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트워크 설정 관련해서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처음으로 질문을 남깁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우분투에서 인터넷이 안되는 현상을 겪고 있는데요… 원인은 이렇습니다.

<현재 네트워크 구성도>
무선랜(LG U+)-------------랩탑(무선랜:인터넷연결,유선랜:데스크탑연결)--------------데스크탑(유선랜:랩탑연결)

이렇게 되어있는데요 파티션을 나눠서 데스크탑에 우분투를 깔고, 랩탑에 연결하여 인터넷을 쓰려고 하는데 안되네요;;

랩탑은 윈도우가 깔려있구요, 데스크탑에는 파티션을 나누어 윈도우와 우분투를 깔아놨습니다.

재미있는 현상은 데스크탑을 윈도우로 부팅하면 기존에 구성해놓은 인터넷연결로 인터넷이 됩니다.

그리고 우분투로 부팅을 하면 인터넷연결은 안되는데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랩탑으로 ping은 돕니다;;

근데 불여우를 띄우면 먹통이네요;;

이게 OS간 차이때문에 그런건지…

우선 ip설정은 랩탑이1번, 데스크탑 윈도우가 2번, 데스크탑 우분투가 3번(물론 앞에 192.168.10.xxx은 통일했구요)입니다.

subnet mask는 255.255.255.0이고 데스크탑의 기본게이트웨이는 192.168.10.1로 모두 잡아놓았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모두들 감기 조심하시구 좋은 밤 되세요~~

같은 구성으로 확인해 봤는데 윈도/우분투 각각 이상없이 잘 되네요
전부 다 DHCP입니다

  1. 노트북은 무선랜으로 무선랜에 연결하고 노트북의 무선랜의 설정에서 인터넷 공유 부분을 체크 했습니다
    노트북 유선랜은 아무런 설정을 안하고 그냥 놓아 두었구요, 윈7입니다

    무선랜 ip는 무선랜에서 받아오니 xx.xx.xx.xx 식으로 이전처럼 되어 있구요,
    유선랜 ip가 자동으로 xx.xx.1xx.1 이런 식으로 재설정되네요

  2. 데탑의 유선랜은 아무런 설정을 안하고 그냥 놓아 두었구요, 윈8.1입니다

    유선랜 ip가 자동으로 xx.xx.1xx.xx 식으로 잡히네요
    (윈도, 우분투 다 같습니다)

저는 윈도우 XP라서 따로 잡았거든요…ㅠㅠ

운영체제가 달라서 그럴수도 있겠군요…ㅠㅠ

여기저기 찾아보니 작업그룹을 맞춰줘야한다는데 우분투에서는 어디서 해야할지…ㅠㅠ

그 그룹이 원래 우분투의 그룹을 맞춰줘야한다는 건지…ㅠㅠ

고정ip로 설정할 때 노트북쪽 게이트 웨이 설정이 틀려서 그런거 아닌가요?
윈도에서 연결 했을 때 노트북의 도스창에서 ipconfig로 나온 ip와 subset 그리고 gateway, 그리고 데탑의 ipconfig의 값들
윈도와 우분투 연결했을 때 나온 노트북의 도스창 ipconfig랑 우분투의 ifconfig 비교했을 때 모두 서로 같게 나오는지 확인 하셨나 궁금합니다

랩탑 무선랜 장치 인터넷 공유가 명시적으로 설정 되었는지 확인 하시고 데스크탑의 IP설정은 자동으로 두신 후 연결해 보세요.

oseb // 노트북에서는 유선랜 쪽 게이트웨이는 설정해주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문제일까요?
하지만 잡을 수 없는 게 무선랜 쪽은 유동IP라ㅠㅠ
그리고 말씀하신 ipconfig부분과 ifconfig부분은 설정과 같게 나옵니다.

마잇//마잇님이 말씀하신대로 자동으로도 시도해보았으나 실패ㅠㅠ

재미있는건 랩탑의 ip로 핑을 날리면 다 간다는거;;; 그리고 삼바는 잡지도 않았는데 이미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공유가 된다는 거;;

설치도중 문제가 생겨서 그런 걸까요?ㅠㅠ 다시 설치해야하나…ㅠㅠ

아직 해결되지는 않았지만 oseb님 마잇님께 감사합니다.

참고용으로 스크린샷올립니당~~ 윈도우 화면은 인터넷이 되는 설정이구요, 우분투 화면은 인터넷이 안되는 설정입니다. DNS는 상관없지 않나요?? 그리고 나머지는 동일한데-_-;;
[attachment=0:37wl5w2d]trouble.GIF[/attachment:37wl5w2d]

ip가 안 맞네요
이렇게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노트북
무선랜(인터넷 공유로 설정)
192.168.10.2

유선랜
192.168.100.1

우분투
유선랜
192.168.100.3

[attachment=0:13eax7qb]adding2.jpg[/attachment:13eax7qb]제가 착각하고 스크린샷을 올렸네요^^;;

위의 스크린 샷은 데스크탑의 설정이고 아래 스크린 샷은 랩탑(DHCP에서 자동할당)의 설정입니다.

데탑이 192.168.10.2 잖아요
우부눝에서 192.168.10.1을 통해서 연결 할려고 하는데 그게 없으니 인터넷을 못 하거든요
그래서 테답의 ip를 192.168.10.1로 바꿔야 하는 겁니다


워크그룹내 랜의 연결인 경우는 노트북 유선랜 xx.xx.xx.2 우분투 유선랜 xx.xx.xx.3 식으로 연결하면 되는데,
노트북의 무선랜(인터넷) - 노트북의 유선랜(라우터, 일종의 공유기처럼) - 우분투 유선랜 이런 과정을 거쳐야 노트북의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oseb님 //

말씀처럼 다시 구성했습니다.

랩탑 무선랜 : DHCP자동설정(연결공유)
랩탑 유선랜 : 192.168.10.1(IP),255.255.255.0(Subnet),없음(Default Gateway)

데스크탑 우분투 : 192.168.10.3(IP),255.255.255.0(Subnet),192.168.10.1(Default Gateway)

이렇게 구성하는 거 맞죠??

근데…이렇게 했는데…ㅜㅠ

랩탑 유선과 데탑 유선의 게이트웨이 주소가 똑같은데 그 게이트웨이를 담당할 인터페이스가 없습니다.

랩탑 무선을 공유함을 설정하고,

랩탑 유선은 게이트웨이 설정 없이 임의 사설 대역의 IP,
192.168.100.1
255.255.255.0

데탑 유선은 게이트웨이 DNS도 같이,
192.168.100.2
255.255.255.0
192.168.100.1
DNS

저도 사실 잘 모릅니다
마잇임 설명대로 해 보세요

DNS는 한국 통신 사용중이면 168.126.63.1 이런 식으로 넣으면 되고
스샷에 있는 dns 주소 넣어도 됩니다

dns라는게 ubuntu.co.kr 을 넣으면 실제 ip로 찾아주는 역할을 하는 서비스입니다

감사합니다 두분다!!

드디어 해결했습니다ㅠㅠ

DNS를 잡아주니 인터넷이 되더군요!! 정말 감사합니다^^

추운 날씨 감기 조심하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