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를 사용할때 어중간한 그래픽카드는 계륵인가..?!

HD3850을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우분투 데스크탑을 사용할수록 느껴지는게
그래픽카드를 사용한다고 좋아지는 메리트랄지… 그런게 없다는겁니다.

물론 구형의 그래픽카드이긴 하지만 윈도우에선 아직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현역인데,
우분투에선 컴피즈용인건지… -0-;;
그런데 컴피즈도 많은효과를 사용하고있지않기때문에 보통의 컴피즈효과라면
그냥 내장그래픽으로도 사용가능하다는거…

그나마 제대로 활용할 수 있을거라고 기대했던 VLC 1.1.x버전의 ATI 하드웨어가속은
4000대 이상의 그래픽카드에만 적용된다는 메뉴얼내용을 보고 좌절해버렸고,
그래서 제 컴퓨터에선 1080p 동영상도 제대로 돌아가질않네요.

괜히 잘 쓸 수 있는 그래픽카드가 잉여가 돼가는것 같아서
차라리 메인컴은 윈도우로 전환하고 넷북하나 구입후에 거기다가 우분투를 사용하는게
가지고있는 자원(?)을 더 잘 활용하는 길이란 생각이 드는군요. 요즘들어…-_-;;
리눅스의 태생적인 사정도 있으니 어쩔 수 없는거지만서두요.

AMD(ATI) 에서 매달 나오는 최신 카탈리스트 깔아두 잘 안되나요? 3000씨리즈면 아직 지원되는 모델인데 말입니다.

[quote="interoasis":1a8c6sz0]HD3850을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우분투 데스크탑을 사용할수록 느껴지는게
그래픽카드를 사용한다고 좋아지는 메리트랄지… 그런게 없다는겁니다.

물론 구형의 그래픽카드이긴 하지만 윈도우에선 아직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현역인데,
우분투에선 컴피즈용인건지… -0-;;
그런데 컴피즈도 많은효과를 사용하고있지않기때문에 보통의 컴피즈효과라면
그냥 내장그래픽으로도 사용가능하다는거…

그나마 제대로 활용할 수 있을거라고 기대했던 VLC 1.1.x버전의 ATI 하드웨어가속은
4000대 이상의 그래픽카드에만 적용된다는 메뉴얼내용을 보고 좌절해버렸고,
그래서 제 컴퓨터에선 1080p 동영상도 제대로 돌아가질않네요.

괜히 잘 쓸 수 있는 그래픽카드가 잉여가 돼가는것 같아서
차라리 메인컴은 윈도우로 전환하고 넷북하나 구입후에 거기다가 우분투를 사용하는게
가지고있는 자원(?)을 더 잘 활용하는 길이란 생각이 드는군요. 요즘들어…-_-;;
리눅스의 태생적인 사정도 있으니 어쩔 수 없는거지만서두요.[/quote:1a8c6sz0]

HD3850
잘 사용 하고 있는데요 …
SAPPHIRE 100216L Radeon HD 3850 256MB 256-bit GDDR3 PCI Express 2.0 x16 HDCP Ready CrossFireX Support Video Card

http://support.amd.com/us/gpudownload/l ... ng=English


윈도우 안쓴지 37일째…

아, 저도 잘 사용은 하고 있습니다. 드라이버는 10.9를 쓰고있구요.
문제는 드라이버를 깔아도 정작 그래픽카드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한다는 점이지요.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드라이버깐다고해서 동영상 하드웨어 가속이 지원되는게 아닙니다.
vlc같은경우에는 ati측과 공조하에 하드웨어 가속기능을 1.1.x버전부터 지원하기로 됐는데
제가 어느 메뉴얼에서 봤는진 기억이 안납니다만 그게 4xxx이후부터 지원되는걸로 나와있
더군요. 그마저도 지금 다시 찾아보니 1.1버전에서는 Nvidia만 하드웨어 가속기술을 지원하는걸로
나와있네요.

정작 드라이버를 깔아놔도 내장그래픽 쓸때랑 컴피즈효과 누리는것외에는 별 차이가 없어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만약 우분투에서 저랑 같은 그래픽카드를 쓰시는데 1080p 동영상이
잘 돌아가신다면 순전 CPU의 차이겠지요…

근데 순수 CPU빨로 1080p돌릴 수 있는게 있나?? 워낙 저렴한 PC만 써와서…;;

[quote="interoasis":36nj8a0j]아, 저도 잘 사용은 하고 있습니다. 드라이버는 10.9를 쓰고있구요.
문제는 드라이버를 깔아도 정작 그래픽카드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한다는 점이지요.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드라이버깐다고해서 동영상 하드웨어 가속이 지원되는게 아닙니다.
vlc같은경우에는 ati측과 공조하에 하드웨어 가속기능을 1.1.x버전부터 지원하기로 됐는데
제가 어느 메뉴얼에서 봤는진 기억이 안납니다만 그게 4xxx이후부터 지원되는걸로 나와있
더군요. 그마저도 지금 다시 찾아보니 1.1버전에서는 Nvidia만 하드웨어 가속기술을 지원하는걸로
나와있네요.

정작 드라이버를 깔아놔도 내장그래픽 쓸때랑 컴피즈효과 누리는것외에는 별 차이가 없어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만약 우분투에서 저랑 같은 그래픽카드를 쓰시는데 1080p 동영상이
잘 돌아가신다면 순전 CPU의 차이겠지요…

근데 순수 CPU빨로 1080p돌릴 수 있는게 있나?? 워낙 저렴한 PC만 써와서…;;[/quote:36nj8a0j]

http://www.amd.com/us/products/technolo ... alyst.aspx

[ATI Catalyst graphics and HD video configuration software delivers unprecedented control of performance and visual quality with ATI Radeon™ graphics processors. Certified by Microsoft® Windows® Hardware Quality Labs (WHQL), ATI Catalyst drivers for Windows® operating systems deliver stable performance and push the limits of innovation with advanced user-oriented features. ]

VLC 1.1 이 플레이어엔 전 메리트를 못느끼겠던데…
동영상 플레이어+토템이 최고인듯 하던데요…
현재 순수분리음 5.1 채널 (써라운드아닌) dts ac3 음악파일도 되거든요…
윈도우엔 코덱 모르는분들이 VLC 플레이어깔면 dts잘 나오니깐 하시는듯 해요…
제트오디오 8 로도 충분히 가능 한데 말이죠^^

무슨 이유에 안될까요? 우리 고민좀 해봐요 같이 ㅋㅋㅋ

HD3850이 벌써 어중간한 그래픽카드가 되었네요ㅜ.ㅜ
사실 코어2듀오 이상 듀얼 cpu를 쓰면 윈도우 기준으로 그래픽카드 도움 없이도 풀hd 1080p 영상이 잘 돌아가긴 합니다.
희한한 건 mplayer 배껴 만든 kmplayer같은 것들도 윈도우에서 풀 hd 동영상을 잘 돌리는데
리눅스에서는 그렇게 하기 까다롭다는겁니다. 결국 쓸만한 고성능 공개코덱을 기다려야 하는 걸까요.

정확한 사정은 저도 모릅니다만, 그 공지를 그대로 믿기는 어렵습니다.
얼마전에 꽤 이슈가 되었던 일이죠. 특히 gpl 코덱을 사용하고도 그 사실을 숨기고 소스를 공개하지 않은게 문제인 것 같습니다.
곰 플레이어도 비슷한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http://kldp.org/node/65223 http://kldp.org/node/76243 http://cwryu.tistory.com/95 http://www.aesop.or.kr/?document_srl=198500 http://ffmpeg.org/shame.html

[quote="duck":2txyzpah][quote="pepsirian":2txyzpah]HD3850이 벌써 어중간한 그래픽카드가 되었네요ㅜ.ㅜ
사실 코어2듀오 이상 듀얼 cpu를 쓰면 윈도우 기준으로 그래픽카드 도움 없이도 풀hd 1080p 영상이 잘 돌아가긴 합니다.
희한한 건 mplayer 배껴 만든 kmplayer같은 것들도 윈도우에서 풀 hd 동영상을 잘 돌리는데
리눅스에서는 그렇게 하기 까다롭다는겁니다. 결국 쓸만한 고성능 공개코덱을 기다려야 하는 걸까요.[/quote:2txyzpah]
mplayer과 kmplayer은 서로 다른 프로그램으로 알고있었는데 정말 카피한 프로그램인가요?

조금 찾아봤는데 kmplayer는 오픈소스도 아닐뿐더러
제가 아는바가 맞는것 같은데 어떤걸 근거로 그렇게 판단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조금 더 찾아봤는데
배포사이트 공지( http://www.kmplayer.com/korea/showthread.php?t=660 )를 봐도 서로 다른 프로그램 같습니다.
이름이 비슷하여 착각하신것 같습니다.[/quote:2txyzpah]

KMPlayer는 KDE에서 쓰이는 MPlayer의 프론트엔드입니…(이게 아니라)

윈도에서 KMP는 SMPlayer처럼 MPlayer의 프론트엔드로 시작한 것이 맞습니다. 후에 단순한 프론트엔드가 아니라 MPlayer 자체의 소스를 고쳐서 배포하면서 MPlayer와는 관계 없이 배포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래서 오픈소스 논란이 일기도 했었고, "한국 오픈소스 개발자들의 오픈소스 의식이 똑바로 자리잡히지 않았기 때문"에 KMP의 판도라 인수를 지지한다는 바닥 개발자의 말은 유명하지요.

아아, 리플이 산으로 가기는했지만 새로운 사실을 알았네요.
그럼 KMP만드신 강용희님이 개발에 참여한 팟플레이어도 비슷한 문제가 있을수도 있겠네요?!

[quote="interoasis":3rjq9xan]아아, 리플이 산으로 가기는했지만 새로운 사실을 알았네요.
그럼 KMP만드신 강용희님이 개발에 참여한 팟플레이어도 비슷한 문제가 있을수도 있겠네요?![/quote:3rjq9xan]

아마 100%일 겁니다.

윈도우즈에서 그런 라이센스 문제에 대한 고민 없이 동영상 플레이어를 쓰려면 VLC나 MPlayer를 쓰는 것도 방법이고, 저 같은 경우에는 media player classic-home cinema를 추천합니다.

음냐…HD4850쓰고 있는데 mplayer에서 1080p 동영상이 끊기는군요.
뭘 건드려야 할지 난감중입니다 ㅋㅋㅋ

[quote="soulflo":1akmz96f]음냐…HD4850쓰고 있는데 mplayer에서 1080p 동영상이 끊기는군요.
뭘 건드려야 할지 난감중입니다 ㅋㅋㅋ[/quote:1akmz96f]
지금 지원되는지는 확실하지않지만 예전에 VLC 1.1.x버전부터 HD4xxx시리즈의 하드웨어가속을
지원한다는 메뉴얼을 본적이 있네요. 한번 이용해보심이…

그외의 플레이어에서 ATI하드웨어가속을 사용한다는 소리는 들어본적이 없네요.
동영상재생에 그래픽카드를 쓰지도 않는데 그래픽카드가 아무리 좋은들 아무 소용없죠.

[quote="interoasis":87p8cnuv]
지금 지원되는지는 확실하지않지만 예전에 VLC 1.1.x버전부터 HD4xxx시리즈의 하드웨어가속을
지원한다는 메뉴얼을 본적이 있네요. 한번 이용해보심이…

그외의 플레이어에서 ATI하드웨어가속을 사용한다는 소리는 들어본적이 없네요.
동영상재생에 그래픽카드를 쓰지도 않는데 그래픽카드가 아무리 좋은들 아무 소용없죠.[/quote:87p8cnuv]

오오 완벽하게 끊김을 잡진 못하지만 그래도 어느정도 원활하게 돌아가는군요!!
그럼 이제부터 1080p 화질의 므흣(!) 동영상을 원활하게 볼 수 있겠군요 ㅋㅋㅋㅋ
(사실이 아닙니다. 720p자료밖에 없…)

[quote="soulflo":3djhz10g]음냐…HD4850쓰고 있는데 mplayer에서 1080p 동영상이 끊기는군요.
뭘 건드려야 할지 난감중입니다 ㅋㅋㅋ[/quote:3djhz10g]

한빈군이 전문인 VA-API 사용을 하셔야…

[quote="soulflo":1e7q22mz]
오오 완벽하게 끊김을 잡진 못하지만 그래도 어느정도 원활하게 돌아가는군요!!
그럼 이제부터 1080p 화질의 므흣(!) 동영상을 원활하게 볼 수 있겠군요 ㅋㅋㅋㅋ
(사실이 아닙니다. 720p자료밖에 없…)[/quote:1e7q22mz]
제가 잘못된 정보를 알고있었네요. VLC만이 아니라 mplayer도 VA-API를 지원하는 버전이면
하드웨어 가속이 가능하다네요. 제 그래픽카드로도 가능한가봅니다.
어제 수차례의 삽질끝에 하드웨어가속을 지원하는 VLC 1.2.0버전을 깔았는데 뭐가 잘못된건지
하드웨어가속 옵션을 체크하면 알록달록 가로줄이 그어지며 좀있다 다운되버리더군요…
그래서 다시 1.0.6으로 돌아왔단…

뭐하나해보려해도 최소설치를 한 우분투라 추가된 PPA에서 파일을 받지못하는 문제가 있어서
이번에도 제대로 발목 잡히네요. 코덱이고뭐고 다 10.04의 시냅틱에 있는것보다는 윗버전을
요구하다보니… 우선 이 문제부터 확실하게 해결하고나서 다시 도전해봐야겠습니다.

리눅스에서 그래픽가드 문제는 아주 고질적이고 전통적인 문제인데… 이건 정말이지 개선되는게 더디네요.

그래픽카드 제조사들의 입장에선 개선해봐야 별로 얻을게 없으니까 그런거고, 오픈소스로 뭔가를 해보기에는 제약이 너무많고…

특히나 ati카드는 최신카드나 구형카드나 저가형이나 고급형이나 가릴 것없이 뭐하나 제대로 되는게 없습니다.

mplayer의 하드웨어가속 지원도 ati는 너무 불안정해서 거의 쓸모가 없습니다. vlc가 10.7 카탈리스트 이후로 제대로 지원한다는 소리는 윈도용일때 하는말이고 리눅스용에서는 안될겁니다. 결국은 리눅스를 쓸거면 그래픽카드 따로 살 것없이 내장용쓰는게 정답일 듯 합니다.

[quote="gewinde":2guq7k9a]리눅스에서 그래픽가드 문제는 아주 고질적이고 전통적인 문제인데… 이건 정말이지 개선되는게 더디네요.

그래픽카드 제조사들의 입장에선 개선해봐야 별로 얻을게 없으니까 그런거고, 오픈소스로 뭔가를 해보기에는 제약이 너무많고…

특히나 ati카드는 최신카드나 구형카드나 저가형이나 고급형이나 가릴 것없이 뭐하나 제대로 되는게 없습니다.

mplayer의 하드웨어가속 지원도 ati는 너무 불안정해서 거의 쓸모가 없습니다. vlc가 10.7 카탈리스트 이후로 제대로 지원한다는 소리는 윈도용일때 하는말이고 리눅스용에서는 안될겁니다. 결국은 리눅스를 쓸거면 그래픽카드 따로 살 것없이 내장용쓰는게 정답일 듯 합니다.[/quote:2guq7k9a]
아, 윈도우버전에서만… 그렇군요. 그래도 확실히 동영상재생이 전보다 매끄러워지긴 했습니다. 카탈은 까는김에 10.11로 깔았구요. 다만 윈도우에선 1080p Dxva로 매끄럽게 돌려주던것이 여기선 이따금 끊기고 CPU사용률이 100에 이르니 아쉬울 따름이죠.

원래 리눅스의 태생상 리눅스 데스크탑이란 단어자체가 잘 안어울리긴하죠;;
데스크탑의 기능중에 멀티미디어를 빼놓으면 안되는데… 점점 나아질거라 생각해야겠죠.
넷북사면 우분투 바로 그쪽으로 옮기려구요. 그전에 좋아지길 비는수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