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를 통합하려고 합니다. 현재는 구닥다리 제온 x 1
에 1g 달고 거의 10년 정도 된 서버 두대에 서브도메인
으로 6-7개 웹 사이트가 돌고 있습니다
서버를 새로 구매하고 버추얼 박스로 가상서버로 운영을 해볼까하는데…
괜찮은 생각일까요?
- 가상머신을 사용할때 io가 가장 걱정입니다
- 윈도우os를 호스트로 하는 버철박스 라면 어떨른지뇨
- 제가 아는 가상머신 중에 가장익숙한게 버철박스라서 버철박스를 서용하게 되었습니다. 혹시 다른 도구를 이용한 구축방법이 있다면 부탁드립니다.
서버 관리와 관련해서 경험이 일천합니다만,
연구용 서버에서 몇 가지의 메인프레임 업무를 가상화 단계에서 수행시켜 본 적이 있습니다.
몇몇 비용(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입비용, 공간, 전력소모 등 )은 절감되지만, 다른 비용( 성능 저하, 가상화 관련 관리인력 확충 )에서 증가가 있더군요. 특히 성능저하가 상당히 심각하게 여겨집니다.
제 생각에는 가상화 솔루션이라는 것이, 클라이언트 레벨의 업무를 가상화하는 것은 어느 정도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서버 업무에서는 업무별로 구분해서 시도를 해야 될 것 같습니다.
개발이나 테스트베드로는 가상화 서버를 사용하는게 효율적이리라 생각합니다. 업무부하의 수준을 통제할 수 있으므로, 성능과 관련해서도 큰 이슈가 나오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웹서버와 같이 높은 수준의 신뢰성이 요구되고 잦은 리퀘스트가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OS별로 서버를 구성하는 것이 맞지 않나 싶습니다. 비용절감을 위해서라면 하나의 OS를 선택하여, 통합하는 것이 옳으리라 생각해요.
[quote="pukakk":1g4d2s11]서버 관리와 관련해서 경험이 일천합니다만,
연구용 서버에서 몇 가지의 메인프레임 업무를 가상화 단계에서 수행시켜 본 적이 있습니다.
몇몇 비용(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입비용, 공간, 전력소모 등 )은 절감되지만, 다른 비용( 성능 저하, 가상화 관련 관리인력 확충 )에서 증가가 있더군요. 특히 성능저하가 상당히 심각하게 여겨집니다.
제 생각에는 가상화 솔루션이라는 것이, 클라이언트 레벨의 업무를 가상화하는 것은 어느 정도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서버 업무에서는 업무별로 구분해서 시도를 해야 될 것 같습니다.
개발이나 테스트베드로는 가상화 서버를 사용하는게 효율적이리라 생각합니다. 업무부하의 수준을 통제할 수 있으므로, 성능과 관련해서도 큰 이슈가 나오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웹서버와 같이 높은 수준의 신뢰성이 요구되고 잦은 리퀘스트가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OS별로 서버를 구성하는 것이 맞지 않나 싶습니다. 비용절감을 위해서라면 하나의 OS를 선택하여, 통합하는 것이 옳으리라 생각해요.[/quote:1g4d2s11]
음… 의견 감사합니다. 고사양 서버 + OS통합이라… 좋은것 같네요. 서버에 있어서 가상화의 장점이라면 무엇이 있을까요?
가상화를 구축해보면 가장 큰 장점은 빠른 복구와 빠른 서버 증설등을 예로 들수 있겠네요
예로 들자면 가상화로 web service를 구축 후 web service가 해킹이나 혹은 실수(# rm -rf / )등으로 service가 불가능 할때
가상화 구축을 해둔 backup image로 바로 다시 서비스를 실행 시키면 됩니다. (service down time 최소화)
물론 가상화 image를 백업을 받아두었다는 가정하에서요
서비스 자원 측면에서 보자면 남는 server의 자원을 다른 service에 할당할 수 있어서 하드웨어적인 자원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죠
종합해 보자면
IDC 같은데에 service마다 server을 넣자니 비용이 증가하고
그렇다고 service 한 server에 모든 service를 몰아서 운영하자니
혹시나 모를 해킹이나 운영중에 사고로 인해 다른 service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는데
가상화를 사용하면 하나의 server에 service 별로 가상화os를 올려서 서비스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그리고 service 설정후 최초 1회 백업만으로 나중에 문제시 최초 설정된 상태로 다시 서비스를 재개 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구요.
그리고 kvm 기준으로 vdisk 같은 가상화 이미지가 아니라 raw device 로 저장소를 잡고 쓰면
실제 대비 80~90% 정도 성능은 나오는것 같습니다.
(vdisk 같은 가상화 이미지 사용시 50~60% )
참고 사이트
http://publib.boulder.ibm.com/infocente ... SPV2.1.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