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이 보급되면서 좀 변한 것 같은데 매킨토시도 많이 팔리면 좀 더 좋아질 것 같네요.
맥은 비싸요.
동급대비 +30만원이니깐 디자인하고 os 요금으로 엄청빠지는거져
반쯤 동감합니다.
하지만 최근 상황을 보면 그렇게 녹록치가 않은게 현실이죠. 아이폰이 퍼지면서 드디어 ActiveX에 얽매이던 각종 금융 사이트들이 드디어 표준 웹 기술을 쓰면서 뭔가 달라지리라 기대했지만 이게 웬걸… 웹 사이트 바꿀 생각은 안하고 그냥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타협봤습니다.
맥의 상황 역시 녹록치 않죠. 우리은행처럼 오픈뱅크 어쩌고도 나오지만 현실적으로 보면 윈도우에서 사용자를 그렇게도 괴롭히던 각종 "자칭" 보안 모듈의 맥 버전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죠.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뭔가 설치해야 하는 구조는 어지간해선 안바뀔거란 말이죠. 여기서 뭔가 설치해야 하는건 일부 업체들의 밥줄이고 말입니다. 사용자가 원하는건 뭔가를 설치 안하고도 자유롭게 이용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이미 누군가의 밥줄이 된 상황에선 정말 상황이 어려워졌습니다.
아 그리고… 맥은 조립식 PC 대비하면 비싸지만 대기업 완제품과 비교하면 또 그리 비싸지가 않습니다.
애플 생산 방식이 소품종 대량 생산 방식인지라 원가 맞추기가 상대적으로 쉽죠. 예를 들어 맥의 유니바디 케이스의 경우 소량 생산하면 원가 건지기도 힘든 생산 방식이라고 하지만 맥처럼 그냥 기본 수만~수십만대씩 찍어내면 어느정도 가격 경쟁력을 맞출수 있습니다. 뭐 대기업 컴퓨터 중에서 완제품을 가장한 조립대행 시스템 수준이라면 모르지만, 적어도 맥처럼 나름 독특한 디자인을 보이는 완제품의 경우 오히려 맥이 저렴한 경우도 많습니다.
[quote="장난ㅡㅍ-)":bkxs40z1]동급대비 +30만원이니깐 디자인하고 os 요금으로 엄청빠지는거져[/quote:bkxs40z1]
모르겠습니다.
맥장비를 동급대비로 판단하면 오산?? 이에요
이상하게도 하드웨어는 동급인데 윈도우장착 머신보다 빠름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미친듯한 최적화로인해 성능이 스팩을 뛰어넘어요
[quote="trumpethak":18k9hif1]
모르겠습니다.
맥장비를 동급대비로 판단하면 오산?? 이에요
이상하게도 하드웨어는 동급인데 윈도우장착 머신보다 빠름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미친듯한 최적화로인해 성능이 스팩을 뛰어넘어요[/quote:18k9hif1]
에… 그러니까 커널이나 소프트웨어 단계에서의 최적화는 하드웨어의 스펙과는 관계되지 않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정확한 예는 아니지만, 부트 캠프등을 통해 같은 운영체제 혹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상황이라거나 하는 부분에서 생각해 본다면 비슷하지 않을까 합니다.
아무래도 역시 하드웨어의 장점에 포함된다기 보다는 특정 아키텍쳐에 한정된 OS를 동작시킬 수 있다는 장점으로 보는게 맞지 않는가 하고. 조심스럽게 생각해 봤습니다.
아닙니다. 맥만 많이 퍼져 봤자, 아이폰에서 보이듯 대부분의 웹의 비정상적인 상황은 앱으로 대체되겠지요.
신한은행의 맥용 뱅킹을 아시나요? 자바로 되어있으면서도 리눅스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관련 법령의 개정이 더 시급합니다. 특정 플랫폼이 많이 퍼져봤자 기형적인 현상의 연속을 낳을겁니다.
제 생각도 맥 사용자가 많아진다고 우리나라 인터넷이 변할 것 같지는 않네요.
저도 아이폰이 들어오고 국내 웹환경이 많이 변할꺼라 기대했는데
아이폰앱들로 분위기가 흘러가는걸 보고나니 더 이상 기대할게 없다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결국 아이폰이 해방군인줄 알았는데 결국 또 다른 점령군이더군요.
그리고 대부분 사람들은 (심지어 액티브X욕하는 사람들까지도)
모바일 환경이 또 이런식으로 흘러가는게 왜 문제인지 전혀 관심도 생각도 없더군요.
은행들이 서비스 잘 해주신다면 감사할 따름이죠.
윈도도 OS 비용이 30만원이 넘어가다 보니까 정품을 사용한다면 맥과 비슷한 비용?
거기에 정기적으로 새로 설치하거나 악성코드를 걱정하는 부가적인 스트레스도 들어있으니…
아직 윈도우를 깊게 사용하지 않았던 사람이라면 맥도 추천할만 합니다.
물론 윈도우에 질리기 시작한 고수들에겐 우분투 추천을…
아이폰이 최근 한국 웹환경에 임팩트는 주었습니다. 그러나 거기까지…
http://en.windows7sins.org/lockin/제가 보기에
마이크로소프트는 십수년간 사용자를 '록인(lock-in)'하는데 성공하여 어마어마하게 집금한 회사고,
애플은 모바일 시장에서 성취한 선두주자의 탄력을 줄기차게 이어나가, 장차 대다수 사용자 '록인’에 성공하고 가열차게(또는 줄기차게) 집금하기를 열망하는 회사로 보입니다.
그래서… 제가 보기엔
"오픈소스소프트웨어 또는 그누/자유소트프웨어가 장착된 PC와 모바일 장치가 많이 팔리면+보급되면+사용자가 채택하면" 인터넷 쓰기도 좀 더 편해질 것 같습니다. 인터넷을 좀 더 편하게 쓸 수 있는 '사용자의 권리’가 향상될 것 같습니다.
한편…
오픈소스소프트웨어 또는 그누/자유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더욱 모금과 집금이 잘 되기를 바랩니다.
'오픈소스’든 '그누/리브레’든, '복마전같은 소프트웨어특허로부터 개발자의 자유를 보호하고 확대’나 '사용자의 주체적인 권리와 자유의 회복’을 말함이지, '무료’를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맨날맨날 '대안’이고 싶지는 않습니다. 십몇년이 더 걸리더라도 '대안’에서 뻗어나가 '주류’가 되길 기원합니다.
서버에서 그누/리눅스는 이미 ‘주류’
이제 남은건 '데탑’과 '모바일’인건가요?
[quote="구석기":2jzhkqa8]아이폰이 최근 한국 웹환경에 임팩트는 주었습니다. 그러나 거기까지…
http://en.windows7sins.org/lockin/제가 보기에
마이크로소프트는 십수년간 사용자를 '록인(lock-in)'하는데 성공하여 어마어마하게 집금한 회사고,
애플은 모바일 시장에서 성취한 선두주자의 탄력을 줄기차게 이어나가, 장차 대다수 사용자 '록인’에 성공하고 가열차게(또는 줄기차게) 집금하기를 열망하는 회사로 보입니다.
그래서… 제가 보기엔
"오픈소스소프트웨어 또는 그누/자유소트프웨어가 장착된 PC와 모바일 장치가 많이 팔리면+보급되면+사용자가 채택하면" 인터넷 쓰기도 좀 더 편해질 것 같습니다. 인터넷을 좀 더 편하게 쓸 수 있는 '사용자의 권리’가 향상될 것 같습니다.
한편…
오픈소스소프트웨어 또는 그누/자유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더욱 모금과 집금이 잘 되기를 바랩니다.
'오픈소스’든 '그누/리브레’든, '복마전같은 소프트웨어특허로부터 개발자의 자유를 보호하고 확대’나 '사용자의 주체적인 권리와 자유의 회복’을 말함이지, '무료’를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맨날맨날 '대안’이고 싶지는 않습니다. 십몇년이 더 걸리더라도 '대안’에서 뻗어나가 '주류’가 되길 기원합니다.
서버에서 그누/리눅스는 이미 ‘주류’
이제 남은건 '데탑’과 '모바일’인건가요?[/quote:2jzhkqa8]
[size=150:2jzhkqa8]공감합니다. [/size:2jzhkqa8]
올해 활동하며 느낀게 많은이들이 틈새를 이야기 하는데 저는 항상 그리 말합니다.
[list:2jzhkqa8]그래서 lockdown 될래… 아니면 Free 할래…
아니 그러지 말고, 우리 Fly 해볼까!
[/list:u:2jzhkqa8][size=150:2jzhkqa8] Fly [color=#800080:2jzhkqa8]Gnu[/color:2jzhkqa8]/[color=#4000FF:2jzhkqa8]Linux[/color:2jzhkqa8]/[color=#FF4000:2jzhkqa8]Ubuntu[/color:2jzhkqa8][/size:2jzhkqa8]
[url=https://launchpad.net/~ubuntu-ko:2jzhkqa8][img:2jzhkqa8]https://wiki.ubuntu.com/KoreanTeam?action=AttachFile&do=get&target=ubuntu-ko_logo_small.png[/img:2jzhkqa8][/url:2jzhkqa8]
우분투 리눅스에 한글화 및 문서정리만 잘되어도 기존의 맥유저들과 윈도유저들을 우분투로 끌어들이는데 어렵지 않다고 봅니다.
결국 주류란 사람들의 모임이 아닐까요?
[quote="nhamfnad":3pv7rzbm]우분투 리눅스에 한글화 및 문서정리만 잘되어도 기존의 맥유저들과 윈도유저들을 우분투로 끌어들이는데 어렵지 않다고 봅니다.
결국 주류란 사람들의 모임이 아닐까요?[/quote:3pv7rzbm]
네 맞습니다.
올해 문서 정리는 실패했습니다 ( http://wiki.ubuntu.or.kr )
그래서 올 여름이 지나면서 책임성 있는 문서 정리를 생각 해보았습니다.
책임 + 머니 = [b:3pv7rzbm]성과[/b:3pv7rzbm]가 나올지는 내년도에 해 볼 계획입니다. (책임 상근자?)
문서 작업이 혼자는 안되는 일이니…( 무엇보다 아직 한국 우분투 인프라 부족입니다.)
우분투 한국어 문서 정리에 관심을 계속 가져 주십시오
현재는 파라님이 많이 기여 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에서는 표준 포맷만 사용하게끔 법을 만들면 되는거죠. 이미 이렇게 법이 만들어진 곳이 있으니깐요.
그러네요.
아이폰에서 뱅킹을 하기 위해 오픈뱅킹을 만드는게 아니라 전용 앱을 만드는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 상황.
아니 그냥 오픈뱅킹을 만들면 원소스 멀티유징이 되는데.
그걸 굳이 앱을 만들고.
회사 일 때문에 iOS앱을 유지보수 중이지만, 정말 관리하기 짜증나는데…
그렇게 하고 싶을까.
역시 결론은 법인가…
이 망헐 공무원 놈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