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리크스 아마존 서버에서 차단

요즘 미국 외교 비밀문서를 터뜨려서 화제의 중심에 있는 위키리크스 [url:1oigg7un]http://cablegate.wikileaks.org[/url:1oigg7un] 가 아마존 서버를 이용 했었는데, 미국 정부와 정치인이 압력을 넣어서 아마존에서 더이상 호스팅을 안해준다고 합니다.

아마존 서버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가 짱짱한데 앞으로 어디에다 호스팅을 할련지 유럽쪽 서버를 이용할꺼라고 하고 있는데 말입니다…

미국이라는 나라도 말만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를 외치지 실제로 뒤에서 하는 짓은 언론을 검열하고 탄압하는 국가와 별로 다를 바 없죠.

암튼 위키리크스 운영자들 컴퓨터 지식이 빵빵한거는 분명해보여요, 분산도스공격을 받으니깐 아마존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해서 트래픽에 대응했다고 하니… :D

[quote="ahavatar":2jl5k3po]요즘 미국 외교 비밀문서를 터뜨려서 화제의 중심에 있는 위키리크스 [url:2jl5k3po]http://cablegate.wikileaks.org[/url:2jl5k3po] 가 아마존 서버를 이용 했었는데, 미국 정부와 정치인이 압력을 넣어서 아마존에서 더이상 호스팅을 안해준다고 합니다. [/quote:2jl5k3po]

이것때문에 요새 말많죠 쩝… 웃긴 건 어떤 신문에서는 자금문제때문에 사이트를 내렸다고 썼더군요 -_-

[quote="ahavatar":2jl5k3po] 암튼 위키리크스 운영자들 컴퓨터 지식이 빵빵한거는 분명해보여요, 분산도스공격을 받으니깐 아마존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해서 트래픽에 대응했다고 하니… :D[/quote:2jl5k3po]

사이트운영자가 Julian Assange라는 사람인데요. 이 분이 해커이기도 합니다 ㅋ

http://wikileaks.org

[quote="pepsirian":3eeql0sx]http://wikileaks.org 현재 접속이 안 되는군요.

아래의 새로운 주소를 써 보세요.

http://wikileaks.ch/[/quote:3eeql0sx]

현재 접속 가능 주소(Mirror) : [url:3eeql0sx]http://wikileaks.de[/url:3eeql0sx]

[quote="ahavatar":2pkf1lrl]미국이라는 나라도 말만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를 외치지 실제로 뒤에서 하는 짓은 언론을 검열하고 탄압하는 국가와 별로 다를 바 없죠.[/quote:2pkf1lrl]
어느 조직이나 내부 문건은 비공개 아닌가요? 어느 나라나 문서 공개는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나 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quote="ulepoz":hxjjbo8s][quote="ahavatar":hxjjbo8s]미국이라는 나라도 말만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를 외치지 실제로 뒤에서 하는 짓은 언론을 검열하고 탄압하는 국가와 별로 다를 바 없죠.[/quote:hxjjbo8s]
어느 조직이나 내부 문건은 비공개 아닌가요? 어느 나라나 문서 공개는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나 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quote:hxjjbo8s]

언론에서 내부문건을 폭로하는 것은 언론의 자유에 포함됩니다.

몇 년전에 영국 M16 첩보요원의 명단을 미국의 네티즌이 웹에 올려놨을 때 영국정부에서는 이를 막아달라고 요청했었으나 미국 정부는 언론자유를 명분으로 그대로 놔둔 것에서도 분명한 것이지요. 이 명단은 지금도 그대로 웹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 정부는 자기들 비밀문서가 공개되니깐 아주 중국처럼 검열을 하는 국가 못지 않게 언론을 탄압하고 있습니다. 서버 호스팅 업체에 압력 넣어서 호스팅을 못하게 하고 DNS 관리 업체에 압력을 넣어서 .org 서비스를 막아버리구 말이지요.

미국 헌법에는 언론자유는 완전 보장된다고 되있고 따라서 국가기관이 언론기관의 활동을 막는다던지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quote="ahavatar":pw2clejv][quote="ulepoz":pw2clejv][quote="ahavatar":pw2clejv]미국이라는 나라도 말만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를 외치지 실제로 뒤에서 하는 짓은 언론을 검열하고 탄압하는 국가와 별로 다를 바 없죠.[/quote:pw2clejv]
어느 조직이나 내부 문건은 비공개 아닌가요? 어느 나라나 문서 공개는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나 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quote:pw2clejv]

언론에서 내부문건을 폭로하는 것은 언론의 자유에 포함됩니다.

몇 년전에 영국 M16 첩보요원의 명단을 미국의 네티즌이 웹에 올려놨을 때 영국정부에서는 이를 막아달라고 요청했었으나 미국 정부는 언론자유를 명분으로 그대로 놔둔 것에서도 분명한 것이지요. 이 명단은 지금도 그대로 웹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 정부는 자기들 비밀문서가 공개되니깐 아주 중국처럼 검열을 하는 국가 못지 않게 언론을 탄압하고 있습니다. 서버 호스팅 업체에 압력 넣어서 호스팅을 못하게 하고 DNS 관리 업체에 압력을 넣어서 .org 서비스를 막아버리구 말이지요.

미국 헌법에는 언론자유는 완전 보장된다고 되있고 따라서 국가기관이 언론기관의 활동을 막는다던지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quote:pw2clejv]
정보 요원의 명단을 밝히는 게 왜 언론의 자유인지 모르겠군요. 언론·출판의 자유는 개인의 의견이나 사상을 외부에 발표하는 자유입니다. 우리나라 헌법에서도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언론·출판의 자유를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37조 2항).

http://100.naver.com/100.nhn?docid=110236

외국의 첩보요원 명단이니까 외교적으로 처리한거겠죠. 그런 사건은 사법부에서 담당하지 않고 행정부에서 처리했을테니까요. 그 네티즌이 CIA 첩보요원 명단을 공개했거나, 국적이 영국이었다면 구속되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최소한 그 명단은 내려졌겠죠.

[quote="ulepoz":2f0eschf]
정보 요원의 명단을 밝히는 게 왜 언론의 자유인지 모르겠군요. 언론·출판의 자유는 개인의 의견이나 사상을 외부에 발표하는 자유입니다. 우리나라 헌법에서도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언론·출판의 자유를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37조 2항).

http://100.naver.com/100.nhn?docid=110236

외국의 첩보요원 명단이니까 외교적으로 처리한거겠죠. 그런 사건은 사법부에서 담당하지 않고 행정부에서 처리했을테니까요. 그 네티즌이 CIA 첩보요원 명단을 공개했거나, 국적이 영국이었다면 구속되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최소한 그 명단은 내려졌겠죠.[/quote:2f0eschf]

대한민국처럼 표현과 언론의 자유가 없는 국가의 헌법을 들이대면서 모르겠다고 하면 우스운 꼴 밖에 안되는거죠. 미국은 언론 출판의 자유를 절대 제한할 수 없습니다. 헌법에 그렇게 되있어요. 언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