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알기론 우분투등의 리눅스는 GPL이라 회사등에서 업무용으로 써도 지장이 없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회사에서 보안등에 민감한 시기라… 괘안히 걱정이 되어 질문을 올립니다…
회사에서 업무용으로 우분투를 설치하고 사용해도 괜찮은 거겠죠?
제가 알기론 우분투등의 리눅스는 GPL이라 회사등에서 업무용으로 써도 지장이 없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회사에서 보안등에 민감한 시기라… 괘안히 걱정이 되어 질문을 올립니다…
회사에서 업무용으로 우분투를 설치하고 사용해도 괜찮은 거겠죠?
보안에 민감하시다는게 어떤 의미인지에 따라…
회사에서 윈도우만 지원하는 인트라넷 전용 소프트웨어, 보안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강요하는 이상한 형태라면 우분투 안쓰시는게 낫죠…
하지만
회사에서 존중만 해준다면 윈도우보다 우분투나 보안 관련 배포판 쓰시는게 좋습니다.
다만 우분투나 무엇을 쓰시든 최종적으로는 스스로 얼마나 보안 관련 사항을 주의하느냐가 제일 중요합니다.
솔직히 말해서 윈도우즈도 보안에 그리 무책임한 OS는 아닙니다. UAC등을 보면 알 수 있지요. 문제는 그걸 사용 하는 사람들이 UAC등을 불편해 한다는 겁니다. Vista가 처음 나왔을 때 기존의 우분투유저였던 저는 windows폴더에 접근이 안 되는 것을 보고 당연하다는 반응을 했던 반면에 XP를 관리자모드에서만 사용하던 친구는 당황하더라구요. (심지어 관리자계정으로 실행이라는 것을 이해를 못하더군요. 우분투의 sudo 같은 건데…최근의 안드로이드 루팅을 하면서 이해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커흑.)
제가 보기에는 리눅스/유닉스의 계정정책을 윈도우즈에서 받아들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회사 인트라넷에서 Vista/7 사용을 할 수 있다면(관리자모드가 아닌 일반모드로) 우분투 사용도 가능할 겁니다.
회사에서 업무용으로 사용해도 법적으로 문제는 전혀 없습니다. 다만, tuberosity님이 말씀하신 것 처럼 상당수의 회사에선 보안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사내 인트라넷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보안을 유지하기 때문에 그런 곳은 당장 인터넷 연결부터 문제가 되실겁니다.
(문법 수정) -_-
회사 서버의 99%정도는 죄다 리눅스지만
ms 오피스, 쉐어포인트때문에 업무용OS로 다른 OS는 고려하기 힘들더군요.
다만 MS Office만을 사용해야 한다면 조금 곤란해 질지도 모르겠네요. Wine으로 MS Office가 사용 가능하다고는 하는데 저 같으면 리브레오피스 씁니다. 제일 큰 문제는 HWP인데… 그냥 저같이 임시로 docx를 hwp로 변환해서 쓰시는 용도라면 모르겠지만 hwp를 문서 작업할 때 쓰셔야 한다면 리눅스용 한글 구입을 고려해 봐야 합니다. 다만, 리눅스용 한글도 엄청난 삽질이 기다리고 있으니 별로 추천해 주고 싶지는 않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