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뉴스떴네요 우분투한국사용자모임도 나와요

[url:36l9i6kv]http://www.bloter.net/archives/66244[/url:36l9i6kv]
ㅎㅎ

별로 긍정적인 내용은 아니군요. MS Office때문에 어쩔 수 없이 노트북에 윈도우 깔았는데 잘한 선택이었네요;;

[quote="mw9529":2khsb6yc][url:2khsb6yc]http://www.bloter.net/archives/66244[/url:2khsb6yc]
ㅎㅎ[/quote:2khsb6yc]
#. 저도 봤습니다. 오늘 아니고 몇 칠전 에 어디서 보았는지 ~~
그래도 11.10 에는 좋은 것이 많이 있겠지요.

9시 뉴스에 나온 줄 알았어요. 그래도 우분투 리눅스의 저변이 넓어졌네요.

근데 Ubunto와 Ubunto Korea라고 나와 있네요.ㅡㅡ;

확실히 리눅스가 전력관리 부분에서 문제가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만. 대부분의 문제는 드라이버에서 기원합니다. 본문에서 예를 삼은 플레쉬의 경우 리눅스의 구현과 윈도우의 구현에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잘못된 비교라고 생각됩니다. 플레쉬가 아니라 일반 동영상을 비교하는 것이었다면 좀 더 좋았을 듯 싶네요.

그리고 원문을 찾아 보시면 좀 더 자세한 자료가 있습니다. 인텔이나 ATI등 드라이버에 따라서 다른 결과를 보여주는데 문제의 블로그가 인용하는 케이스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비슷하거나 업치락 뒤치락 합니다.

아래 글을 확인해 보세요.

http://www.phoronix.com/scan.php?page=a ... ubuntu_pow

'어도비 플래시의 소모 전력 비교한 것’을 '우분투 vs 윈도우7 소모 전력 비교’로 보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전부터 리눅스용 플래시의 품질이 좋지 않다고 악명이 높습니다.
말 그대로 리눅스용 플래시 vs 윈도우7용의 품질과 소모 전력 비교일 뿐입니다.

게임의 경우는 그래픽 드라이버의 품질과 OpenGL(리눅스에는 DirectX가 없음) 같은 라이브러리 품질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제조사에서 리눅스보다 점유율이 휠씬 높은 MS계열의 운영체제를 더 신경쓰기 때문에
게임으로 우분투OS, 윈도우7OS의 전력 소모를 비교하는 것도 무리입니다.

  • 24시간 항시 가동해야하는 웹 서버, ftp 서버 등의 전력 소모 비교
  • 아무 것도 하지 않을 때(idle)의 전력 소모 비교
  • 우분투와 윈도우7에서 응용 프로그램 가동 시 전력 소모가 차이나는 이유
    를 다루었으면 의미있는 기사가 되었을 겁니다.

위 기사로 인하여 우분투, 리눅스에 대한 편견이 생기지 않기를 바랍니다.
기자님, 기사에 우분투를 다루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우분투, 리눅스 기사를 많이 다루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PS1, [size=150:3lmq59s9][b:3lmq59s9][url=http://www.phoronix.com/scan.php?page=article&item=windows_ubuntu_pow&num=1:3lmq59s9]원문 기사[/url:3lmq59s9]는 편향적이지 않고 상세하게 나와 있군요.[/b:3lmq59s9][/size:3lmq59s9]

PS2, [size=150:3lmq59s9][b:3lmq59s9]결론은 우분투나 윈도우7의 전력 소모는 비슷[/b:3lmq59s9][/size:3lmq59s9]

[quote="cogniti":csmkzn7u]'어도비 플래시의 소모 전력 비교한 것’을 '우분투 vs 윈도우7 소모 전력 비교’로 보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전부터 리눅스용 플래시의 품질이 좋지 않다고 악명이 높습니다.
말 그대로 리눅스용 플래시 vs 윈도우7용의 품질과 소모 전력 비교일 뿐입니다.

게임의 경우는 그래픽 드라이버의 품질과 OpenGL(리눅스에는 DirectX가 없음) 같은 라이브러리 품질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제조사에서 리눅스보다 점유율이 휠씬 높은 MS계열의 운영체제를 더 신경쓰기 때문에
게임으로 우분투OS, 윈도우7OS의 전력 소모를 비교하는 것도 무리입니다.

  • 24시간 항시 가동해야하는 웹 서버, ftp 서버 등의 전력 소모 비교
  • 아무 것도 하지 않을 때(idle)의 전력 소모 비교
  • 우분투와 윈도우7에서 응용 프로그램 가동 시 전력 소모가 차이나는 이유
    를 다루었으면 의미있는 기사가 되었을 겁니다.

위 기사로 인하여 우분투, 리눅스에 대한 편견이 생기지 않기를 바랍니다.
기자님, 기사에 우분투를 다루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우분투, 리눅스 기사를 많이 다루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PS1, [size=150:csmkzn7u][b:csmkzn7u][url=http://www.phoronix.com/scan.php?page=article&item=windows_ubuntu_pow&num=1:csmkzn7u]원문 기사[/url:csmkzn7u]는 편향적이지 않고 상세하게 나와 있군요.[/b:csmkzn7u][/size:csmkzn7u]

PS2, [size=150:csmkzn7u][b:csmkzn7u]결론은 우분투나 윈도우7의 전력 소모는 비슷[/b:csmkzn7u][/size:csmkzn7u][/quote:csmkzn7u]

매우 공감하는 의견입니다.

그렇지만 일반 사용자 관점에서는 웹 서버, ftp 서버 등을 목적으로 가동할 때의 시스템 전력 소모 비교는 큰 효용성이 있을지 조금 의문입니다.

그리고 전력 소모 차이의 이유 분석은 정말 아쉬운 부분인 것 같습니다.

그렇군요. 위에 두분 덕분에 새로운 사실 하나 배워갑니다. 그런데 어차피 사용자입장에선 평소 많이쓰는 드라이버나 프로그램 위주로 생각해야하기 때문에 방향이 엇나가진 않았다고 생각하네요. 그게 비록 우분투의 잘못은 아니라할지라도… 그렇다고 드라이버 개발환경이 한두해 지났다고 비약적으로 나아질것 같지도 않고, 참 ATI사용자로서 안타까울따름입니다. 아직도 하드웨어 가속해도 1080p 동영상을 제대로 못돌릴정도로 비효율적이니 말예요.

제가 매스컴을 탔네요. 쑥스럽네요 ㅎ

기자님 감사감사 ㅋ

quote="interoasis":7lehjya9
그렇다고 드라이버 개발환경이 한두해 지났다고 비약적으로 나아질것 같지도 않고, 참 ATI사용자로서 안타까울따름입니다. 아직도 하드웨어 가속해도 1080p 동영상을 제대로 못돌릴정도로 비효율적이니 말예요.[/quote:7lehjya9]

이 부분은 한빈군(hanbin973)이 보면 동의하지 않을 수 도 있겠는데요?

[quote="hacking_u":v997x5er]

[quote="cogniti":v997x5er]

  • 24시간 항시 가동해야하는 웹 서버, ftp 서버 등의 전력 소모 비교
  • 아무 것도 하지 않을 때(idle)의 전력 소모 비교
  • 우분투와 윈도우7에서 응용 프로그램 가동 시 전력 소모가 차이나는 이유
    를 다루었으면 의미있는 기사가 되었을 겁니다.

[/quote:v997x5er]

매우 공감하는 의견입니다.

그렇지만 일반 사용자 관점에서는 웹 서버, ftp 서버 등을 목적으로 가동할 때의 시스템 전력 소모 비교는 큰 효용성이 있을지 조금 의문입니다.
그리고 전력 소모 차이의 이유 분석은 정말 아쉬운 부분인 것 같습니다.[/quote:v997x5er]

사용자 관점이라고 봐야 할런지는 모르겠지만, IDC 내에서 항시 가동해야 되는 서버들에서의 전력 소모 비교는 정말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IDC 운영 측면에서 한달 전기세 부분을 정말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죠. 요즘들어 ‘그린 테크놀로지(GT)’ 라 불리는 기술들이 각광을 받고 있는 이유도 마찬가지라 생각이 되네요.

DDR2 와 DDR3 의 가장 큰 차이 중 하나가 1.8V 에서 1.5V 로 전력 소모를 줄였다는 점 역시 간과할 수 없을 뿐더러, 휴대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서나 사용되던 ARM 프로세서를 IDC 서버용으로 출시한 사례들 역시 마찬가지라 생각이 되네요.

Windows CE 의 경우 본래 목적 자체가 모바일 단말기(PDA)였기 때문에 Windows CE 는 태생부터 커널 내에 전력 관리 기능이 들어있었던 데 반해, Linux 의 경우엔 초기에 전원 케이블을 꽂아 사용하기에 전력 관리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던 네트워크 장비용으로 많이 사용되다 보니 2.4 커널까지는 전력 관리 기능이 거의 없었던 게 사실입니다.

2.6 커널로 넘어오면서 모바일 용으로 점차 사용되기 시작함에 따라 조금씩 추가되었지만 아직은 미흡하다 여겨졌는지 2007년도에 발족한 LiMO (Linux Mobile Foundation) 라는 기구에서는 ARM, TI, Samsung 등 모바일 단말기 관련 업체들이 모여 모바일 용 리눅스 커널을 개발하고자 하였고, 이후 구글 안드로이드에서는 별도로 전력 관리 기능 등을 추가하면서 JNI 기반의 HAL 을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단말기 전용 임베디드 리눅스와 달리 일반 PC 용 리눅스의 경우엔 아직 전력 관리 등에 대한 부담이 비교적 적다 보니 이 부분이 조금 미흡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은 되네요.

저 역시 제대로 된 비교와 원인 분석이 있었으면 좋겠단 생각에 한표를 던집니다! :-)

뻔뻔강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