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카드 여러개 사용할 때

우분투 12.04 LTS를 사용하고 있는 유저입니다.

지금 제 컴퓨터에
유선랜카드가 2개, 무선랜이 1개 꽂혀있습니다.
유선랜1개와 무선랜 1개는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고
유선랜 1개는 보조 컴퓨터와 바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보조 컴퓨터에 꽂혀있는 랜이 활성화 되었을 때(보조 컴퓨터를 켰을 때)
제 메인 컴퓨터에서 인터넷이 잘 안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러다가 보조 컴퓨터를 끄거나 연결된 랜을 끊으면 다시 인터넷이 됩니다.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지만 추측하건데 인터넷 브라우저(크롬)가 보조 컴퓨터와 연결된 랜카드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우분투에 이런 기능은 없을까요?
브라우저가 사용할 랜카드(eth0)를 고정시켜놓고
이 브라우저가 보조 컴퓨터에 연결된 랜카드에 접근하지 않도록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리눅스든 윈도우든 랜카드는 3개가 잡혀 있어도
기본적으로 1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물론 사용자가 3개중 필요에 따라 셀렉트하면 됩니다.
보조 컴과 연결된 랜을 기본으로 사용하면 당연히 인터넷이 안되겠죠!

따라서 공유기 사용을 권해 드립니다.

[quote="bahzu":23rtesne]리눅스든 윈도우든 랜카드는 3개가 잡혀 있어도
기본적으로 1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quote:23rtesne]

헉… 그런가요?
일부러 공유기랑 유선랜 무선랜 연결해 놓고 사용하는데 바보같은 짓이었군요
바인딩도 유무선 함께 가능한가 모르겠습니다

[quote:37dl42qe]바인딩도 유무선 함께 가능한가 모르겠습니다[/quote:37dl42qe]

바인딩이라…! 상당히 어려운 용어입니다. (프로그레머에겐 그렇습니다. 농담인지 아시죠…^^)
물론 랜카드 2개 이상을 묶어 대역폭을 늘려주는 방법이 있습니다만
의미가 없지 않을까요? 물론 인터넷은 사용이 가능합니다만…^^

장담을 드리지만 바인딩 하더라도 속도에 별차이 없습니다.
문제는 대역폭이 아니라 회선의 속도에 달려 있다 할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선 케이블이 카테고리6(맞나?)를 사용함으로
대역폭을 늘려줘도 패킷을 처리하는 조건에는 미미한 영향을 줄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UTP 같은 고가의 케이블을 사용한다면 의미가 있다 할수 있습니다.
개인이 이런 금전적인 지불을 하기엔 역부족이겠죠!

유무선랜의 바인딩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질문자의 취지를 볼때 질문자에겐 공유기가 반드시 필요할 것 같습니다.
보조컴과 다이렉트로 연결하면 바인딩 자체가 무의미 하기도 하지만
또한 질문자의 글을 볼때 현재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 집니다.

[quote="bahzu":1qrsbgty]리눅스든 윈도우든 랜카드는 3개가 잡혀 있어도
기본적으로 1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물론 사용자가 3개중 필요에 따라 셀렉트하면 됩니다.
보조 컴과 연결된 랜을 기본으로 사용하면 당연히 인터넷이 안되겠죠!

따라서 공유기 사용을 권해 드립니다.[/quote:1qrsbgty]

죄송합니다만 대단히 오해의 소지가 많은 표현인듯 합니다.

리눅스든 윈도우든 랜카드가 몇개 달려 있든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물론 모두 적절한 주소와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해야만 하겠지요.

[quote="jaejun0201":1qrsbgty]우분투 12.04 LTS를 사용하고 있는 유저입니다.

지금 제 컴퓨터에
유선랜카드가 2개, 무선랜이 1개 꽂혀있습니다.
유선랜1개와 무선랜 1개는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고
유선랜 1개는 보조 컴퓨터와 바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보조 컴퓨터에 꽂혀있는 랜이 활성화 되었을 때(보조 컴퓨터를 켰을 때)
제 메인 컴퓨터에서 인터넷이 잘 안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러다가 보조 컴퓨터를 끄거나 연결된 랜을 끊으면 다시 인터넷이 됩니다.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지만 추측하건데 인터넷 브라우저(크롬)가 보조 컴퓨터와 연결된 랜카드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우분투에 이런 기능은 없을까요?
브라우저가 사용할 랜카드(eth0)를 고정시켜놓고
이 브라우저가 보조 컴퓨터에 연결된 랜카드에 접근하지 않도록하는 방법이 있을까요?[/quote:1qrsbgty]

제 추측으로는 보조 컴퓨터와 연결된 랜카드의 설정 문제이지 않을까 합니다.
default gateway가 모든 랜카드에 설정되어 있거나
dhcp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신지?

PC랑 연결된 랜카드의 용도를 잘 모르겠으나
default gateway 설정을 제거하고
고정 ip address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eth1의 링크업/링크다운이
eth0의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어지지 않을까 합니다.

도움되시길…

[quote:3dv1roj9]리눅스든 윈도우든 랜카드가 몇개 달려 있든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물론 모두 적절한 주소와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해야만 하겠지요.[/quote:3dv1roj9]

뭔가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저의 말은 리눅스든 윈도우든 랜카드를 모두 잡아 주고 인터넷이 가능 하더라도
인터넷 연결에 사용할수 있는 랜카드는 1개라는 의미입니다.

랜카드가 몇개든 OS의 기본을 전제 할 때의 의미입니다.
물론 사용자가 추후 가능한 바인딩 작업을 해준다면 동시 사용이 가능 하겠지요!

어째든 보조컴과 연결된 랜카드를 고정 아이피로 잡아 주고 게이트웨이 부분을 수정해도
질문자의 현재 상태의 컴에서는 해당 랜카드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역시 인터넷이 안될 것 입니다.

그리고 보조컴과 다이렉트로 연결하는 한 바인딩도 불가능 합니다.
그래서 공유기 사용을 권해 드리는 것 입니다.

제가 알고 있는 바로는 그렇습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전에 무선랜과 유선랜 두 개를 사용하면서 사용했던 방법인데
이 방법으로 충분히 사용 가능 할 듯 합니다.

일단 default gw가 항상 유선으로 되더군요. 그것을 무선으로 변경했었습니다.
기존 default gw 제거
sudo route del default gw 172.30.1.1 metric 0 eth0
무선랜을 default gw로 설정
sudo route add default gw 192.168.1.1 metric 0 wlan0
이렇게 하면 무선랜이 외부와의 통로가 됩니다.

특정 IP 대역의 통로를 유선랜으로 지정합니다.
sudo route add -net 172.0.0.0 netmask 255.0.0.0 dev eth0
sudo route add -net 10.211.2.0 netmask 255.255.255.0 dev eth0

이렇게 해서 내부 연결은 유선랜을 외부 연결은 무선랜을 잠깐 사용했었습니다.

freegilyeon님의 말씀 처럼 하려면 공유기가 있어야 가능하지 않나요?

질문자께서 공유기를 사용하신다면 보조컴과 메인컴의 네트워크가 가능 하고 인터넷도 가능하므로
보조컴과 메인컴을 다이렉트로 연결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192.168.x.x로 시작하는 아이피는 공유기가 제공하는 내부 전용(NAT전용) 아이피 입니다.

위의 질문자께서는 공유기를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것 같습니다.
질문자의 정확한 의도를 알수 없으므로 어디까지나 저의 예측이겠지만…?

아마 다른 분의 무선영역을 사용하고 계신 것 같은데
아니라면 실례했습니다. (이 부분이 잘못된 예측이라면 정중히 사과 드립니다.)

한 개 이상의 네트웍 카드가 있어도 그 중에 하나로만 인터넷이 됩니다.

두 개 이상의 카드를 묶어서 대역폭을 늘리는 기술을 본딩 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더 궁금 하시면 'ubuntu network bonding’으로 검색 해보세요.

https://help.ubuntu.com/community/UbuntuBonding

기본 게이트웨이가 바뀌는 문제는 저도 경험을 해봤는데 그 규칙을 짐작해 보자면 '제일 마지막에 링크된 유선 랜’이 기본 게이트웨이로 지정되는 것 같습니다. 유선 쓰던 상태에서 무선 연결해도 게이트웨이가 바뀌지는 않더라구요.

보조 컴퓨터와 직접 유선 연결 했을 때 메인 컴퓨터 기본 게이트웨이 설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법을 찾아 봤습니다.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1474098

"Network manager replaces default route when eth cable is plugged"

[quote:2v7nmzhv]Just ran across your thread trying to solve this for myself. I did find a solution. In NetworkManager, edit the connection you’re using for local only. You have to enter a default gateway (I consider this to be a bug as a default route is not necessary for IP to work on the local subnet). Under IPv4, click "Routes…" and then check the box that says "Use this connection only for resources on its network." That causes it to ignore the default gateway and only use that connection for its particular subnet.[/quote:2v7nmzhv]

이론적 배경 없이 대충 짐작해 보면 다음 처럼 하라는 것 같습니다.

[attachment=0:2v7nmzhv]pXhm5aaBDz.png[/attachment:2v7nmzhv]

아이피 주소는 저렇게 주는 게 맞나 모르겠네요 같은 설정으로 한쪽은 1 주고 한쪽은 2로 하면 둘 사이의 연결도 되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아! 마잇님께 한수 배웠습니다.

예전 부터 습관이 들어 이제는 인에 빡힌 것 같습니다.
올바른 용어를 사용하도록 더욱 노력해야 하겠습니다.

위의 방법이 옳은 것 같습니다. 그런 기능이 숨어 있었네요.
해당 랜카드가 네트워크에만 사용된다면 인터넷에 미치는 영향은 없을 것으로 짐작 됩니다.

[quote="bahzu":sdwit1vo]freegilyeon님의 말씀 처럼 하려면 공유기가 있어야 가능하지 않나요?

질문자께서 공유기를 사용하신다면 보조컴과 메인컴의 네트워크가 가능 하고 인터넷도 가능하므로
보조컴과 메인컴을 다이렉트로 연결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192.168.x.x로 시작하는 아이피는 공유기가 제공하는 내부 전용(NAT전용) 아이피 입니다.

위의 질문자께서는 공유기를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것 같습니다.
질문자의 정확한 의도를 알수 없으므로 어디까지나 저의 예측이겠지만…?

아마 다른 분의 무선영역을 사용하고 계신 것 같은데
아니라면 실례했습니다. (이 부분이 잘못된 예측이라면 정중히 사과 드립니다.)[/quote:sdwit1vo]

공유기와는 상관없고요~
두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이었습니다.
유선은 내부 네트워크 전용, 무선은 외부와 연결되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했던 방법입니다.
IP는 그저 예를 든 거구요. 참고로 172대나 192대나 (10대도??) 모두 내부 네트워크 IP입니다.

마잇님 글에 나온 설정 방법 중에 4번 부분을 제외하고
Routes 설정을 해봤었는데 안되었습니다.
지금은 두 개의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테스트해 볼 수가 없네요.
이 방법이 되었다면 Route 변경하는 삽질을 하지 않았어도 됐을 텐데…

너무 지난 글에 덧글을 단듯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