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컴퓨터 사양이라는게 좀 오묘한...

작년부터 생각하게 된건데 컴퓨터 사양이라는게 예전처럼 단순히 순위가 있는게 아니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오래전에 쓰던 펜티엄4 2Ghz는 클럭발로 연산 능력은 좋았지만,
720p 동영상도 제대로 못돌렸죠.
우분투 깔아도 은근히 버벅였고요.

그런데 그보다 사양이 훨씬 낮은 1.66Ghz짜리 아톰 넷북은
우분투가 쾌적한데다가
1080p 동영상도 그럭저럭 돌립니다. -_-;

1Ghz짜리…1년이나 지난 스마트폰도 720p동영상은 돌아가더군요.

위의 예는 전부 싱글코어.
듀얼코어같이 낮은 클럭에서도 처리능력을 배가시키는 기술이 쓰인것도 아니고,
GPU성능이 좋은 기계들도 아닙니다.
단지 시대의 요구에 따라 동영상 기능을 강화시키긴 했겠죠.

결론
: 없음. 걍 오묘하고 신기해서.

뻘소리 쓴 뒤 찾아보니

Passmark CPU Mark
Intel Pentium 4 2.00GHz : 247
Intel Atom N450 @ 1.66GHz : 319

…아톰이 더 좋은 놈이긴 하군요.

ps.
지금 쓰는 놈은…
집 Intel Core2 Duo E6550 @ 2.33GHz : 1453
회사 Intel Core i5 750 @ 2.67GHz : 4269
뜨어어… 역시 클럭으로 보면 안되는거군요.

http://www.cpubenchmark.net/cpu_list.php

헉, ATOM이 더 좋을거라고는 생각안했는데 의외네요.
아무리그래도 Pen4는 out-of-order고 atom은 in-order인데 의외네요 정말.
Hyper threading이랑 맞물려서 스코어가 잘 나온듯 합니다.

아무튼 ATOM자체만으로는 1080p 무리일거고요.
아마 온보드 GPU를 이용한 가속으로 재생되는 걸 거에요.

사실 싱글스레드 연산성능으로보면 비교하신 pen4나 atom이나 그놈이 그놈이거나
혹은 pen4가 좀 더 나을거라고 봅니다. (확실치는 않아요 그냥 추측)

[quote="mono":1aahcpz6]헉, ATOM이 더 좋을거라고는 생각안했는데 의외네요.
아무리그래도 Pen4는 out-of-order고 atom은 in-order인데 의외네요 정말.
Hyper threading이랑 맞물려서 스코어가 잘 나온듯 합니다.

아무튼 ATOM자체만으로는 1080p 무리일거고요.
아마 온보드 GPU를 이용한 가속으로 재생되는 걸 거에요.

사실 싱글스레드 연산성능으로보면 비교하신 pen4나 atom이나 그놈이 그놈이거나
혹은 pen4가 좀 더 나을거라고 봅니다. (확실치는 않아요 그냥 추측)[/quote:1aahcpz6]

네 맞습니다.
펜4가 연속적인 단순 연산은 살짝 더 낫죠.

다만 제가 쓰는 아톰 N450은 GPU와 사우스 브릿지를 CPU안에 한개의 칩으로 통합해서 퍼포먼스를 높힌 놈이라더군요.
그래서 저걸 CPU만 혼자 힘으로 1080p를 돌렸다고 해도 맞고, 온보드 GPU힘이라고 해도 맞고 -_-; 요상한 놈이죠.

P4 넷버스트 아키텍쳐는 그냥 뻥클럭입니다. RDRAM이나 DDRRAM의 도입, 더 빠른 주변기기, 그리고 P4자체의 고클럭으로 성능하락을 감췄지만, 그때도 욕 많이 먹었습니다.
P4 2Ghz 정도면 튜알라틴 펜3 1.33Ghz보다 못 할거 같고, 한창 팔리던 튜알셀 900@1.2Ghz보다 딸릴 겁니다.
인오더 아웃오더 상관없이 P3와 비슷한 클럭 효율을 보여주는 아톰이 P4에게 질 이유는 없어보입니다. 심지어 아톰은 램이나 주변기기도 P4보다 더 낫죠.
요즘 하드웨어의 동영상 재생은 GPU에 하드웨어 가속이 있을 수도 있고, 주력 재생기들이 ffmpeg-mt 같은 멀티코어 디코딩 라이브러리를 활용하기 때문에 코어가 많을 수록 좋습니다.

지금 펜티엄 4 사용중입니다. 정말로 웹서핑도 못하고 완전히 모니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에요=_=… 답답해서 죽습니다 우분투도 상당히 힘든 게 펜티엄…

점수도 점수지만 요즘 CPU에는 GPU가속기능과의 친화성이 많이 높아진것 같더군요.
요즘 나오는 가장 안좋은 인텔 GMA같은경우도 720p정도는 가속만으로도 무리없이 재생하니깐요…

AMD에서 IPC개념을 주창할때부터 이미 CPU의 발전방향은 클럭빨이 아닌곳으로 흘러가고 있었드랬죠. 그외에 멀티코어로 인한 분할 프로그래밍의 발달, 효율적 명령어셋의 추가 등, 여러 부가기술들이 많이 생겨났으니까요.

[quote="Lutinaroa":36nd3adk]지금 펜티엄 4 사용중입니다. 정말로 웹서핑도 못하고 완전히 모니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에요=_=… 답답해서 죽습니다 우분투도 상당히 힘든 게 펜티엄…[/quote:36nd3adk]
사양탓 하기 전에
우분투보다 주분투를
주분투보다 루분투를 사용할 생각은 왜 못하시나요

그외 페파민트, 우분투 라이트…도 있고요

꼭 우분투 계열 아니라면
vector, damm small linux…얼마든지 있죠

다른 리눅스를 쓰면 쓸수록 느끼는건
우분투가 기대했던거보단 별로…라는 생각이 자꾸^^…
no1이라 기대가 너무 컸나바요

[quote="griweor":cos0l6oj][quote="Lutinaroa":cos0l6oj]지금 펜티엄 4 사용중입니다. 정말로 웹서핑도 못하고 완전히 모니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에요=_=… 답답해서 죽습니다 우분투도 상당히 힘든 게 펜티엄…[/quote:cos0l6oj]
사양탓 하기 전에
우분투보다 주분투를
주분투보다 루분투를 사용할 생각은 왜 못하시나요

그외 페파민트, 우분투 라이트…도 있고요

꼭 우분투 계열 아니라면
vector, damm small linux…얼마든지 있죠

다른 리눅스를 쓰면 쓸수록 느끼는건
우분투가 기대했던거보단 별로…라는 생각이 자꾸^^…
no1이라 기대가 너무 컸나바요[/quote:cos0l6oj]

전 크런치벵을 사용하고 있어요…너무나 딸려서…
그래도 우분투가 아니 코분투가 정말 편해요…
그런데 우분투 라이트는 뭐죠??/ 정말 가벼운가요???

http://ulite.org/

아톰 머신에서 1080p가 재생이 원할한건 하드웨어 가속때문이 아닌가요?
요새 h.264 가속기능이 들어간 하드웨어들이 많다보니
아무리 아톰이 펜보다 성능이 좋다곤하나 제약사항이 많은 반쪽짜리(제생각임) CPU기 때문에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