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임 서버 정상일까요?

갑자기 궁금해서 터미널에서 명령을 쳐 봤습니다

[code:1c5jfd8k]
doodoo@doodoo:~$ nslookup
> yahoo.co.kr
Server: 127.0.1.1
Address: 127.0.1.1#53

Non-authoritative answer:
Name: yahoo.co.kr
Address: 106.10.165.51
Name: yahoo.co.kr
Address: 68.180.206.184
> exit

[/code:1c5jfd8k]

이게 정상일까요? 네임서버가 로컬이라니…??

LGU+ 사용하고, 넷기어 공유기도 하나 사용하고 있습니다.

음…! trusty 사용하시는 것 같습니다.

아마 dhclient.conf와 resolv.conf 에서 dns-name-server가 127.0.0.1로 잡히는 데
내용을 보니 이전과는 조금 다른 것 같습니다.

static으로 바꿔줘도 127.0.0.1로 잡힙니다.
그러나 인터넷 이용에는 이상이 없네요!

뭔가 내부적으로 변경이 있는 듯 한데 조사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static으로 바꾸었을 때 firefox에서 dns server 잡는 데는 이상이 없더군요!

참고하십시오.

네 14.04 맞구요.

인터넷을 사용하는데는 이상이 없습니다.

근데…dns 서버를 따로 설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조금 헷갈리네요
전에는 resolv.conf 를 편집해서 썼었는데…뭔가 많이 복잡해져서 따로 방법을 써야 할것 같은 느낌(?)

network-manager 패키지 사용하시면 시스템 설정의 네트워크 관리에서 설정하시거나 오른쪽 위에 네트워크 설정 아이콘이 있을 겁니다.

ifupdown 패키지를 사용하시면 아래처럼 설정할 수 있습니다.

[quote:36o3b84d]$ cat /etc/network/interfaces

The loopback network interface

auto lo
iface lo inet loopback

The primary network interface

auto eth0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x.x.x.x
netmask 255.255.255.0
network x.x.x.0
broadcast x.x.x.x.255
gateway x.x.x.1
# dns-* options are implemented by the resolvconf package, if installed
dns-nameservers 8.8.8.8
dns-search xxx.com[/quote:36o3b84d]

[quote="doodoo":36o3b84d]네 14.04 맞구요.

인터넷을 사용하는데는 이상이 없습니다.

근데…dns 서버를 따로 설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조금 헷갈리네요
전에는 resolv.conf 를 편집해서 썼었는데…뭔가 많이 복잡해져서 따로 방법을 써야 할것 같은 느낌(?)[/quote:36o3b84d]

우리집은 dhcp 로 연결이 되는데…static 으로 붙여도 될지 모르겠습니다.

알려주신 네트웍 메니져로 dhcp 와 dns 조합이 될수 있을지 살펴 봐야 겠습니다 .

감사~~

dhcp도 아래와 같이 고정으로 네임 서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sudo vi /etc/dhcp/dhclient.conf

supersede domain-name-servers 208.67.222.222, 208.67.220.220;

위와 같이 resolv가 받아서 static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위의 아이피는 OpenDNS 주소입니다.)

그러나 network-manager 사용시 아이피는 자동적으로 갱신될 것이므로
시간이 지나면 인터넷이 안되겠죠!

얼핏 보아하니 로컬에서 dns server가 지정되어 있는 느낌입니다.
정확한 것은 좀 더 조사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우분투 12.04 이후 resolv.conf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데스크탑에서 DNS resolver를 dnsmasq가 하도록 바뀌었다네요.
세부 사항은 아래 사이트 참고하시길…

[url:32r8c401]https://www.stgraber.org/2012/02/24/dns-in-ubuntu-12-04[/url:32r8c401]

아하! 수세에도 적용하면 좋겠네요!

근데 LTS만 dnsmasq 사용하는가 봅니다. 13.10은 아니였던 것 같은데요…^^

13.10 데스크탑 버전 사용 중인데 dnsmasq를 사용합니다. 혹시 우분투 서버 버전 아닌지요?

wifi를 쓰고 있는데 드라이버 문제인지 가끔씩 네트워크 연결이 안되고 chrome에서 resolving host… 하면서 먹통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적어도 제 PC에서는 dnsmasq를 끄고 사용하는게 인터넷 접속시 더 빠릅니다. 먹통이 되는 문제는 dnsmasq 때문은 아닌것 같구요.
앞의 사이트에 나와 있듯이 VPN을 사용하거나 DNS 서버를 여러개 사용하는데 접속이 느려지는 경우 등에 dnsmasq가 유용해 보입니다.

약간의 dnsmasq 버그도 있는 듯 하구요. DNS host를 잘 못찾는 경우엔 dnsmasq를 끄는게 좋다고 합니다.
참고로, dnsmasq 끄는 방법은 앞의 사이트에 나와 있지만, /etc/NetworkManager/NetworkManager.conf 파일을 열어서 dns=dnsmasq 라인을 '#'으로 코멘트 처리하거나 지우고 나서 아래와 같이 network-manager를 재기동 하면 됩니다.

sudo restart network-manager

dnsmasq를 끄고나서 nslookup 해보면 이전과 같이 network-manager에 지정한 name server를 DNS lookup에 이용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