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계통도를 보면서

리눅스 계통도를 우연히 검색하다 다시 보게 되었는데요

[img:1egt2j47]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8/8c/Gldt.svg[/img:1egt2j47]

예전에도 이미 본 기억이 있군요 그런데 이거 위키에서 보니 매년 업데이트 되나 봅니다.

위키 http://en.wikipedia.org/wiki/File:Gldt.svg

실은 안드로이드 파편화에 대한 글들을 검색하면서 어떤 분이 포스트한 내용 중 리눅스 계통도 이야기가 나와서요

그렇게 보니 예전에 계통도를 보았을 때는 와 대단하다 이렇게나 많이 있다니!! 하는 감탄을 했었는데

그 포스트를 읽고 다시보니 아 이미 리눅스는 파편화 된 상태구나…라는 느낌이네요

그 포스트 내용이 뭐냐면 요즘 국내 안드로이드 폰들 보면 사전이나 지하철노선검색 그리고 버스정류장 관련 앱들을

비롯해 좀 인기 있고 편리한 앱들을 자사 폰에 미리 설치해 주는데 이러한 앱들이 정작 마켓에는 없어서

그 제조사 폰이 아닌 다른 폰에서는 돈주고라도 설치할 수도 없고 또 어떻게든 어둠의 결로로 파일을 따로 받아 설치 된다

하더라도 작동이 안 되는데 이렇게 되면 안드로이드의 미래가 어둡지 않을까하는 내용입니다. 그러면서 리눅스계통을 보면

이렇게 수십개로 파편화 되어 있는데 이거 보면 안드로이드도 이렇게 되지 않을 거라 할 수 있을까라고 이야기 하는데

보면서 좀 그렇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요즘 우분투와 윈도우즈7을 같이 쓰면서 그리고 인터넷에 있는 맥os 사용기를 보면서 느끼는 점은

이전에 우분투 내지 리눅스가 내세웠던 더 빠르고 더 안정적이고 하는 등의 장점이 이제는 장점이 되지 않는 구나라고

느꼈고 오히려 드라이버 지원문제 경우에는 지원이 잘 되지 않아서 하드웨어의 특히 그래픽카드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을 못하는 것을 보면서 뒤떨어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드는 생각이 리눅스도 이제 뭔가 하나의 틀에서 통일적인 일관성있는 개발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엔드유저로서의 바램이 있습니다.

얼마전 맥앱스토어가 열렸습니다. 이제 맥북이나 아이맥이나 맥데스크탑에서도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처럼

여러가지 애플리케이션을 구입하여 다운 받아 사용할 수 있는데요 전에 다른 분들께서도 말씀들 하셨지만

거의 우분투의 소프트웨어센터와 흡사하지요 그런테 이 맥앱스토어에는 마소의 오피스도 올라와 있답니다.

맥앱스토어에서 장사가 되니까 아무리 마소라도 맥에도 들어가고 하는데요

우분투의 소프트웨어 센터라는 것은 비교하자면 많이 초라한 느낌이 드는 것은 저만은 아닐 거란 생각이 듭니다.

이제 리눅스도 대동단결의 큰 변화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여러개발자들이 힘을 합쳐 좋은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 낸

다면 좀 더 많은 사람에게 리눅스가 전해질 것이고 또 GNU의 좋은 정신도 좀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질 수 있을

것이고 그렇게 되면 시장성이 커져서 좀더 좋은 앱들이나 서비스가 또 등장하게 되고 이렇게 선순환 될 수 있는 여지가

얼마든지 있다고 믿습니다.

리눅스의 대동단결을 염원해 봅니다.

이런 그림이 좀 크네요 -__-;;

[quote="yoseobi":3ar7r8tg]리눅스 계통도를 우연히 검색하다 다시 보게 되었는데요

[img:3ar7r8tg]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8/8c/Gldt.svg[/img:3ar7r8tg]

예전에도 이미 본 기억이 있군요 그런데 이거 위키에서 보니 매년 업데이트 되나 봅니다.

위키 http://en.wikipedia.org/wiki/File:Gldt.svg

실은 안드로이드 파편화에 대한 글들을 검색하면서 어떤 분이 포스트한 내용 중 리눅스 계통도 이야기가 나와서요

그렇게 보니 예전에 계통도를 보았을 때는 와 대단하다 이렇게나 많이 있다니!! 하는 감탄을 했었는데

그 포스트를 읽고 다시보니 아 이미 리눅스는 파편화 된 상태구나…라는 느낌이네요

그 포스트 내용이 뭐냐면 요즘 국내 안드로이드 폰들 보면 사전이나 지하철노선검색 그리고 버스정류장 관련 앱들을

비롯해 좀 인기 있고 편리한 앱들을 자사 폰에 미리 설치해 주는데 이러한 앱들이 정작 마켓에는 없어서

그 제조사 폰이 아닌 다른 폰에서는 돈주고라도 설치할 수도 없고 또 어떻게든 어둠의 결로로 파일을 따로 받아 설치 된다

하더라도 작동이 안 되는데 이렇게 되면 안드로이드의 미래가 어둡지 않을까하는 내용입니다. 그러면서 리눅스계통을 보면

이렇게 수십개로 파편화 되어 있는데 이거 보면 안드로이드도 이렇게 되지 않을 거라 할 수 있을까라고 이야기 하는데

보면서 좀 그렇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요즘 우분투와 윈도우즈7을 같이 쓰면서 그리고 인터넷에 있는 맥os 사용기를 보면서 느끼는 점은

이전에 우분투 내지 리눅스가 내세웠던 더 빠르고 더 안정적이고 하는 등의 장점이 이제는 장점이 되지 않는 구나라고

느꼈고 오히려 드라이버 지원문제 경우에는 지원이 잘 되지 않아서 하드웨어의 특히 그래픽카드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을 못하는 것을 보면서 뒤떨어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드는 생각이 리눅스도 이제 뭔가 하나의 틀에서 통일적인 일관성있는 개발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엔드유저로서의 바램이 있습니다.

얼마전 맥앱스토어가 열렸습니다. 이제 맥북이나 아이맥이나 맥데스크탑에서도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처럼

여러가지 애플리케이션을 구입하여 다운 받아 사용할 수 있는데요 전에 다른 분들께서도 말씀들 하셨지만

거의 우분투의 소프트웨어센터와 흡사하지요 그런테 이 맥앱스토어에는 마소의 오피스도 올라와 있답니다.

맥앱스토어에서 장사가 되니까 아무리 마소라도 맥에도 들어가고 하는데요

우분투의 소프트웨어 센터라는 것은 비교하자면 많이 초라한 느낌이 드는 것은 저만은 아닐 거란 생각이 듭니다.

이제 리눅스도 대동단결의 큰 변화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여러개발자들이 힘을 합쳐 좋은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 낸

다면 좀 더 많은 사람에게 리눅스가 전해질 것이고 또 GNU의 좋은 정신도 좀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질 수 있을

것이고 그렇게 되면 시장성이 커져서 좀더 좋은 앱들이나 서비스가 또 등장하게 되고 이렇게 선순환 될 수 있는 여지가

얼마든지 있다고 믿습니다.

리눅스의 대동단결을 염원해 봅니다.

이런 그림이 좀 크네요 -__-;;[/quote:3ar7r8tg]

파편화는 예견 되어졌던 것 아닐까요? 리눅스의 종류는 저렇게 많기는 하지만 자세히보면 몇가지 계통으로 쉽게 구분이 됩니다. Geexbox나 Movix같이 특화된 리눅스는 그렇다 치고 데스크탑은 거의 오픈수세, 페도라코어, 우분투, 데비안 대충 이 정도라고 보면 될 것 같고요. 서버는 좀 파편화가 많이 된 편인데 이건 넘어가고요.(서버에서 앱스토어를 쓸 일이 있겠어요? 대부분 필요한 것들은 배포판에 미리 포함되어 있는데?)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라이브러리 같은 것은 공유를 하고 있습니다. (rpm이냐 deb이냐는 넘어가자고요. 설치하면 같은 *.so인데 - 페도라 라이브러리도 우분투에서 쓸 수 있더라구요.)

안드로이드 같은 경우에는 구글에서 앱 개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걸 지키지 않는 회사들이지요. (대표적으로 삼X 갤S입니다. 많은 개발자들이 자기 앱이 이 폰에서만 안 돌아가는 뭐 같은 현상을 발견했지요. 가이드라인에 맞게 개발된 앱을 돌릴 수 있게 커널을 수정해야 하는데 가이드라인이고 뭐고 일단 자기네들이 만든 앱이 돌아가도록 커널을 파괴(…)했습니다.) 가이드라인을 지키기만 한다면 안드로이드는 문제가 없습니다.

무엇보다 어차피 다 같은 커널이잖아요? 소스커널은 똑같은 거 쓰는데 뭐가 문제에요?

저도 그런생각많이 했었어요
집중적인 지원을 했으면 더 발전하지않았을까는…
모든 프로그램이 윈도우처럼 터미널 안거치고 클릭만으로 설치할수있었으면 좋겠네요

[quote="kjm89":1z22k35z]
파편화는 예견 되어졌던 것 아닐까요? 리눅스의 종류는 저렇게 많기는 하지만 자세히보면 몇가지 계통으로 쉽게 구분이 됩니다. Geexbox나 Movix같이 특화된 리눅스는 그렇다 치고 데스크탑은 거의 오픈수세, 페도라코어, 우분투, 데비안 대충 이 정도라고 보면 될 것 같고요. 서버는 좀 파편화가 많이 된 편인데 이건 넘어가고요.(서버에서 앱스토어를 쓸 일이 있겠어요? 대부분 필요한 것들은 배포판에 미리 포함되어 있는데?)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라이브러리 같은 것은 공유를 하고 있습니다. (rpm이냐 deb이냐는 넘어가자고요. 설치하면 같은 *.so인데 - 페도라 라이브러리도 우분투에서 쓸 수 있더라구요.)

안드로이드 같은 경우에는 구글에서 앱 개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걸 지키지 않는 회사들이지요. (대표적으로 삼X 갤S입니다. 많은 개발자들이 자기 앱이 이 폰에서만 안 돌아가는 뭐 같은 현상을 발견했지요. 가이드라인에 맞게 개발된 앱을 돌릴 수 있게 커널을 수정해야 하는데 가이드라인이고 뭐고 일단 자기네들이 만든 앱이 돌아가도록 커널을 파괴(…)했습니다.) 가이드라인을 지키기만 한다면 안드로이드는 문제가 없습니다.

무엇보다 어차피 다 같은 커널이잖아요? 소스커널은 똑같은 거 쓰는데 뭐가 문제에요?[/quote:1z22k35z]

커널은 같아도 설치된 패키지는 다를 수가 있지요. 특히 다른 배포판이면 패키지 버전이 다른 경우가 허다하구요. 의존성 문제로 한 번 꼬이기 시작하면 골치아프잖아요?

[quote="Inbae":22vkomhw][quote="kjm89":22vkomhw]
파편화는 예견 되어졌던 것 아닐까요? 리눅스의 종류는 저렇게 많기는 하지만 자세히보면 몇가지 계통으로 쉽게 구분이 됩니다. Geexbox나 Movix같이 특화된 리눅스는 그렇다 치고 데스크탑은 거의 오픈수세, 페도라코어, 우분투, 데비안 대충 이 정도라고 보면 될 것 같고요. 서버는 좀 파편화가 많이 된 편인데 이건 넘어가고요.(서버에서 앱스토어를 쓸 일이 있겠어요? 대부분 필요한 것들은 배포판에 미리 포함되어 있는데?)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라이브러리 같은 것은 공유를 하고 있습니다. (rpm이냐 deb이냐는 넘어가자고요. 설치하면 같은 *.so인데 - 페도라 라이브러리도 우분투에서 쓸 수 있더라구요.)

안드로이드 같은 경우에는 구글에서 앱 개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걸 지키지 않는 회사들이지요. (대표적으로 삼X 갤S입니다. 많은 개발자들이 자기 앱이 이 폰에서만 안 돌아가는 뭐 같은 현상을 발견했지요. 가이드라인에 맞게 개발된 앱을 돌릴 수 있게 커널을 수정해야 하는데 가이드라인이고 뭐고 일단 자기네들이 만든 앱이 돌아가도록 커널을 파괴(…)했습니다.) 가이드라인을 지키기만 한다면 안드로이드는 문제가 없습니다.

무엇보다 어차피 다 같은 커널이잖아요? 소스커널은 똑같은 거 쓰는데 뭐가 문제에요?[/quote:22vkomhw]

커널은 같아도 설치된 패키지는 다를 수가 있지요. 특히 다른 배포판이면 패키지 버전이 다른 경우가 허다하구요. 의존성 문제로 한 번 꼬이기 시작하면 골치아프잖아요?[/quote:22vkomhw]

하긴 그건 그래요. 다른 건 크게 문제가 없는데 한글 설치 할 때 참 골치 아파서…(이제는 그냥 귀찮아서 아시아눅스에서 복사 해 와 요…)

[quote="yoseobi":20oklylh]그 포스트 내용이 뭐냐면 요즘 국내 안드로이드 폰들 보면 사전이나 지하철노선검색 그리고 버스정류장 관련 앱들을

비롯해 좀 인기 있고 편리한 앱들을 자사 폰에 미리 설치해 주는데 이러한 앱들이 정작 마켓에는 없어서

그 제조사 폰이 아닌 다른 폰에서는 돈주고라도 설치할 수도 없고 또 어떻게든 어둠의 결로로 파일을 따로 받아 설치 된다

하더라도 작동이 안 되는데 이렇게 되면 안드로이드의 미래가 어둡지 않을까하는 내용입니다.[/quote:20oklylh]그건 파편화와는 상관없지 않나요?
그런 프로그램들은 자사의 안드로이드에만 설치되도록 의도적으로 제작해서 그런 게 아닐까요?
마치 삼성이나 HP의 노트북에 설치된 프로그래은 다른 노트북에서는 잘 안돌아가는 것처럼요.

[quote="yoseobi":20oklylh]그러면서 드는 생각이 리눅스도 이제 뭔가 하나의 틀에서 통일적인 일관성있는 개발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엔드유저로서의 바램이 있습니다.[/quote:20oklylh]저도 그런 생각이 들기는 합니다.
그리고 최근 우분투 개발에서 notifyosd라든가 unity나 utouch를 보면 캐노니컬이 그런 생각으로 최근 나아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quote="yoseobi":20oklylh]맥앱스토어에서 장사가 되니까 아무리 마소라도 맥에도 들어가고 하는데요[/quote:20oklylh]마소와 애플사는 물론 서로 경쟁사이기는 하지만 관련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닙니다.
사파리가 개발되기 전에는 맥에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공급했었고 맥용 오피스를 지금도 꾸준히 지원하고 있지요.
마소 아크 마우스도 맥을 공식적으로 지원합니다.

[quote="jincreator":jsxeqyig][quote="yoseobi":jsxeqyig]맥앱스토어에서 장사가 되니까 아무리 마소라도 맥에도 들어가고 하는데요[/quote:jsxeqyig]마소와 애플사는 물론 서로 경쟁사이기는 하지만 관련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닙니다.
사파리가 개발되기 전에는 맥에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공급했었고 맥용 오피스를 지금도 꾸준히 지원하고 있지요.
마소 아크 마우스도 맥을 공식적으로 지원합니다.[/quote:jsxeqyig]
여담입니다만 구글이 안드로이드폰 개발하니까 애플이 삐져서 검색엔진을 구글에서 빙으로 옮겨탔다죠…

저어… 외람된 이야기지만 이미지가 너무 큽니다;;;;

여하튼… 리눅스 계통도 최신판 보니 이거 뭐 거의 사람 족보수준이네요;

1-2년 전에 본 것보다 더욱;

[quote="hacking_u":17vfpsra]저어… 외람된 이야기지만 이미지가 너무 큽니다;;;;

여하튼… 리눅스 계통도 최신판 보니 이거 뭐 거의 사람 족보수준이네요;

1-2년 전에 본 것보다 더욱;[/quote:17vfpsra]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 ... dt.svg.png

너무 커서 못 보겠다 싶으신 분들은, 위 링크에서 1000 숫자 대신에 자신의 해상도 가로 수치에서 20정도 뺀 숫자를 넣어서 들어가시면 됩니다.
최신 버전은 http://futurist.se/gldt 에서 볼 수 있네요. 매달 업데이트 되는 모양입니다.
정말 너무 큰 그림이 두 개나 있으니 글타래가 너무 길어지네요;;

//데비안 집안이 제일 흥했네요 ㅋㅋㅋ

[quote="freaxtux":19r5m11b][quote="jincreator":19r5m11b][quote="yoseobi":19r5m11b]맥앱스토어에서 장사가 되니까 아무리 마소라도 맥에도 들어가고 하는데요[/quote:19r5m11b]마소와 애플사는 물론 서로 경쟁사이기는 하지만 관련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닙니다.
사파리가 개발되기 전에는 맥에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공급했었고 맥용 오피스를 지금도 꾸준히 지원하고 있지요.
마소 아크 마우스도 맥을 공식적으로 지원합니다.[/quote:19r5m11b]
여담입니다만 구글이 안드로이드폰 개발하니까 애플이 삐져서 검색엔진을 구글에서 빙으로 옮겨탔다죠…[/quote:19r5m11b]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MS와 애플이 경쟁 관계라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대체재를 생각해보면 답이 쉽게 나옵니다. 윈도우가 덜 팔린다고 맥이나 맥오에스가 더 팔리지 않고 오피스가 더 팔린다고 해서 애플의 매출이 줄어들지 않거든요. 애플이나 애플 사용자들이 MS를 적대시하는 이유는 사실은 마케팅적인 측면이 강하죠. MS는 이런 쪽으로는 애플을 잘 이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만.

[quote="logout":1rzeugnn][quote="freaxtux":1rzeugnn][quote="jincreator":1rzeugnn][quote="yoseobi":1rzeugnn]맥앱스토어에서 장사가 되니까 아무리 마소라도 맥에도 들어가고 하는데요[/quote:1rzeugnn]마소와 애플사는 물론 서로 경쟁사이기는 하지만 관련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닙니다.
사파리가 개발되기 전에는 맥에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공급했었고 맥용 오피스를 지금도 꾸준히 지원하고 있지요.
마소 아크 마우스도 맥을 공식적으로 지원합니다.[/quote:1rzeugnn]
여담입니다만 구글이 안드로이드폰 개발하니까 애플이 삐져서 검색엔진을 구글에서 빙으로 옮겨탔다죠…[/quote:1rzeugnn]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MS와 애플이 경쟁 관계라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대체재를 생각해보면 답이 쉽게 나옵니다. 윈도우가 덜 팔린다고 맥이나 맥오에스가 더 팔리지 않고 오피스가 더 팔린다고 해서 애플의 매출이 줄어들지 않거든요. 애플이나 애플 사용자들이 MS를 적대시하는 이유는 사실은 마케팅적인 측면이 강하죠. MS는 이런 쪽으로는 애플을 잘 이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만.[/quote:1rzeugnn]

MS에게 애플은 또 다른 시장일 뿐이지요. Windows가 맥에 설치되기 시작하면서부터 OS 시장의 장악이 더 커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왜냐하면 기존의 맥 사용자들이 (맥 사용자들은 애플에 충성하기로 유명하지요.-인텔 맥이 나왔을 때 이 인텔맥을 구입한 사람들은 대부분 기존의 맥 사용자들입니다.) 부트캠프를 이용해서 테스트 겸 사용 겸 많이 설치를 했거든요.

해킨토시의 경우에는 논외로 치자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