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비안(우분투)에서 페도라(레드햇)으로 전환하려고 합니다.

저는 맨처음에 CentOS로 리눅스를시작했었습니다. 그렇게 배우다가 개발환경 구축목적으로 사용했던것이 우분투였죠.
당시에 패키지 시스템으로 알고있던것이 rpm,apt-get만 알고 yum은 모르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렇게 계속적으로 몇년을 사용하였고, 현재에도 우분투를 계속사용해 왔습니다.
그렇지만, 현재 펌웨어 개발에 사용중인 SDK에서 에러가 너무 많습니다.

에러도 에러지만 페도라로의 전환의 가장 큰 이유는지금까지 『조금만 하면 해결할수 있을거야』하면서 너무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고,
업데이트할때마다 새로운 에러가 발생하게 되면서 이제는 더이상 조금의 시간이 필요한게 아니게 되었습니다. .

물론, 앞으로도 리눅스의 사용자로서 우분투 모임에 계속적으로 참여할것입니다. 그러나, 제발좀 일반사용자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개발환경에 대해서 신경써줬으면 하네요. find,make,curl같은…

버그라 함은 어떤 걸 말씀하시는지? 구체적으로…

세벌//

한가지중에 하나는 make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할때에 이미지에 커널과 파일시스템이 함께들어있습니다. make clean이후에 생성해도 코드의 수정내용이 반영안되고 기존내용이 그대로 들어있어 코드의 변경사항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물론, 수동으로 수정하는것도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그렇게 수작업하는것도 솔직히 손이 더 들어가는 일이죠.

make meunconfig에사 find가 path length에러를 내면서 menuconfig를 거부합니다. make관련된 스크립트를 수정하면 되겠지만, 이것도 이것대로 수정하기에 시간이 걸리고, 사용하는 SDK에서 모두 같은 에러를 발생합니다. 따라서 하나하나 수정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꽤걸리는것으로 생각되서 수정의 엄두를 못내고 있죠. 이외에도 Squash 파일스템 에러문제도 해결은 했지만, 새로운 SDK에 매번 수정해줘야 하는 문제중에 하나죠.

사실은 레드햇과 데비안의 환경차이 때문일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결정적으로 SDK가 CentOS기준으로 작성되었고 나열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레드햇으로 이전하는것이 답이라고 현재 생각합니다.

[quote="k9200544":78gc8d25]SDK 자체가 플랫폰 종속이라서 생기는 문제가 아닐까요
그 부분 잘 따져 보신것이 아니라면 make 등 자잘한 문제라고 말씀하신 부분은 오해의 소지가 있는것 같습니다[/quote:78gc8d25]

버그라는 부분은 수정했습니다. 확실히 오해의 소지가 있겠네요. 글을 횡설수설 썼는데요. 이것이 공개된 코드들도 아니고, 파악이 제대로 되지않는 점도 있습니다.
다만, 코드적용에 관해서 말하자면, 분명히 HOST를 업데이트하고서 발생된 문제입니다.

사실은 이전에 Squash에 관해서도 이전에는 괜찮았지만, 업데이트하고서 황당하게 에러를 발생하더군요.

공개가된 SDK를 사용해서 이렇게 속앓이를 하는것도 답답하네요 ㅠㅠ

자주 이야기하지만…

우분투커뮤니티에서 진짜로 우분투 쓰는 사람 그닥 많지 않습니다만…

하지만 Redhat쪽으로는 잘 안 가는 분위기던데 말이죠…

몇가지 자잘한 부분이 다르고, 솔직히 좀 많이 골치 아픕니다… 지금 제가 위키 작성하는 항목에서도 다름을 느낄수 있었습니다…

개발환경은 점점 쉬워지는 추세고, 종속성은 여러 기업 / 커뮤니티가 해결중인 과제인데…

어쨌거나 스트레스 받으면서까지 고집할 필요는 없죠…

내 편한거 쓰는게 장땡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