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공유에 관해서 질문이요

안녕하세요?
오늘 처음 설치해본 완전초보입니다.

폴더를 공유하려고 하는데 samba 설정을 꼭 해야하나요?
그냥 탐색기같은거에서 공유설정하면 안되는건가요??

[quote="athe":3qr6bguu]안녕하세요?
오늘 처음 설치해본 완전초보입니다.

폴더를 공유하려고 하는데 samba 설정을 꼭 해야하나요?
그냥 탐색기같은거에서 공유설정하면 안되는건가요??[/quote:3qr6bguu]

네 당연히 꼭 하셔야 됩니다.
pc 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즉 통신을 하는 것(네트워킹)이죠.
통신을 하려면? 양자 pc 가 서로 의사소통(데이터 주고 받기)을 하겠죠?

그러려면 서로 알아 먹을수 있는 규칙(프로토콜)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아야겠죠.
삼바는 프로토콜 입니다. 윈도우에서 네트워크 폴더에 이용되는 프로토콜이 NetBIOS 인데
삼바는 그것과 같은 리눅스/유닉스 계열의 호환 프로토콜 입니다.

윈도우와 폴더 공유를 하려면 반드시 설치해야 됩니다.

답변감사합니다.
samba 설치는 했습니다…
문제는 설정입니다… 설정을 꼭 해야 하는지…
인터넷 찾아보니 smb.conf 파일 설정을 하라고 하는데… 이게 좀 어찌해야할지…

사용자마다 폴더를 만들고 관리자는 전부 접속가능하고 각 사용자는 자기 폴더만 접속하게 만들려고 하거든요…
사용자는 모두 윈도우를 사용하구요…

컴퓨터화면(탐색기같은)에서 공유설정하고 권한 설정에서 했더니 접속은 되는데… 한번에 붙지를 못하네요…
재부팅했더니 화면에서는 공유표시(상하화살표)가 없어지고, 속성에 공유설정도 체크해제되어있네요…
그런데 윈도우에서 접속하면 폴더들 보이구요… --;;

완전초보라 답답하네요…
그냥 공유랑 삼바 공유랑 뭐가 다른건지도 궁금합니다…

제가 예전에 삼바로 파일서버 만들면서 했던 삽질과 비슷한 내용 같습니다.

smb.conf 보시면 주석처리된 예시들이 있는데요. 거기 거의 끝에 public 이란걸 보시면 읽어봐도 이해가 될정도일겁니다.

거기보면 사용자 지정이 없죠. 말 그대로 누구나 읽고 쓰게 하는 목적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윈도우의 권한을 적용하고 관리자는 수정도 할 수 있게 하려면 옵션이 있는데

nt acl support = yes 인가 아마 그렇습니다. samba.org에 가면 자세한 설명이 있고, 그게 문제가 아니라

사용자 인증입니다. 윈도우 사용자들은 모두 다 administrator를 쓰는지 아니면 각자의 id가 있는지 (한글 로그인 아이디는 난감합니다)

사용자정보가 중앙관리식인지 (Active Directory) 에 따라 다 다릅니다.

환경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고, 어떻게 서버를 구성하겠다는 그림이 있다면 실제 서버 작업은 간단히 끝납니다.

댓글로 적기에는 너무 장황하고 간단히만 말씀드리면 윈도우 사용자들의 아이디가 제각각이겠죠.

그 아이디가 삼바서버로 접근할때 삼바서버, 즉 리눅스 서버는 그 아이디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패스워드까지 얻어서 인증해야 합니다

public으로 누구나 읽고 쓰게 만드는 것은 그냥 디폴트 smb.conf에 경로만 수정해주면 땡이지만 각 사용자별 개인디렉토리 구성하려면

생각을 좀 해야합니다. 사용자가 몇명뿐이라면 윈도우의 아이디/패스워드를 똑같이 리눅스 서버에 만들어주고 smb.conf에서

붙여넣기 신공으로 valid user와 경로만 수정해주면 됩니다만 수십~수백명 넘어가면 NIS구성을 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