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설치후에 우분트를 설치했었구요
그전에는 멀티부팅이 잘 되었었습니다
하지만 우분투 재설치 후 부터
os선택 화면이 뜨질 않습니다 ㅠㅠ
윈도우는 보니까 삭제되진 않고 폴더 그대로 남아있는것 같아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sudo update-grub2 해보십시오
재부팅으로 확인
그래도 grub가 안 나오면
sudo grub-install /dev/sda 로 그럽 재 설치 후
sudo update-grub2
fdisk -l 명령 결과를 보니
파티션 테이블이 좀 이상해 보이네요
디바이스 순서가 좀 그렇고, 또 액티브 파티션이 익스텐디드 파티션으로 되어 있네요.
sudo fdisk /dev/sda
a
5
x
f
----> 액티브 파티션을 / 파티션으로 잡고, 디바이스 번호 순서를 정렬합니다.
디바이스번호 순서가 바뀌면 윈도우즈파티션이 /dev/sda1으로 바뀔겁니다.
윈도 파티션이 액티브(혹은 부트 혹은 활성) 파티션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그럽 선택화면을 살려내더라도 윈도로 부팅이 안 될 겁니다. sda2(potatochaos님의 말씀대로 디바이스 순서를 바로잡은 뒤라면 sda1)을 반드시 액티브로 잡아 주세요.
아 grub 부트매니져가 뜬다면 리눅스 부팅 후
sudo update-grub 해보세요
액티브 파티션과는 상관 없습니다.
액티브 파티션이라는건 디폴트 부트 파티션을 얘기하는 것이고,
바이오스 부트스트랩에서 액티브 파티션을 찾아서 그 파티션의 마스터부트섹터로 부팅할 경우에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런 경우는 fdisk /mbr 머 이런 명령등으로 마스터부트레코드(MBR)에서
부트매니져를 날려버렸을때… 액티브파티션의 마스터부트섹터로 부팅이 되는 것이죠.
Grub부트매니져가 MBR에 존재한다면, 그리고 update-grub으로
windows를 찾아서 메뉴에 추가 되었다면,
Grub부트매니져가 윈도우즈의 마스터부트섹터로 점프하여 부팅하도록 만들어 줍니다.
액티브파티션으로만 부팅이 된다면 어떻게 멀티 부팅이 가능하겠습니까?
윈도우즈가 액티브 파티션일때, 어떻게 리눅스로 부팅이 가능하겠습니까?
부연하자면 액티브 파티션은 디스크당 하나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MBR이란 해당디스크의 첫번째 실린더의 첫번째 섹터를 의미하는것이고,
마스터부트섹터라는건 해당 파티션의 첫번째 섹터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MBR은 디스크당 하나만 존재하고, 마스터부트섹터는 파티션당 하나만 존재합니다.
디스크당 마스터부트섹터는 여러개 존재할 수 있는 것이지요.
제 말은 윈도 파티션이 액티브로 되어 있지 않으면 그럽으로 윈도를 선택하더라도 윈도로 부팅되지 않는다는 말이었는데요, 윈도 부트로더만으로 부팅할 때와 헷갈리는 바람에 제가 그렇게 적은 것 같네요. 제가 틀린 부분에 대해서는 죄송함을 느낍니다.
덧. 액티브 파티션은 여러 개 등록하는 게 가능한 것 같던데요?
partprobe를 써 줬으니 fdisk만의 기록은 아닌 것 같고요.
실용적으로 쓰일 일은 없겠지만요
[code:wu8v0jt0]park@ubuntu:~$ sudo fdisk /dev/sda
WARNING: DOS-compatible mode is deprecated. It’s strongly recommended to
switch off the mode (command ‘c’) and change display units to
sectors (command ‘u’).
Command (m for help): p
Disk /dev/sda: 60.0 GB, 60011642880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7296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9beb98c8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a1 1 608 4883728+ 12 Compaq diagnostics
/dev/sda2 * 609 3040 19535040 7 HPFS/NTFS
/dev/sda3 3041 7296 34185217 5 Extended
/dev/sda5 3041 3053 97280 83 Linux
/dev/sda6 3053 3174 975872 82 Linux swap / Solaris
/dev/sda7 3174 4390 9764864 83 Linux
/dev/sda8 4390 7296 23344128 83 Linux
Command (m for help): a
Partition number (1-8): 1
Command (m for help): a
Partition number (1-8): 3
WARNING: Partition 3 is an extended partition
/생략**/
Command (m for help): w
The partition table has been altered!
Calling ioctl() to re-read partition table.
WARNING: Re-reading the partition table failed with error 16: 장치나 자원이 동작 중.
The kernel still uses the old table. The new table will be used at
the next reboot or after you run partprobe(8) or kpartx(8)
Syncing disks.
park@ubuntu:~$ partprobe
park@ubuntu:~$ sudo fdisk /dev/sda
WARNING: DOS-compatible mode is deprecated. It’s strongly recommended to
switch off the mode (command ‘c’) and change display units to
sectors (command ‘u’).
Command (m for help): p
Disk /dev/sda: 60.0 GB, 60011642880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7296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9beb98c8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a1 * 1 608 4883728+ 12 Compaq diagnostics
/dev/sda2 * 609 3040 19535040 7 HPFS/NTFS
/dev/sda3 * 3041 7296 34185217 5 Extended
/dev/sda5 * 3041 3053 97280 83 Linux
/dev/sda6 * 3053 3174 975872 82 Linux swap / Solaris
/dev/sda7 * 3174 4390 9764864 83 Linux
/dev/sda8 * 4390 7296 23344128 83 Linux
Command (m for help): [/code:wu8v0jt0]
헉 액티브 파티션이 여러개가 될 수 있다니…
논리상 이상한데요 ㅎㅎㅎ
도스나 윈도우즈에서 액티브 파티션을 여러개 잡게되면
다른것은 자동으로 하이드 파티션이 됩니다.
부팅해도 그 파티션은 보이지 않게 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