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솜 입력기가 정식 출시될 예정입니다.

다솜 입력기가 정식 출시될 예정입니다.

정식 출시 버전에 .deb 파일을 만들기 위한 debian 파일들을 포함할 예정이므로 설치하기기 편리해질 것입니다.

설정창 UI는 중요도가 떨어지고 귀찮아서 따로 만들지 않았고 dconf-editor 로 설정하시면 되겠습니다. 세벌식 당근 지원합니다.

qt4, qt5, gtk2, gtk3, XIM 지원합니다.

지금도 타 입력기에서 두루 나타나는 끝글자 버그가 다솜 입력기에는 없습니다.

현재 한국어만 지원합니다.

드보락(dvorak) 지원합니다. raw code를 사용하여 별다른 설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PC 용 키보드만 지원합니다. 옛날에 나온 SUN 키보드… 이런 건 지원하지 않습니다.

UTF-8 환경만 지원합니다. EUC-KR 환경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http://www.cogno.org/node/139

PS. 한/영 표시기는 gnome-shell, kde, 우분투 unity 지원합니다. 그밖의 환경을 위한 표시기를 만들긴 만들어야 하는데, GUI 만드는 부분에 나름 까다로운 부분이 있어서 시간이 꽤 걸리므로 이번에 예정된 정식 출시 버전에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Wayland 환경에서도 잘
되겠지요?!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wayland는 잘 모르겠고요… 우분투에서 잘 돌아갑니다.

10월 9일 한글날에 버전 1.0 으로 릴리즈할 예정입니다. 사용자 편의 기능을 더 추가한 후에 릴리즈하고 싶은데 그러다보면 릴리즈 일정이 계속 지연되므로 다음 기능 추가는 1.0 릴리즈 이후 이루어질 것입니다.
앞으로 다솜 입력기로 한글 입력기를 통일하고 리눅스용 다국어 입력기의 비전을 제시하고 싶습니다.

언제쯤 나오나 기다리고 있었는데
드디어 나오는군요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아무래도 한국 사람이 만든 한글 입력기가 최적이죠… 기다리고 있습니다. 쿠분투 사용자입니다.

드디어 정식 릴리즈군요.
언제 릴리즈 되나 손꼽아 가디리고 있었습니다. ㅎㅎ

소스 빌드해서 다솜입력기를 사용하여 작성하고 있는데 안정적으로 동작하고 있습니다.
참…정식 릴리즈 하실 때 Arch Linux에도 AUR에 올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데비안 KDE 환경에서 테스트 중입니다.
KDE 환경에서는 libreoffice 가 QT 입력 모듈이 아닌 XIM 을 사용하더군요.
다솜 입력기의 XIM 에 버그를 발견하여 수정 중입니다. 곧 수정될 예정.
따라서 쿠분투에서도 잘 작동될 것으로 예상.

그리고, 아치리눅스 AUR 은 제가 몰라서 곤란합니다.

데비안 계열 사용자들을 위해 (사실은 패키지 제작에 대해 아는게 데비안 뿐이라) 다솜 1.0 에서는 deb 파일 제작을 위한 debian 파일들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데비안 계열 사용자 분들은 [u:3fcnaxc2]간단한 명령으로 deb 파일을 직접 제작[/u:3fcnaxc2]하여 gdebi 로 직접 설치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공식 저장소 탑재 요청에 대해서는, 제가 영어 작문이 미숙하여 영작 및 영어 의사 소통에 많은 시간이 걸리므로 시간 관계상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솜 정식 버전이 출시된 이후에 1개월 이상 써보시고 여러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동된다면, 사용자분들께서 공식 저장소 탑재 요청을 각 리눅스 배포판 관리자(메인테이너)에게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한글키, 한자키가 없는 키보드들(예, 노트북 키보드, 외산 키보드)이 있는데,… .xprofile .profile .xinitrc .bashrc 에 xmodmap 설정을 넣어도 이상하게도 gdm, gnome 에 이것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kde는 테스트 안 해봄) 다솜 입력기는, 오른쪽 ALT 키를 한글키로, 오른쪽 CTRL 키를 한자키로 변환시키는 코드를 포함할 것입니다.
dconf-editor 로 옵션 체크/체크 해제 가능. (옵션들이 실시간으로 적용됨, 앞으로 다솜 입력기 재시작을 위해 로그아웃/로그인할 필요가 없어짐 ㅋㅋ)

아래 참고

[code:3fcnaxc2]static void
on_kr_101_104_key_compatible_changed (GSettings *settings,
gchar *key,
DasomJeongeum *jeongeum)
{
g_debug (G_STRLOC ": %s", G_STRFUNC);

gboolean compatible = g_settings_get_boolean (settings, key);
if (compatible)
{
system ("xmodmap -e ‘keycode 105 = Hangul_Hanja’ &&
xmodmap -e ‘keycode 108 = Hangul’ &&
xmodmap -e ‘remove mod1 = Hangul’ &&
xmodmap -e ‘remove control = Hangul_Hanja’");
}
else
{
system ("xmodmap -e ‘keycode 105 = Control_R’ &&
xmodmap -e ‘keycode 108 = Alt_R’ &&
xmodmap -e ‘add mod1 = Alt_R’ &&
xmodmap -e ‘add control = Control_R’");
}
}[/code:3fcnaxc2]

현재 KDE 에서 Konqueror 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있는데, 몇 시간 째 잘 되고 있습니다.
다만, libreoffice 사용할 때 발생되는 다솜 입력기 XIM 버그는 (소녀시대 태연 뮤비 및 밀린 드라마 다 본 후) 곧 고칠 예정임.

다솜 입력기 만세~~~~!!!

PS. 추석 잘 보내세요.

다솜 입력기 XIM 버그는 수정했으나,
libreoffice 가 focus out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버그가 있습니다.
libreoffice-gnome, libreoffice-gtk 패키지를 제거하면 그놈 환경에서도 재현할 수 있습니다.

http://www.cogno.org/comment/217#comment-217

focus out 신호 미발생 버그를 회피하는 코드를 시험삼아 적용해봤으나, dasom 프로토콜 처리부와 xim 프로트콜 처리부의 결합도가 높아져 디버깅이 매우 까다롭고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다분하여 focus out 미발생 버그를 회피하는 코드를 적용하지 않기로 하였습니다.

(dasom 프로토콜 처리는 g_source 를 이용하여 처리하지만, xim 프로토콜은 IMdkit 을 사용하여 처리하므로 이질적이라 그렇습니다. focus in / out 신호 없이도 가능하도록 만드는 방법은 xim 프로토콜 처리기를 g_source 를 이용하여 새로 만들면 loop를 체크하여 회피할 수 있습니다만, 그걸 만들려면 수개월이 걸립니다.)

그놈 사용자분들은 그냥 libreoffice-gnome, libreoffice-gtk 패키지를 설치하여 사용하면 문제가 없고,
KDE 사용자분들은 libreoffice 쪽에 버그 리포트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아무튼 예정대로 10월 9일 다솜 버전 1.0 공개 예정입니다.

한글날 맟추어 공개 멋지네요 감사합니다

다솜 입력기가 최종 테스트 및 패키징 작업 중에 있습니다.
요 며칠 사이 컴파일만 수백번 한 것 같은데…
데비안에서는 문제 없이 잘 되는데,
버추얼박스에 쿠분투 14.04 (32비트), 우분투 14.04 (32비트)를 설치하여 테스트해보니 잘 되긴 잘 되는데 한자창이 갱신이 늦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무슨 말이냐면,
‘고’ 치고 한자키 누르면 ‘고’ 목록이 나오고… 아무거나 선택 후,
‘력’ 치고 한자키 누르면… ‘고’ 목록이 나오는데… 커서키 움직이면 ‘력’ 목록으로 한칸씩 변경됩니다. refresh 또는 redraw 가 늦어져서 그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버추얼박스에서 리눅스 사용하시는 분들… 이러한 문제를 겪은 적이 있나요? 아니면, 제가 다솜 코드를 어딘가 잘못 만들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쿠분투 14.04 에서 im-config를 설치하였는데 작동이 되질 않네요. 그냥 ibus 삭제했더니 입력기가 dasom 으로 잡혀서 사용가능하더군요. ㅎㅎㅎ

우분투에서만 발생하는 문제인지 가상 머신에서 발생하는 확인이 안 되니, 가상 머신 말고, 한자창 테스트해 보실 분을 찾습니다. 우분투 버전, 비트를 말씀해주시면 그에 맞는 컴파일된 deb 프리뷰 파일을 제공하겠습니다.

우분투 14.04 2입니다. 64비트입니다.
설치해서 사용해 보고싶습니다.
물론, 한자도 테스트 해 보겠습니다.
;

이전 빌드이지만, 제 경우에는 다솜 한자 입력에 문제가 없었습니다.
우분투 15.04 32비트입니다.

오늘밤에 만들어 올리겠습니다

우분투 설치, 업데이트 때문에 deb 파일 제작이 늦어지네요.

버추얼박스 우분투 15.04 64비트에서 한자창 문제가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위 파일 설치하여 다솜입력기로 입력 중입니다. 잘 되네요.

PS. 우분투 15.04 에서도 로그인창에서 패스워드 입력이 불가하다는 보고가 있어서 테스트용 다솜 입력기 20151005, 우분투 15.04 64비트용 파일을 삭제하였습니다

버추얼 박스에서 우분투 14.04 64비트 사용할 때,

한자창 갱신 문제 발생,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불가하여 우분투 14.04 64비트용 deb 파일 삭제하였습니다.

설치 후에 im-config 로 dasom 선택 하신 후 로그아웃/로그인 해주세요.

한글 키보드의 경우 한글키, 한자키 그냥 사용하시면 되고,
한글키, 한자키가 없는 키보드의 경우,
dconf-editor 을 실행하여
(없으면 설치할 것 sudo apt-get install dconf-editor)
org –> freedesktop –> dasom –> engines –> jeongeum 에 가보면,
korean-101-104-key-compatible [v] 체크해주세요.
[i:2lot2e73](그거 체크하면 내부에서 xmodmap이 실행됩니다.
xmodmap -e ‘keycode 105 = Hangul_Hanja’
xmodmap -e ‘keycode 108 = Hangul’
xmodmap -e ‘remove mod1 = Hangul’
xmodmap -e ‘remove control = Hangul_Hanja’ )[/i:2lot2e73]
오른쪽 ALT키로 한글키, 오른쪽 CTRL 키로 한자키, ALT 속성 제거됨, CTRL 속성 제거됨.
설정은 실시간으로 적용됩니다. 로그아웃/로그인할 필요 없음.
[attachment=1:2lot2e73]dconf-editor-dasom.png[/attachment:2lot2e73]
그리고 15.04 의 경우,
키보드 설정 들어가서 ALT 단축키 걸려있는 것 있을텐데… 그거 해제시켜주세요.
(아마, 그게 하드 코딩 되어 있는 것 같아요.)
[attachment=0:2lot2e73]hurd-shortcut.png[/attachment:2lot2e73]

한글입력기 개발에 힘써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저는 ᅟ15.04 64bit Ubuntu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올려주신 해당 패키지를 설치하고 im-config에서 dasom 입력기를 선택 후 로그아웃하니
로그인시 패스워드 입력이 안되었습니다.
방향키는 되는데 입력은 전혀 되지 않아서 다시 dasom를 제거하고 설정을 다시 돌려 놓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무엇을 잘못 한 것 일까요?

글쎄 저도 그걸 잘 모르겠는데요… ibus 를 제거 후에 다시 시도해보세요.

네. 물론 설치하고 ibus를 제거해서도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다시 한번 한글 입력기 개발에 힘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측인데 우분투 로그인창이 입력기를 거쳐서 패스워드를 받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입력기 프로세스 dasom-daemon 는 로그인하면 실행되고 로그아웃하면 종료될 겁니다.
아무래도 프로세스 목록과 환경 변수를 보기 위해 운영체제를 우분투로 갈아타서 테스트해야 하므로 시간이 꽤 걸릴 것 같습니다.
요새 잠을 너무 못자서 10월 9일 전에 해결은 어렵지만 우분투 지원을 늦추고 예정대로 10월 9일 릴리즈합니다.
우분투 15.04 지원은 12월 24일 경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나머지 우분투 버전은 미정.
테스트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