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Windows 7 과 ubuntu 를 멀티로 사용 하고 싶어서 이것 저것 자료를 찾던중
Wubi 로 설치 하는 방법을 찾게 돼었는데 궁금 한점이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질문
-
Windows 7 과 ubuntu 를 각각 별도의 파티션에 설치해서 멀티 부팅을 만들 경우
-
Windows 7 과 ubuntu 를 Wubi 로 설치하여 멀티 부팅을 만드는 경우
혹시 2경우가 차이점 있는지 궁금 해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Windows 7 과 ubuntu 를 멀티로 사용 하고 싶어서 이것 저것 자료를 찾던중
Wubi 로 설치 하는 방법을 찾게 돼었는데 궁금 한점이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질문
Windows 7 과 ubuntu 를 각각 별도의 파티션에 설치해서 멀티 부팅을 만들 경우
Windows 7 과 ubuntu 를 Wubi 로 설치하여 멀티 부팅을 만드는 경우
혹시 2경우가 차이점 있는지 궁금 해서 질문드립니다
멀티부팅시 리눅스로 부팅하기 위해서는 부트매니져가 필요한데…
요즘은 다 GRUB을 사용하죠. USB의 경우는 ISOLINUX를 사용하구요.
그런데 WUBI를 사용하면… 윈도우즈부트매니져를 사용합니다.
윈7의 경우 C:/BOOT/BCD를 수정하여 WUBI 로더를 등록하고, 이것이 부트메뉴에 나오게 됩니다.
XP의경우 C:/BOOT.INI를 수정하여 WUBI로더를 등록하고, 이것이 부트메뉴에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리눅스의 설치는 실제 파티션에 설치되는것이 아니라… 파일에 설치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속도는 좀 떨어지더라도, 윈도우즈 파티션에 파일을 넣을 수 있고, 그 떄문에…
윈도우즈위에 설치가 되는 것 처럼 보입니다.
또 다른 케이스로 UNETBOOTIN등의 라이브파일시스템을 만들어 주는 유틸리티를 사용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부트매니져는 ISOLINUX나 SYSLINUX를 사용하게 되고… 부트옵션에 boot=casper를 붙여서 시작합니다.
이 또한 파일에 변경사항을 기록하게 됩니다. casper-rw라는 파일이구요.
이또한 파일에 기록하기 때문에… 윈도우즈 파티션에 저장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경우 casper-rw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외에…
casper-rw라는 파티션을 만들면 그 파티션에 변경사항이 저장됩니다.
이렇게 만들면 직접적으로 파티션에 저장하기 때문에 속도는 조금 낫겠지요.
LIVE파일시스템을 꼭 USB에만 사용가능한게 아닙니다.
간단하게, ISO파일의 내용을 전부 복사하고, 부트매니져(GRUB이나 SYSLINUX)를 설치한 후
해당 부트메뉴설정파일(GRUB은 /boot/grub/grub.cfg혹은 /boot/grub/custom.cfg, SYSLINUX는 /syslinux/syslinux.cfg)
을 편집하여
커널위치를 지정하고, 커널옵션에 boot=casper persistent 옵션을 추가하고, initrd의 위치를 지정해 놓으면
알아서 casper-rw파티션이나 casper-rw파일을 찾아서 변경사항을 저장합니다.
라이브시스템으로 (변경사항을 저장하지 않음) 사용하려면 nopersistent옵션을 붙이면 됩니다.
또, 이런 방법외에도 기존에 리눅스를 설치한 경우에도…
sudo apt-get install casper lupin-casper 로 설치하여 casper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casper는 라이브파일시스템에 대한 지원을 하고,
lupin은 라이브파일시스템에 설치를 지원합니다.
initramfs(보통 initrd.gz)에 위의 casper스크립트가 들어가 있어, 이 스크립트에 의해
자동으로 라이브파일 시스템을 찾고, 루프백으로 마운트하며,
unionfs를 이용하여, 디스크의 파일시스템과, 루프백파일시스템을 통합합니다.
우분투계열의 라이브파일시스템이라면 casper가 설치되어 있고,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
wubi도 마찬가지로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저의 경우 놋북하드디스크(USB가 아닌)에 우분투 ISO파일을 복사하고,
부트메뉴를 변경한뒤… persistent옵션을 넣고,
파티션을 /home, / 이렇게 나눠서
부팅한 후 업데이트관리자에서 업데이트하여 사용을 오랫 동안 했습니다.
이렇게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포터블하기 때문에…
그대로 복사해서, USB에 부트매니져와 UUID등만 맞춰주면…사용이 가능합니다.
지금은 이렇게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BTRFS루트파티션을 사용하고 있어서…
GRUB4DOS나 예전의 GRUB-LEGACY의 경우는 BTRFS를 바로 인식하지 못하고,
부트파티션을 따로 EXT2-4 형태로 만들어 주어야 되었기 때문에…
그냥 설치해서 사용하다가 귀차니즘에 빠져서, (왜냐면 BTRFS파일 시스템은 스냅샷 기능이 있어서,
굳이 백업을 하지 않아도, 거의 복구가 가능하기 때문이죠)
^^
위에 설명한 내용을 잘 읽어 보시면…
어떤 차이가 있는지 감이 오실겁니다.
[quote="protochaos":2jvumgvt]멀티부팅시 리눅스로 부팅하기 위해서는 부트매니져가 필요한데…
요즘은 다 GRUB을 사용하죠. USB의 경우는 ISOLINUX를 사용하구요.
그런데 WUBI를 사용하면… 윈도우즈부트매니져를 사용합니다.
윈7의 경우 C:/BOOT/BCD를 수정하여 WUBI 로더를 등록하고, 이것이 부트메뉴에 나오게 됩니다.
XP의경우 C:/BOOT.INI를 수정하여 WUBI로더를 등록하고, 이것이 부트메뉴에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리눅스의 설치는 실제 파티션에 설치되는것이 아니라… 파일에 설치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속도는 좀 떨어지더라도, 윈도우즈 파티션에 파일을 넣을 수 있고, 그 떄문에…
윈도우즈위에 설치가 되는 것 처럼 보입니다.
또 다른 케이스로 UNETBOOTIN등의 라이브파일시스템을 만들어 주는 유틸리티를 사용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부트매니져는 ISOLINUX나 SYSLINUX를 사용하게 되고… 부트옵션에 boot=casper를 붙여서 시작합니다.
이 또한 파일에 변경사항을 기록하게 됩니다. casper-rw라는 파일이구요.
이또한 파일에 기록하기 때문에… 윈도우즈 파티션에 저장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경우 casper-rw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외에…
casper-rw라는 파티션을 만들면 그 파티션에 변경사항이 저장됩니다.
이렇게 만들면 직접적으로 파티션에 저장하기 때문에 속도는 조금 낫겠지요.
LIVE파일시스템을 꼭 USB에만 사용가능한게 아닙니다.
간단하게, ISO파일의 내용을 전부 복사하고, 부트매니져(GRUB이나 SYSLINUX)를 설치한 후
해당 부트메뉴설정파일(GRUB은 /boot/grub/grub.cfg혹은 /boot/grub/custom.cfg, SYSLINUX는 /syslinux/syslinux.cfg)
을 편집하여
커널위치를 지정하고, 커널옵션에 boot=casper persistent 옵션을 추가하고, initrd의 위치를 지정해 놓으면
알아서 casper-rw파티션이나 casper-rw파일을 찾아서 변경사항을 저장합니다.
라이브시스템으로 (변경사항을 저장하지 않음) 사용하려면 nopersistent옵션을 붙이면 됩니다.
또, 이런 방법외에도 기존에 리눅스를 설치한 경우에도…
sudo apt-get install casper lupin-casper 로 설치하여 casper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casper는 라이브파일시스템에 대한 지원을 하고,
lupin은 라이브파일시스템에 설치를 지원합니다.
initramfs(보통 initrd.gz)에 위의 casper스크립트가 들어가 있어, 이 스크립트에 의해
자동으로 라이브파일 시스템을 찾고, 루프백으로 마운트하며,
unionfs를 이용하여, 디스크의 파일시스템과, 루프백파일시스템을 통합합니다.
우분투계열의 라이브파일시스템이라면 casper가 설치되어 있고,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
wubi도 마찬가지로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저의 경우 놋북하드디스크(USB가 아닌)에 우분투 ISO파일을 복사하고,
부트메뉴를 변경한뒤… persistent옵션을 넣고,
파티션을 /home, / 이렇게 나눠서
부팅한 후 업데이트관리자에서 업데이트하여 사용을 오랫 동안 했습니다.
이렇게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포터블하기 때문에…
그대로 복사해서, USB에 부트매니져와 UUID등만 맞춰주면…사용이 가능합니다.
지금은 이렇게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BTRFS루트파티션을 사용하고 있어서…
GRUB4DOS나 예전의 GRUB-LEGACY의 경우는 BTRFS를 바로 인식하지 못하고,
부트파티션을 따로 EXT2-4 형태로 만들어 주어야 되었기 때문에…
그냥 설치해서 사용하다가 귀차니즘에 빠져서, (왜냐면 BTRFS파일 시스템은 스냅샷 기능이 있어서,
굳이 백업을 하지 않아도, 거의 복구가 가능하기 때문이죠)
^^
위에 설명한 내용을 잘 읽어 보시면…
어떤 차이가 있는지 감이 오실겁니다.[/quote:2jvumgvt]
와…이렇게 자세하게 써주시다니.감동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하지만 제가 아직 우부투 지식이 저기까지 닿지를 못해서
제대로 다 무슨 내용인지를 모르겠네여 머리가 돌이라서
근대 WUBI 가 USB나 외장하드나 이런 장치들에 사용하기 위해서 개발될 프로그램 인가여?
글을 읽다보니 이런 궁금 증이 생기던데…
제가 잘못 이해 한건가여?
간단히 설명 드리자면
우분투를 설치하고 싶은데 미덥지 못해서 USB에 설치하고 싶다 면…
UNETBOOTIN이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USB에 설치하던가…
설치시디의 시동디스크 만들기로 USB에 설치하시면 됩니다. 이것이 라이브USB입니다.
우분투를 설치하고 싶은데 기존에 윈도우가 설치 되어 있고,
시스템과 윈도우즈에 대한것은 전혀 건드리지 않게 하고 싶다면…(부트매니져를 교체하지 않음)
WUBI로 인스톨하시면 우분투가 파일에 설치되고, 부트메뉴에 우분투가 추가됩니다.
윈도우즈7의 부팅화면이 교체되지 않고, 그안에 우분투로 부팅할 수 있게 추가되는 거죠
윈도우즈에서 우비를 언인스톨하면 우분투가 설치된파일도 함께 삭제됨으로써…
꼭, 우분투가 윈도우즈용 프로그램처럼 보이게 하는 것입니다.
윈도우즈가 주 사용 OS이고, 우분투는 가끔 심심풀이나, 테스트용으로 사용한다면 WUBI로 우분투를 인스톨하시고,
우분투를 주 사용 OS로 하고 싶다면 우분투를 하드에 직접 설치하여…
부트매니져를 GRUB으로 교체하는것이 바람직합니다.
WUBI만 있는것이 아니라 LUBI도 있다는것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아 보입니다.
이것은 리눅스시스템위에 다시 우분투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quote="jilut00":oap408ro]근대 WUBI 가 USB나 외장하드나 이런 장치들에 사용하기 위해서 개발될 프로그램 인가여?[/quote:oap408ro] 아니오.
wubi는 윈도우즈 내에서 하나의 [color=#0000FF:oap408ro][b:oap408ro]프로그램처럼[/b:oap408ro][/color:oap408ro] 우분투를 설치 사용해보도록 한 프로그램입니다.
[quote="jilut00":oap408ro]1. Windows 7 과 ubuntu 를 각각 별도의 파티션에 설치해서 멀티 부팅을 만들 경우
[s:oap408ro]2번의 경우 기본바탕으로 Windows7이 기동된 상태에서 ubuntu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기동하는 형태입니다.
즉 win과 ubuntu가 수직관계가 되는거죠.모든 자원은 일단 win7이 가집니다.[/s:oap408ro](win7삭제시 ubuntu도 사용할수 없음)
2번의 경우 win 파일시스템에 파일을 만들어 설치하고 win부트 메뉴에 우분투 항목을 추가하여 기동됩니다.(win7삭제시 ubuntu도 사용할수 없음)
기존에 윈도우즈7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면
윈도우즈7의 VHD부팅 기능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겠습니다.
버쳘박스에서도 VHD로 부팅이 가능하니
가상하드디스크를 VHD형식으로 만들어서 VHD내에 우분투를 인스톨하고…
EasyBCD를 다운받아서 VHD파일로 부팅할 수 있게 부트메뉴를 변경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VHD 만들기 **
select vdisk file=”D:\pathToVhd.vhd”
attach vdisk
2) 버쳘박스
vboxmanage --filename D:\pathToVhd.vhd --size=mexsizeInMegabyte --format VHD --varient Standard
** VHD에 설치하기 **
버쳘박스를 실행하신 후 설치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 부트메뉴 수정 **
bcdedit /copy {originalguid} /d "VHD Booting"
bcdedit /set {newguid} device vhd=[D:]\pathToVhd.vhd
bcdedit /set {newguid} osdevice vhd=[D:]\pathToVhd.vhd
bcdedit /set {newguid} detecthal on
VHD로 부팅은 윈도우즈7에서 지원하는 기능이고,
기본적으로 XP에서는 지원하지 않지만…
윈도우즈7시스템에서 복사를 해 온 뒤(c:/boot, c:/windows/boot)…
부트매니져를 ntldr에서 윈도우즈7용 부트매니져로 교체하고,
BCD파일을 bcdedit나 easybcd로 편집하면 XP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quote="freegilyeon":22i7rt22][quote="jilut00":22i7rt22]근대 WUBI 가 USB나 외장하드나 이런 장치들에 사용하기 위해서 개발될 프로그램 인가여?[/quote:22i7rt22] 아니오.
wubi는 윈도우즈 내에서 하나의 [color=#0000FF:22i7rt22][b:22i7rt22]프로그램처럼[/b:22i7rt22][/color:22i7rt22] 우분투를 설치 사용해보도록 한 프로그램입니다.
[quote="jilut00":22i7rt22]1. Windows 7 과 ubuntu 를 각각 별도의 파티션에 설치해서 멀티 부팅을 만들 경우
2번의 경우 기본바탕으로 Windows7이 기동된 상태에서 ubuntu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기동하는 형태입니다.
즉 win과 ubuntu가 수직관계가 되는거죠.모든 자원은 일단 win7이 가집니다.(win7삭제시 ubuntu도 사용할수 없음)[/quote:22i7rt22]
꼭 윈도우즈안에 우분투가 설치되는 것 처럼 말씀하시는데 이것은 맞지 않습니다.
만약 그렇게 되려면 가상머신이 구동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설치과정에는 윈도우즈안에서 설치가 가능하지만 (이것은 파티션이 아니라 파일에 설치하기 때문임)
WUBI를 설치하더라도 멀티부팅으로 우분투로 들어가야 합니다.
부트매니져와 OS는 사실은 별개로 볼 수 있습니다.
GRUB을 설치해서 윈도우즈로 부팅하고, 윈도우즈에 GRUB4DOS를 설치해서 리눅스로 부팅하는 것 처럼요.
윈도우즈부트매니져가 윈도우즈 부팅을 위해서 만들어 졌다고는 하지만… 역시나 부트매니져이므로,
잘만 설정하면 리눅스로도 부팅이 가능한 것입니다.
그것을 쉽게 해주는 것이 WUBI이며…
윈도우즈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파티션을 각각 만들어 사용하기 보다,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우분투 시스템을 설치하는
방법을 택했을 뿐입니다.
** WUBI는 다음의 프로세스와 거의 비슷하게 동작할 것입니다 (파일시스템내에 wubi관련 파일들도 존재하지만요) **
GRUB4DOS와 를 GrubInstall을 다운받고
grubinst_gui.exe를 실행하여 GRUB4DOS를 설치한 후
GRUB4DOS의 GRLDR.MBR GRLDR 파일을 C:\복사
우분투 설치 시디의 내용을 D:\ubuntu 디렉토리에 복사한 뒤,
C:\MENU.LST를 편집하여.
TITLE UBUNTU
root (hd0,1)
kernel /ubuntu/casper/vmlinuz boot=casper persistent live-media-path=/ubuntu/casper
initrd /ubuntu/casper/initrd.lz
이렇게 적어주고
부트메뉴에 추가하기 위해…
윈도우즈7의 경우
bcdedit /create /d "Grub4Dos" /application bootsector
bcdedit /set {newguid} device partition=D:
bcdedit /set {newguid} path \GRLDR.MBR
bcdedit /displayorder {newguid} /addlast
XP의 경우
c:\boot.ini파일에
D:\GRLDR=Grub4Dos
재부팅, 부트메뉴에서 Grub4Dos선택 > UBUNTU선택
부팅 후 sudo apt-get upgrade
[quote="protochaos":3ss8e9i0]설치과정에는 윈도우즈안에서 설치가 가능하지만 (이것은 파티션이 아니라 파일에 설치하기 때문임)
WUBI를 설치하더라도 멀티부팅으로 우분투로 들어가야 합니다.
[/quote:3ss8e9i0]음… wubi가 DOS? 라고할까요 그 바탕에서 우분투가 돌아가는걸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제 생각이 틀렸나 보네요 ^^;
일단 원글은 정정하도록 하겠습니다.
WUBI는 Windows based UBuntu Installer의 약자로…
윈도우즈가 설치된 시스템에서 시디로 부팅함 없이
우분투를 설치하게 해주는 도우미 프로그램입니다.
말하자면 설치자 인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