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제 컴퓨터에
유선랜카드가 2개, 무선랜이 1개 꽂혀있습니다.
유선랜1개와 무선랜 1개는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고
유선랜 1개는 보조 컴퓨터와 바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보조 컴퓨터에 꽂혀있는 랜이 활성화 되었을 때(보조 컴퓨터를 켰을 때)
제 메인 컴퓨터에서 인터넷이 잘 안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러다가 보조 컴퓨터를 끄거나 연결된 랜을 끊으면 다시 인터넷이 됩니다.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지만 추측하건데 인터넷 브라우저(크롬)가 보조 컴퓨터와 연결된 랜카드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우분투에 이런 기능은 없을까요?
브라우저가 사용할 랜카드(eth0)를 고정시켜놓고
이 브라우저가 보조 컴퓨터에 연결된 랜카드에 접근하지 않도록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quote="bahzu":1qrsbgty]리눅스든 윈도우든 랜카드는 3개가 잡혀 있어도
기본적으로 1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물론 사용자가 3개중 필요에 따라 셀렉트하면 됩니다.
보조 컴과 연결된 랜을 기본으로 사용하면 당연히 인터넷이 안되겠죠!
따라서 공유기 사용을 권해 드립니다.[/quote:1qrsbgty]
죄송합니다만 대단히 오해의 소지가 많은 표현인듯 합니다.
리눅스든 윈도우든 랜카드가 몇개 달려 있든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물론 모두 적절한 주소와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해야만 하겠지요.
[quote="jaejun0201":1qrsbgty]우분투 12.04 LTS를 사용하고 있는 유저입니다.
지금 제 컴퓨터에
유선랜카드가 2개, 무선랜이 1개 꽂혀있습니다.
유선랜1개와 무선랜 1개는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고
유선랜 1개는 보조 컴퓨터와 바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보조 컴퓨터에 꽂혀있는 랜이 활성화 되었을 때(보조 컴퓨터를 켰을 때)
제 메인 컴퓨터에서 인터넷이 잘 안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러다가 보조 컴퓨터를 끄거나 연결된 랜을 끊으면 다시 인터넷이 됩니다.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지만 추측하건데 인터넷 브라우저(크롬)가 보조 컴퓨터와 연결된 랜카드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우분투에 이런 기능은 없을까요?
브라우저가 사용할 랜카드(eth0)를 고정시켜놓고
이 브라우저가 보조 컴퓨터에 연결된 랜카드에 접근하지 않도록하는 방법이 있을까요?[/quote:1qrsbgty]
제 추측으로는 보조 컴퓨터와 연결된 랜카드의 설정 문제이지 않을까 합니다.
default gateway가 모든 랜카드에 설정되어 있거나
dhcp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신지?
PC랑 연결된 랜카드의 용도를 잘 모르겠으나
default gateway 설정을 제거하고
고정 ip address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eth1의 링크업/링크다운이
eth0의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어지지 않을까 합니다.
"Network manager replaces default route when eth cable is plugged"
[quote:2v7nmzhv]Just ran across your thread trying to solve this for myself. I did find a solution. In NetworkManager, edit the connection you’re using for local only. You have to enter a default gateway (I consider this to be a bug as a default route is not necessary for IP to work on the local subnet). Under IPv4, click "Routes…" and then check the box that says "Use this connection only for resources on its network." That causes it to ignore the default gateway and only use that connection for its particular subnet.[/quote:2v7nmzhv]
[quote="bahzu":sdwit1vo]freegilyeon님의 말씀 처럼 하려면 공유기가 있어야 가능하지 않나요?
질문자께서 공유기를 사용하신다면 보조컴과 메인컴의 네트워크가 가능 하고 인터넷도 가능하므로
보조컴과 메인컴을 다이렉트로 연결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192.168.x.x로 시작하는 아이피는 공유기가 제공하는 내부 전용(NAT전용) 아이피 입니다.
위의 질문자께서는 공유기를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것 같습니다.
질문자의 정확한 의도를 알수 없으므로 어디까지나 저의 예측이겠지만…?
아마 다른 분의 무선영역을 사용하고 계신 것 같은데
아니라면 실례했습니다. (이 부분이 잘못된 예측이라면 정중히 사과 드립니다.)[/quote:sdwit1vo]
공유기와는 상관없고요~
두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이었습니다.
유선은 내부 네트워크 전용, 무선은 외부와 연결되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했던 방법입니다.
IP는 그저 예를 든 거구요. 참고로 172대나 192대나 (10대도??) 모두 내부 네트워크 IP입니다.
마잇님 글에 나온 설정 방법 중에 4번 부분을 제외하고
Routes 설정을 해봤었는데 안되었습니다.
지금은 두 개의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테스트해 볼 수가 없네요.
이 방법이 되었다면 Route 변경하는 삽질을 하지 않았어도 됐을 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