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데몬 관리 어떤 명령어로 사용하시나요?

개인서버에서 배포판 종류 상관없이 인터넷이 끊기는 문제가 있었는데…
공유기의 mtu 값과 연관이 있더군요.

기본이 1500 인데 이놈을 낮추니 끊어짐이 사라젔습니다. -_- 이것 때문에
거금 들여 인텔 랜카드 까지 샀는데… 물론 인텔 랜카드 성능이 좋긴 하더군요.

외부에서 ftp 전송 속도가 회선 최대 속도에 거의 근접하더군요.

본론으로 들어와서… 레드햇 기반은 보통 chkconfig 서비스 데몬을 관리 합니다.
익숙해서… centos 를 깔았는데 이놈이 부트 파티션 ext4 를 지원하지 않더군요.
물론 grub 를 업글하면 되지만 이중 작업이죠. 설치와 동시에 되는게 편하죠. -_-;;

짜증나서… 우분투 서버 버전 어제 저녁에 깔아버렸습니다.
우분투가 좀 다른게 많은데… 일단 서비스 관리 명령어가 여러가지가 있더군요.

sysv-rc-conf, update-rc.d, rcconf 등이 있는데요.
어떤놈을 사용하는게 가장 우분투 답게? 사용하는 것인가요?

예전에 조금 사용했던 경험으로 rcconf 가 생각나서 어제 저녁에 요놈을 일단 설치를 했는데
조금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rcconf 를 실행하면 서비스 이름 앞에 아스트리크(*) 되어 있는놈과 그렇지 않은놈으로 구분되어지는데
통상적으로 아스트리크 체크되어 있는게 서비스 enable 되어 있다는 의미 아닌가요?

  • 표시가 되어 있는 서비스가 몇 개 없던데… 모든 서비스를 확인 한 건 아니지만 집에서 개인서버를
    돌리는 지라 유동ip 를 사용하므로 이놈의 ip 를 주기적으로 dns 관리 서버로 업데이트 시키기 위한
    스크립트를 cron 에 등록하고 서비스를 확인하니 cron 데몬 이름 앞에 * 가 없더군요.

ps 로 확인하니 cron 이 구동중이었구요. 뭔가 이상하더군요. 저는 서비스 disable 되어 있는지 알았습니다. 그래서 * 를 cron 앞에 체크를 하고 터미널로 나가서 cron.log 를 확인하니 cron 이 돌고 있는게 확인이 되어 이상하다… 싶어… 다시 rcconf 를 실행해서 * 를 해제 했습니다.

지금 원격으로 붙을수가 없어 좀 더 정확히 질문하기가 어렵네요.
출근전에 확인하다가 늦을뻔해서… ㅋㅋ 급히 나왔거든요. 아침에 좀 보다가요.

그리고 upstart 가 이제는 대세인가요?
앞으로 추가적인 서비스를 설치 할 것인데… (토렌트, 웹 기타등등 데몬들)
upstart 로 방향을 맞추는게 좋은것인가요?

고견 부탁드립니다.

그나저나… 우분투 서버는 깔아 볼때 마다 느끼는 거지만 부팅속도가 광속 이군요 -_-
어찌 이리도 빠른지…

개인 취향이 아닐까요?

전 update-rc.d를 선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