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삭제시 파티션 문제

우분투 9.10 유저입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기본 xp가 설치된 하드에서
Unetbootin 프로그렘을 이용하여 이동식디스크에 아이에스오 파일로 구워서

부팅시 바이오스에서 이동식디스크 부팅으로 잡아서 설치하였는데,

파티션을보니 160기가 중, 80기가는 엑스피, 나머지 60기가는 우분투, 남은공간은 제가 전에 나눠뒀던 리커버리영역으로
되었더군요

여기서 질문입니다,

  1. 부팅시 사용할 오에스를 선택하는곳이 나옵니다만,
    목록에 1.우분투
    2.우분투 리커버리
    3.메모리테스트
    4. 메모리테스트
    5. 윈도우 2000, 엔티
    6. 윈도우 엑스피
    이렇게 나옵니다만, 5번 윈도우 그건 리커버리 잡아둔거고,
    6번은 원래 있던 엑스피
    1.2번은 우분투인것은 아는데, 3,4번의 메모리 테스트라는 놈은 뭡니까?

질문2. 우분투 삭제시 자동으로 우분투로 되어있는 파티션 영역이 엑스피 영역과 합쳐집니까?
질문3. 우분투 삭제법을 가르쳐주세요, 만약 우분투 삭제시 파티션이 자동으로 엑스피 영역과 합쳐지지 않는다면
파티션을 다시 합쳐야 할텐데, 파티션매직 말고 쉽게 합치는 법을 알려주세요,
질문4. 우분투를 삭제하고 나면 부팅시 사용할 오에스 선택화면이 나오지 않겟죠?.

  1. 우분투에서 제공하는 유틸리티로 메모리 검사하는 것입니다.
    질문2. 아뇨
    질문3. 우분투 설치된 파티션 삭제하면됩니다.
    윈도 MBR 복구는 윈도 CD 넣고,
    c:>bootrec /fixmbr
    c:>bootrec /fixboot
    위와 같이 두줄 치세요.
    윈도 비스타나 윈도7에서는 관리자>디스크 매니저 들어가시면 윈도 파티션을 확장해서,
    삭제된 우분투 파티션을 바로 추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재부팅 필요 없습니다.)
    윈XP/2k에서는 확인 안해봤네요. (없어서 확인을 못합니다…)
    질문4. 3번의 첫번째줄까지하면 grub 에러뜹니다. 4번째줄까지하면 문제 없이 윈도로 부팅 잘됩니다.

[list=1:1482ucqb]
[:1482ucqb]흐음… 통상 Memtest는 하나만 나오는데… 두개가 출력되고 있는게 확실한건가요? 뭔가 다르게 출력되고 있다면 정확한 명칭을 좀 부탁합니다.
아무튼 Ubuntu memtest 86+ 는 말 그대로 RAM의 오류를 검사하는 유틸리티입니다. 로딩이 심하다던가 같은 문제가 생겼을 경우 그걸 진단하기 위한 툴이에요.[/
:m:1482ucqb]
[:1482ucqb]Wubi를 사용하지 않고 까셨다는 전제로 말하자면 우분투의 삭제 방법은 원도우즈의 삭제 방법이랑 똑같습니다. 깔려있는 볼륨을 포멧해야죠. -_- Wubi로 까셨다면 (그래 보이진 않습니다만) 윈도우즈에서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언인스톨 해주면 됩니다. [/:m:1482ucqb]
[:1482ucqb]자기가 깔려 있는 파티션을 날리고 다른 파티션과 합쳐주는 OS는 세상 어디에도 없습니다. 당연히 파티션 매직이나 부팅 디스크에 들어있는 Gparted를 사용해서 직접 합쳐 주셔야합니다. 단, Wubi라면 애초에 파티션을 나눈게 아니므로 다만 하드에 생성된 가상 하드파일만 날리면 됩니다.[/:m:1482ucqb]
[:1482ucqb] 나옵니다. 하지만 MBR을 수정해 주면 없앨 수 있습니다. XP 인스톨 CD로 부팅후 R을 눌러 리커버리 콘솔로 간 다음 FIXMBR을 해 주시면 Grub를 지우고 윈도우즈 MBR이 복구될겁니다.[/:m:1482ucqb][/list:o:1482ucqb]

[quote="Vulpes":3ag0o5lq]통상 Memtest는 하나만 나오는데… 두개가 출력되고 있는게 확실한건가요? 뭔가 다르게 출력되고 있다면 정확한 명칭을 좀 부탁합니다.[/quote:3ag0o5lq]

저도 2개 뜨네요.

세번째 줄에
Memory test(memtest86+)
그리고 네번째 줄에는
Memory test(memtest86+, serial console 115200)
이렇게 나옵니다.

찾아보니 두번째는 외부 콘솔에 출력하게 되어 있는 옵션이라는군요. 전 뜬 적이 없어서 잘은 모르곘습니다만 예상컨데 인스톨 시점에서 시리얼 포트를 인식하면 저렇게 되는것이지 않으려나요? 아무튼 별도의 콘솔을 컴에 연결시켜 놓은 상황이 아닌 이상 쓰실 일은 없는 옵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