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ote="chengshan":2v9i0te8]
여…열살이요…??? 충분히 대단한거 아닌가요…???
컴퓨터에 전혀 관심없는사람이라도 손쉽게 포맷하고 재설치할수있는 OS가 좋은 OS의 조건이라는 말씀이시군요 ㅎㅎ
적극 동의합니다. 최소한 우분투는 그러려고 노력하고있다는게 버전이 올라갈때마다 느낄수 있더군요
[s:2v9i0te8]파티션분할은 빼고…[/s:2v9i0te8]
[quote="chengshan":2v9i0te8]
여…열살이요…??? 충분히 대단한거 아닌가요…???
컴퓨터에 전혀 관심없는사람이라도 손쉽게 포맷하고 재설치할수있는 OS가 좋은 OS의 조건이라는 말씀이시군요 ㅎㅎ
적극 동의합니다. 최소한 우분투는 그러려고 노력하고있다는게 버전이 올라갈때마다 느낄수 있더군요
[s:2v9i0te8]파티션분할은 빼고…[/s:2v9i0te8]
[quote="chengshan":3irjrnyo]큰애가 열살입니다. 컴퓨터에 관심이 많아 조기(?)교육을 했습니다. 컴퓨터 분해 조립을 곧잘 하네요…
아이가 인터넷에 떠 있는 내용을 참조해 윈도 usb 설치 디스크 만들어 설치하는데 4시간 정도 걸리더군요.
그러더니 아빠가 쓰는 우분투에 관심을 가지길래, 오래된 노트북(hp nx 7010)을 주고 usb 설치를 해보라 했습니다.
그런데 코분투 10.10을 5일 정도 걸려서 설치하더군요.
설치는 되는데 화면이 안나타나고, 두세번 리셋해야 grub로 들어가고, 멀티부팅하면서 인터넷 꼬이는거 등등…
옆에서 아무런 조언을 안했습니다. 인생은 혼자 살아가는 거라 이마를 몇번 팅겨주면서요… ^.^ [/quote:3irjrnyo]
많이 부럽습니다.
좋은 아버지가 되어 영재교육에 많이 투자 하시네요.
저도 아기가 생기면 제가 배운 모든걸 알려주고 싶네요.
아직 결혼도 몇년뒤 예기지만 ;;
맞는 말입니다… -_- 재 설치 할때 아예 쉬운 설치의 경우 기존 쓰던 녀석을 밀어 버리고 새로 설치 하는 방법을 쓸수 없더군요…
이 부분은 매우 불편 한 부분입니다 이걸 수동으로 해서 설치 해야 하는대 초보자들… 윈도우 포멧도 쩔쩔 매는 국내 사용자들에게는…
엄청난 벽이라고 생각 합니다 저 역시 초창기에 이것 때문에 고민 이였고 굉장히 힘들었습니다…
그리고 부팅을 윈도우와 함께 하는 분들이 많은대 이걸 복구 하는 부분이 매우 어렵게 만들어 졌습니다…
맨드라바의 경우 굉장히 복구가 쉽게 디자인 되어 있습니다 이것도 예전에 건의 사항으로 올렸으나 아직도 수정 되지 않았더군요…
대충 그렇네요… ㅎㅎ 멀티 복구 말이죠…(윈도우로 복구 하고 다시 리눅스로 복구 하고 맨드라아바는 그렇게 가능 합니다…)
초보자의 시점에서 보지 않으면… 발전은 없습니다…
난 13살때 시작했던가… ( 근데 몇달전부터 핼보이가 안보이넹 =.= )
이젠 중 2라니 ㅜ
오!~! 벌써 리눅스를 접하시고 계시군요 ㅠㅠ 부럽습니다… 어른 되면 고수 될듯 하내요… 물론 계속 하면…
미래가 보이네요 ㅎㅎ;; 리눅스는 국가가 나서서 초등 학교에서 부터 필수로 교육 과정에 넣으면 좋겠어요…
윈도우만 배울것이 아니라…
ㅠㅠ 전 중딩때 친구 녀석이 하자고 했는대 엄두가 안나서 안했는대 후해 되더라고요 ㅎㅎ;; 지금 그녀석은… 컴퓨터 관련 관리자로 있을꺼에요… ㅋㅋ;;
[quote="chengshan":j68rt60e]:우분투의 미래를 생각하게 되더군요. 많은 반성을 했습니다.
우분투가 더 쉽고, 더 낮은데를 향하지 않는다면…
알듯 모를듯 한 말들로 '이정도는 알아야지’라며 보이지 않는 유리천장을 만든다면…
보다 근본적으로는 사용자들이 리눅스 정신을 잊어버린다면…[/quote:j68rt60e]
해서 리눅스 정신을 키워드로 찾아보니,
http://kldp.org/node/66556‘인터넷 없었다면 리눅스 탄생과 영광은 불가능했을 것’ 이란 타이틀과 미국 MIT대학 교수인 리처드 스톨만
의 GNU(GNU is Not Unix.유닉스가 아닌 그 무엇) 프로젝트 주도라는 글귀가 들어 오네요 !
제 아들은 3년전 우분투를 설치 했는데, 너무 쉽게 설치하는 하드웨어 사양이었습니다. (인텔 보드에 nvidia 그래픽…)
저는 보통 웬만한 노트북에 쉽게 설치하지만…
설치 후 부팅시 화면이 안나오는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전공하는 대학생도 난감해합니다.
좀 설치가 쉬운 하드웨어를 주시지 그러셨어요
— 요기부터는 농담반/진담반 입니다. —
참 요즘은 새로운 우분투 영재들이 안나타나는 군요
2년전 한빈, HellB0y, dmsqls7353 등… 우분투 영재 1기 이후 2기 출범이 안되고 있군요
[list:2owclb7e][size=150:2owclb7e]한국 우분투 영재 학교 [/size:2owclb7e]
교장 : [url=http://bundo.biz/hardships.gif:2owclb7e]강분도[/url:2owclb7e]
전임 교사 : [url=http://www.ubuntu.or.kr/download/file.php?id=3967:2owclb7e]소미 : amorette[/url:2owclb7e]
[:2owclb7e]우분투 영재학교는 포럼과 IRC에서 수 없는 질문/반복 학습과 다구/왕따를 통해…[/2owclb7e]
[:2owclb7e]동영상플레이어를 컴파일하여 동영상 가속의 원리를 배우고[/2owclb7e]
[:2owclb7e]전공자도 어려운 파이어폭스를 컴파일하여 웹브러우져의 원리를 깨닫고[/2owclb7e]
[:2owclb7e]젠투 설치와 아치리눅스 더 나아가 Linux Standard Base까지 하다가 우분투를 배신하게 되는 과정을 이수합니다.[/2owclb7e]
[:2owclb7e]특혜 : 우분투 대세미나에 참석 못하는 영재도 우분투티를 받게 됩니다.[/2owclb7e]
[:2owclb7e]모집 대상 : 키보드 위리어며 대수학 대수롭지 않아 물리학 물려받은 무서운 초딩[/2owclb7e]
[:2owclb7e]기숙사 완비 : IRC에 따로 찌질대며 놀 수 있는 독방(#ubuntu-kids) 24시간 가능[/2owclb7e][/list:u:2owclb7e]
chengshan님 자제분을 우분투 영재 스쿨에 보내 주십시오
그런데 문제는 교사가 행불?/실종?/가출? 상태 입니다.
[quote="강분도":3nae52fa][size=150:3nae52fa]한국 우분투 영재 학교 [/size:3nae52fa][/quote:3nae52fa]
저도 다녔으면 좋았을텐데 아쉽게도 때를 놓쳤네요
우분투에서 카트라이더만 돌릴 수 있었으면 유민군 한명 더 넣고 2기 출범할 수 있었을텐데 말이죠
분도님 영재학교 소개글 보고 빵 터졌어요 ㅎㅎ
[quote="chengshan":2zho2m6f]:o 큰애가 열살입니다. 컴퓨터에 관심이 많아 조기(?)교육을 했습니다. 컴퓨터 분해 조립을 곧잘 하네요…
아이가 인터넷에 떠 있는 내용을 참조해 윈도 usb 설치 디스크 만들어 설치하는데 4시간 정도 걸리더군요.
그러더니 아빠가 쓰는 우분투에 관심을 가지길래, 오래된 노트북(hp nx 7010)을 주고 usb 설치를 해보라 했습니다.
그런데 코분투 10.10을 5일 정도 걸려서 설치하더군요.
설치는 되는데 화면이 안나타나고, 두세번 리셋해야 grub로 들어가고, 멀티부팅하면서 인터넷 꼬이는거 등등…
옆에서 아무런 조언을 안했습니다. 인생은 혼자 살아가는 거라 이마를 몇번 팅겨주면서요… ^.^
우분투의 미래를 생각하게 되더군요. 많은 반성을 했습니다.
우분투가 더 쉽고, 더 낮은데를 향하지 않는다면…
알듯 모를듯 한 말들로 '이정도는 알아야지’라며 보이지 않는 유리천장을 만든다면…
보다 근본적으로는 사용자들이 리눅스 정신을 잊어버린다면…
저 4시간과 5일의 차이를 좁히는 것은 요원한 일이라 여겨집니다.
아이들에게서 많이 배우는 요즘입니다.[/quote:2zho2m6f]
아이들에게 설치까시 시켜볼 필요가 있을까요? ㅎㅎㅎ
일단 익숙해지고 잘쓰게하는것만으로도 큰 효과가 있을것 같은데.
에듀분투같은 우분투가 프리인스톨된 어린이용 PC같은게 있으면 좋을 것도 같고…
(우리나라에선 역시 안되겠죠?)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드는군요.
한가지 일에 쉽게 질려하는 10살짜리 아이가 5일 동안이나 매달리게 한 원동력은 과연 무엇이었을까라는…
제가 아는 몇몇의 중학생과 상당수 어른들은 리눅스는 고사하고 MS윈도우도 설치를 못하더군요.
10살 먹은 아이가 4~5일 걸려서 우분투 설치에 성공했다는 것은 대단한 겁니다.
[quote="cogniti":1tbio84t]제가 아는 몇몇의 중학생과 상당수 어른들은 리눅스는 고사하고 MS윈도우도 설치를 못하더군요.
10살 먹은 아이가 4~5일 걸려서 우분투 설치에 성공했다는 것은 대단한 겁니다.[/quote:1tbio84t]
M$ 윈도 설치는 우분투 보다 어려우니 못할수도 있습니다.
ㅋㅋㅋ
윈도 설치는 우분투에 비해 너무 귀찮고 시간도 오려걸려서
요즘 누가 윈도 좀 설치해달라고하면 정말 단호하게 거절합니다.
매번 우분투를 라이브 USB로 설치하다보니 CD나 DVD로 운영체제 설치하는게 참 귀찮고 싫더군요. ^^;
그리고 윈도는 여기저기 따로 흝어진 파일들 찾아서 백업하기도 귀찮고
우분투는 그냥 home만 복사했다가 다시 돌려놔주면 되니까 그것도 편하고.
우분투는 쓰면 쓸수록 사람을 게을러지게 만듭니다.
이제는 확실히 말할 수 있습니다.
한 컴퓨터에 두개의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우분투 설치가 윈도우 설치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리눅스, 특히 우분투는 하드웨어 조합이 잘 맞으면 윈도우는 쨉도 안되게 설치가 쉽습니다.
하지만 하드웨어 조합이 안 맞으면 설치가 정말 난감합니다.
하드웨어 업체들의 적극 적인 지원이 아쉽습니다.
쫌 뜬금없나…
[quote="kwon37xi":2ijeji6z]리눅스, 특히 우분투는 하드웨어 조합이 잘 맞으면 윈도우는 쨉도 안되게 설치가 쉽습니다.
하지만 하드웨어 조합이 안 맞으면 설치가 정말 난감합니다.
하드웨어 업체들의 적극 적인 지원이 아쉽습니다.
쫌 뜬금없나…[/quote:2ijeji6z]
우분투 사용자들이 우분투를 지원하는 하드웨어라고 더 구입하거나
더 비용을 지불하지 않으니 안할 수 밖에요^^
[quote="cocooner":1sqhlwfr]
우분투 사용자들이 우분투를 지원하는 하드웨어라고 더 구입하거나
더 비용을 지불하지 않으니 안할 수 밖에요^^[/quote:1sqhlwfr]
한가지가 있다면 전 친구들에게 ATI보다는 Nvidia를 추천합니다. 무조건 Nvidia입니다. 그녀석이 우분투를 쓰던지 말던지 지원이 더 잘되는 Nvidia를 추천하게 됩니다. 갈륨3D를 써도 불안정한 ATI는 좀 힘듭니다.
오늘은 X가 주기적으로 죽어주시는 증상까지 나오네요. 노트북만 아니면 당장 용산가서 Nvdia로 갈아탔습니다.
이 정도만 해도 우분투 지원 하드웨어라고 더 구입하는 거 아닐까요?
[quote="freaxtux":2y7sekmz][quote="강분도":2y7sekmz][size=150:2y7sekmz]한국 우분투 영재 학교 [/size:2y7sekmz][/quote:2y7sekmz]
저도 다녔으면 좋았을텐데 아쉽게도 때를 놓쳤네요
우분투에서 카트라이더만 돌릴 수 있었으면 유민군 한명 더 넣고 2기 출범할 수 있었을텐데 말이죠 [/quote:2y7sekmz]
지금 저는 서울의 모 과학고등학교를 다니는데요,
정보 시간에 하는 과목들이 다른 고등학교보다 강하지만, 여전히 그래도 C++과 Python 같은 언어 배우는게 먼저더라구요.
그리고 이왕 프로그래밍 할꺼면 윈도 말고 리눅스로 하지…(리눅스에서는 게임을 안하니까 선생님도 좋으시지 않을까요 )
매 정보시간마다 내가 Visual Studio 6.0 대신 GCC를 돌리면 좋겠다는 생각이 간절하네요… ㅜㅡ
[quote="bj1995":qngdhww2]매 정보시간마다 내가 Visual Studio 6.0 대신 GCC를 돌리면 좋겠다는 생각이 간절하네요… ㅜㅡ[/quote:qngdhww2]
M$ Visual Studio 6.0은 1998년에 나온건데요… 아직도 그거 쓰나요? -_-;;
M$ DS사이트 가셔서 학교 전자 메일로 등록하시면 M$ Visual Studio 2010(버전 10) prof. 버전 무료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관련 링크:
[url:qngdhww2]https://www.dreamspark.com/[/url:qngdhww2]
위 사이트는 고등학교~대학(원)생을 위해서 무료로 M$사의 개발툴, 서버OS, 인터넷 브라우저, 데이타 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M$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학교 전자 메일이 있어야되고 1인 1제품 ID를 받습니다. (한명이 받아서 반애들한테 다 뿌리지 마세요. 다 블럭 먹습니다 -_-);
자세한 것은 사이트에 나온 이용 정보/약관(Term of Use)을 참고하세요.
M$외에 다른 것 선택 못 하고 기왕 쓰는 것, 최신 것으로 사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