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부팅 시,
linux /boot/vmlinuz-3.13.0-29-generic.efi.signed ~
이걸로 부팅이 됩니다.
그런데 default인 위 내용으로 부팅을 하면
우분투 로고에서 멈추거나, 보라색 화면에서 멈추더라구요.
커널 패닉도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ubuntu 아래에 advanced options for ubuntu 를 들어가보니
ubuntu, with linux 3.13.0-29-generic
ubuntu, with linux 3.13.0-29-generic (recovery mode)
ubuntu, with linux 3.13.0-24-generic
ubuntu, with linux 3.13.0-24-generic (recovery mode)
요렇게 네개가 있더군요.
29 로 되어있는것 recovery mode를 들어가서
fsck, clear 등등 한 후에,
network (enable networking) 을 선택하니 전에 발생한 커널 패닉이 발생합니다.
그 내용은 항상 exception in interrupt 입니다.
결국 29버전은 둘다 방법이 안보여서, 24 로 부팅해보니 이건 또 잘됩니다.
grub순서 바꾸는 방법을 찾아보았는데,
default 의 넘버를 바꾸는 것이더라고요.
그런데 위의 메뉴는 advanced options for ubuntu 를 선택한 후에 나온 것이라
이건 또 어떻게 골라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우선, /boot 에서, 29 관련된것 ( abi, config, System.map, vmlinuz, initrd.img ) 을 지우고, update-grub를 해줬더니
24 로 default가 되어서 정상 부팅은 됩니다만 다시 29로 업데이트가 되면 문제가 다시 발생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