조건 신뢰하신다면 저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글쎄요…
이런 이유로 찝찝하다고 하는 제 생각을 몰라주시는게 오히려 저는 이해가 잘 안되는군요.

시작페이지를 고정하는게 아니고
광고 프로그램을 까는게 아니라면
구글이 ctrl144님의 컴퓨터에 허락없이 무엇을 깔아도 괜찮으신지요?

구글 크롬은 제가 제 손으로 설치했지만
그 이외의 설치에 대해서 저는 동의한적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수많은 프로그램들도 자동 업데이트를 하고 있지요.
하지만 적어도 저에게 동의는 구하고 있으며 (구하는 척이라도 하고 있으며),
제가 그것을 알고 있고, 저는 그것들을 선택/제어할 수 있습니다.

크롬은 이런 제 상식을 많이 벗어나는군요.
적어도 저한테는
구글이 언제 제 컴퓨터에 광고를 깔고
시작페이지를 고정한다고 하더라도 이상할게 없다 싶네요.

저는 특정 회사를 믿지 않습니다.
그래서 백신도 그다지 신뢰하지는 않습니다.
아무리 경찰 수만명이 밤낮없이 지켜준다고 하더라도
대문을 잠궈야 하는건 내 자신이 아닐까요?

저는 자동 업데이트라는게 그다지 보안에 도움이 된다고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많은 분들이 windows xp의 보안이나 취약성에 대해서 문제라고 합니다만,
보안과 편의와 무료를 가장하며 사용자 몰래 깔리는 프로그램들과
그런 것들에 무의식적으로 권한을 내주는 사용자가 훨씬 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우분투에서는 이런 식의 업데이트는 못하겠지요?
평소 불평하던 sudo가 이럴때에는 고맙게 느껴지는군요.

[quote:2an8ubxz]
구글 크롬은 제가 제 손으로 설치했지만
그 이외의 설치에 대해서 저는 동의한적이 없다고 생각합니다.[/quote:2an8ubxz]
없다고 생각하시는 것일 뿐, 실제로 다운로드 받으실 때는 동의를 하시고 받으셨을 겁니다.

아래는 길고 긴 약관 중에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관한 부분만 추린 것입니다.

[quote:2an8ubxz]
11.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11.1 귀하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Google에서 해당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해당 업데이트는 서비스의 개선, 향상 및 추가 개발을 위해 설계되며, 버그 수정, 기능 향상, 신규 소프트웨어 모듈 및 완전히 새로운 버전의 형태를 취할 수 있습니다. 귀하는 서비스 사용의 일환으로 해당 업데이트를 설치하고 Google이 해당 업데이트를 전송하도록 할 것에 동의합니다.
[/quote:2an8ubxz]

또,

[quote:2an8ubxz]
저는 자동 업데이트라는게 그다지 보안에 도움이 된다고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많은 분들이 windows xp의 보안이나 취약성에 대해서 문제라고 합니다만,
보안과 편의와 무료를 가장하며 사용자 몰래 깔리는 프로그램들과
그런 것들에 무의식적으로 권한을 내주는 사용자가 훨씬 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quote:2an8ubxz]
라고 말씀 하셨는데,

첫 번째 인용문에서, 동의하신 것을 전혀 모르고 계셨으므로 yanagi 님도 무의식적으로 프로그램에 권한을 허가해 준 사용자에 해당 되십니다…

맞아요… 사실 알게 모르게 동의할때가 많죠…;;;

[quote="SangHo":vndqbe2d][quote:vndqbe2d]
구글 크롬은 제가 제 손으로 설치했지만
그 이외의 설치에 대해서 저는 동의한적이 없다고 생각합니다.[/quote:vndqbe2d]
없다고 생각하시는 것일 뿐, 실제로 다운로드 받으실 때는 동의를 하시고 받으셨을 겁니다.

아래는 길고 긴 약관 중에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관한 부분만 추린 것입니다.

[quote:vndqbe2d]
11.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11.1 귀하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Google에서 해당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해당 업데이트는 서비스의 개선, 향상 및 추가 개발을 위해 설계되며, 버그 수정, 기능 향상, 신규 소프트웨어 모듈 및 완전히 새로운 버전의 형태를 취할 수 있습니다. 귀하는 서비스 사용의 일환으로 해당 업데이트를 설치하고 Google이 해당 업데이트를 전송하도록 할 것에 동의합니다.
[/quote:vndqbe2d]

또,

[quote:vndqbe2d]
저는 자동 업데이트라는게 그다지 보안에 도움이 된다고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많은 분들이 windows xp의 보안이나 취약성에 대해서 문제라고 합니다만,
보안과 편의와 무료를 가장하며 사용자 몰래 깔리는 프로그램들과
그런 것들에 무의식적으로 권한을 내주는 사용자가 훨씬 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quote:vndqbe2d]
라고 말씀 하셨는데,

첫 번째 인용문에서, 동의하신 것을 전혀 모르고 계셨으므로 yanagi 님도 무의식적으로 프로그램에 권한을 허가해 준 사용자에 해당 되십니다…[/quote:vndqbe2d]

SangHo님 친절하게 약관까지 찾아주시니 정말 감사합니다.

말씀하시는 것처럼 저 약관을 읽어보는게 처음이지만
저 약관이 저도 모르게 아무때고 동의없이 설치해도 된다는 말인지는
지금 읽어봐도 잘 모르겠군요.
언급이 없으니 그 부분은 구글이 마음대로 해도 된다는 뜻이려나요?
그렇다고 합시다.
그럼 다른 소프트웨어들은 어떤지요?
저런 약관이 없는건가요? 아니면 비슷한 약관이 있음에도
친절하게(?) 저에게 업데이트 하고자 하는걸 그때그때 허락받고
또 업데이트중이라는걸 저한테 알려줬던 것일까요?

말씀드렸듯 저는
(1) 보안과 편의와 무료를 가장하며 사용자 몰래 깔리는 프로그램들과
(2) 그런 것들에 무의식적으로 권한을 내주는 사용자
가 문제라고 언급했습니다.

구글의 약관에 그런 이야기가 없는 것처럼
저도 제가 그런 사용자가 아니라는 말씀은 드린적 없습니다.
그래서 지우고 나서도 이렇게 찝찝해하고 있는 것이겠지요.

P.S. 우분투용 크롬도 같은 약관으로 sudo의 요구없이
백그라운드로 몰래 업데이트 되고 있는 것인지요?
아시는 분 계시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구글에 있는 크롬을 다운받아서 설치하면 구글 저장소가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code:26z6xi2y]root@debian:/etc/apt/sources.list.d# ls
google-chrome.list
root@debian:/etc/apt/sources.list.d# cat google-chrome.list

THIS FILE IS AUTOMATICALLY CONFIGURED

You may comment out this entry, but any other modifications may be lost.

deb http://dl.google.com/linux/chrome/deb/ stable main[/code:26z6xi2y]
우분투에서 저장소 설정에서 자동 업데이트를 활성화해두면
크롬이 자동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apt-key list 해보면 구글 키가 추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code:26z6xi2y]pub 1024D/7FAC5991 2007-03-08
uid Google, Inc. Linux Package Signing Key <linux-packages-keymaster@google.com>[/code:26z6xi2y]

리눅스용 크롬 설치시에 약권에 자동업데이트 조항이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라이선트, 이용 약관은 꼭 읽어보시고 설치하세요.

아, 그리고 구글 크롬은 오픈소스 버전이 있습니다.(다음 댓글에 지적한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정정합니다.)
구글에서 직접 제공하는 크롬이 찜찜하시면

http://packages.debian.org/sid/chromium-browser

데비안에 있는 이런 걸 설치해도 좋습니다.

cogniti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크롬의 업데이트가 저장소에 추가된다는 것과,
제가 언급한 windows xp에서의 업데이트는 많은 차이가 있는거 같은데요.

저장소에 추가된다는 것은
제가 얼마든지 편집할 수 있다는 말이고
제가 특별히 apt-get에 손대지 않는 이상
업데이트하고자 할 경우 저에게 안내를 해줄것이고
제가 sudo를 입력하지 않는 이상 업데이트를 하지 않겠고
제가 그걸 모르고 있지는 않겠지요.

이게 엄청나게 다른거라고 생각하는건 저뿐인 것인가요?

그리고, 구글 크롬이 오픈소스라고 표현하시는 것보다
크로미움이 크롬의 오픈소스버전이라고 표현하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우분투의 저장소에도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http://packages.ubuntu.com/lucid/chromium-browser

저도 그 부분이 찜찜해서 크로미엄을 사용합니다.
플래시 필요할 때는 크롬을 사용하고요.
위 이야기는 리눅스의 경우입니다.
XP의 경우는 크롬의 오픈소스 버전이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저야 어차피 MS 윈도우는 거의 사용하지 않으니까요.

쩝… 여튼 저는 우분투 쓰면서는 업데이트가 알아서 잘 올라오는 것에 익숙해서…

윈도우즈에서는 백신, 크롬, 파이어폭스만 업데이트하고 다른 모든 업데이트는 해제합니다.

구글쪽에 좀더 눈에 띄게 해달라고 하거나 옵션을 쉽게 바꿀 수 있도록 해달라고 해야겠네요.

다운로드와 설치 행위 자체가 동의를 한다는 뜻으로 간주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물론, 말씀하신 분의 입장에서의 동의란 단순히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는 의미겠지만.
그 의미라는 것이 해석하는 입장, 즉 해석하기 나름이기 때문에
이런 긴 스레드가 만들어진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우리가 입장의 차이로 싸울 일이 아닙니다.
다만, 자동 업데이트 기능이 있으니 구글이 실망이다는 식의 스레드가
어떤 분에겐-그 분이 꼭 구글 옹호자라는 뜻은 아닙니다- 공격적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전 구글 크롬 카나리아 버전을 사용하고 있고, 그 이유는 항상 최신 알파버전으로
버전업을 해줘서 입니다.
그리고 크로미움 소스를 사용하는 플록(Flock)도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지원합니다.
결국, 난 몰랐으니 구글에 실망이다보다는 찾아보시고 알았으면
이러이러한 일이 있었다로 끝났으면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아. 물론, 틀렸다는 말이 아니니 기분 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말 나온 김에 플래시 설치하고 구글 크롬 제거했습니다.
그 동안 플래시 설치가 귀찮아서 크롬 사용했었거든요.
aptitude 등으로 google-chrome 찾아서 삭제합니다.
저장소에 자동으로 추가된거는 자동으로 삭제가 되는데 키가 삭제가 안 되는군요.
구글은 크롬 설치시에 구글 저장소와 키가 자동으로 추가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알려주도록 개선해야겠습니다.
아무 얘기도 없이 키까지 설치되는데 처음에는 많이 황당했습니다.

아래처럼 하면 키, 캐시, 설정이 완벽하게 삭제됩니다.(aptitude 또는 apt-get 등으로 google-chrome-* 를 삭제 후에 명령하세요)
참고로 $는 일반 사용자 권한, # 는 루트 권한입니다.

[code:31xqy6ka]
$ cd

apt-key remove 7FAC5991

$ rm -rf .macromedia/
$ rm -rf .config/google-chrome/
$ rm -rf .cache/google-chrome/
[/code:31xqy6ka]

[quote="potatochip":2h3vw643]다운로드와 설치 행위 자체가 동의를 한다는 뜻으로 간주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물론, 말씀하신 분의 입장에서의 동의란 단순히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는 의미겠지만.
그 의미라는 것이 해석하는 입장, 즉 해석하기 나름이기 때문에
이런 긴 스레드가 만들어진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우리가 입장의 차이로 싸울 일이 아닙니다.
다만, 자동 업데이트 기능이 있으니 구글이 실망이다는 식의 스레드가
어떤 분에겐-그 분이 꼭 구글 옹호자라는 뜻은 아닙니다- 공격적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전 구글 크롬 카나리아 버전을 사용하고 있고, 그 이유는 항상 최신 알파버전으로
버전업을 해줘서 입니다.
그리고 크로미움 소스를 사용하는 플록(Flock)도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지원합니다.
결국, 난 몰랐으니 구글에 실망이다보다는 찾아보시고 알았으면
이러이러한 일이 있었다로 끝났으면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아. 물론, 틀렸다는 말이 아니니 기분 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quote:2h3vw643]

몇번을 읽어봐도 프로그램에 대해 미리 알아보지도 않고
약관을 모르고 동의했으면서 공격적인 글을 올린 제가 잘못이란 말씀으로 이해되는데
제가 잘못 이해했다면 죄송합니다.

억지로 동감을 얻고자 하지 않겠습니다.
이런 방식을 선호하시는 분들도 충분히 이해합니다.
끝으로 다음 사항만 명확히 하고 글을 그만 쓰겠습니다.

  • 제가 실망했다는 내용은 구글이 [b:2h3vw643][color=#FF0000:2h3vw643]자동 업데이트[/color:2h3vw643][/b:2h3vw643]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자동 업데이트를 [b:2h3vw643][color=#FF0000:2h3vw643]저도 모르게 백그라운드로[/color:2h3vw643][/b:2h3vw643] 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 보아하니 약관은 윈도우 버전과 리눅스 버전이 다르지 않은 듯 한데
    제 상식으로는 업데이트 방식에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약관만 봐서는 제대로 언급이 없는 듯 하고,
모든 프로그램의 약관을 두세번 정독하고 쓸 만큼 한가하지도 않으며,
약관에 있다는 것만으로 모든 것이 다 허용된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 우분투 사용자모임 자유게시판에 구글에게 실망했다는 글을 쓰는 것이
    다른 사용자에게 공격적일 수 있다는 말씀은 제 상식으로는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공격적일 수 있다고 하시니 뭔가 이유가 있겠지요.
앞으로 구글에 부정적인 글은 올리지 않겠습니다.

구글에 실망한 것은 변함없으며
제가 틀렸다고 생각하지 않아 기분 나쁜 일도 없으니 걱정 마시길 바랍니다.

linux용 google-chrome을 설치하면
/etc/cron.daily/google-chrome 이 /etc/default/google-chrome 설정 여부에 따라
자동 업데이트를 처리 하게 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론 모르면 찝찝 하지만, 알고 있으면 편리한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

크롬이 자동 업데이트 하는군요.
약관까지 그렇다면 방침이란 얘긴데 좋게 보이지는 않습니다.

저도 자동 업데이트 싫어합니다.
윈도우즈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해 놓으면 필요 없는 것 다 설치해 놓는 경험이 있어서요.

저는 일반론을 상당히 싫어합니다만, 보통 사용자들 입장에서는 그 방법이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IE6.0으로 인해 아직도 고통에 떨고 있는 개발자분들을 생각한다면 빠른 브라우저 업데이트가 가능한 구글의 방식이 나쁜 것만은 아니란 생각이 듭니다.

다만 중요한건 그걸 미리 사용자가 알 수 있게 공지를 하였는가와 끌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는가겠지요. 이 두가지가 없으면 악성 프로그램이나 다름 없겠습니다만… ㅡ_ㅡ;;

크롬 설치 시에 아무런 안내없이 구글의 gpg key가 은근슬쩍 설치되는 것은 용서할 수 없습니다.
이거는 악성 프로그램이 하는 짓이랑 똑같은 짓입니다.
구글에 무한한 호의를 베풀 것이 아니라 이제는 우리도 구글을 경계해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