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9일 한글날에 버전 1.0 으로 릴리즈할 예정입니다. 사용자 편의 기능을 더 추가한 후에 릴리즈하고 싶은데 그러다보면 릴리즈 일정이 계속 지연되므로 다음 기능 추가는 1.0 릴리즈 이후 이루어질 것입니다.
앞으로 다솜 입력기로 한글 입력기를 통일하고 리눅스용 다국어 입력기의 비전을 제시하고 싶습니다.
데비안 KDE 환경에서 테스트 중입니다.
KDE 환경에서는 libreoffice 가 QT 입력 모듈이 아닌 XIM 을 사용하더군요.
다솜 입력기의 XIM 에 버그를 발견하여 수정 중입니다. 곧 수정될 예정.
따라서 쿠분투에서도 잘 작동될 것으로 예상.
그리고, 아치리눅스 AUR 은 제가 몰라서 곤란합니다.
데비안 계열 사용자들을 위해 (사실은 패키지 제작에 대해 아는게 데비안 뿐이라) 다솜 1.0 에서는 deb 파일 제작을 위한 debian 파일들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데비안 계열 사용자 분들은 [u:3fcnaxc2]간단한 명령으로 deb 파일을 직접 제작[/u:3fcnaxc2]하여 gdebi 로 직접 설치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공식 저장소 탑재 요청에 대해서는, 제가 영어 작문이 미숙하여 영작 및 영어 의사 소통에 많은 시간이 걸리므로 시간 관계상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솜 정식 버전이 출시된 이후에 1개월 이상 써보시고 여러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동된다면, 사용자분들께서 공식 저장소 탑재 요청을 각 리눅스 배포판 관리자(메인테이너)에게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한글키, 한자키가 없는 키보드들(예, 노트북 키보드, 외산 키보드)이 있는데,… .xprofile .profile .xinitrc .bashrc 에 xmodmap 설정을 넣어도 이상하게도 gdm, gnome 에 이것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kde는 테스트 안 해봄) 다솜 입력기는, 오른쪽 ALT 키를 한글키로, 오른쪽 CTRL 키를 한자키로 변환시키는 코드를 포함할 것입니다.
dconf-editor 로 옵션 체크/체크 해제 가능. (옵션들이 실시간으로 적용됨, 앞으로 다솜 입력기 재시작을 위해 로그아웃/로그인할 필요가 없어짐 ㅋㅋ)
focus out 신호 미발생 버그를 회피하는 코드를 시험삼아 적용해봤으나, dasom 프로토콜 처리부와 xim 프로트콜 처리부의 결합도가 높아져 디버깅이 매우 까다롭고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다분하여 focus out 미발생 버그를 회피하는 코드를 적용하지 않기로 하였습니다.
(dasom 프로토콜 처리는 g_source 를 이용하여 처리하지만, xim 프로토콜은 IMdkit 을 사용하여 처리하므로 이질적이라 그렇습니다. focus in / out 신호 없이도 가능하도록 만드는 방법은 xim 프로토콜 처리기를 g_source 를 이용하여 새로 만들면 loop를 체크하여 회피할 수 있습니다만, 그걸 만들려면 수개월이 걸립니다.)
그놈 사용자분들은 그냥 libreoffice-gnome, libreoffice-gtk 패키지를 설치하여 사용하면 문제가 없고,
KDE 사용자분들은 libreoffice 쪽에 버그 리포트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다솜 입력기가 최종 테스트 및 패키징 작업 중에 있습니다.
요 며칠 사이 컴파일만 수백번 한 것 같은데…
데비안에서는 문제 없이 잘 되는데,
버추얼박스에 쿠분투 14.04 (32비트), 우분투 14.04 (32비트)를 설치하여 테스트해보니 잘 되긴 잘 되는데 한자창이 갱신이 늦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무슨 말이냐면,
‘고’ 치고 한자키 누르면 ‘고’ 목록이 나오고… 아무거나 선택 후,
‘력’ 치고 한자키 누르면… ‘고’ 목록이 나오는데… 커서키 움직이면 ‘력’ 목록으로 한칸씩 변경됩니다. refresh 또는 redraw 가 늦어져서 그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버추얼박스에서 리눅스 사용하시는 분들… 이러한 문제를 겪은 적이 있나요? 아니면, 제가 다솜 코드를 어딘가 잘못 만들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쿠분투 14.04 에서 im-config를 설치하였는데 작동이 되질 않네요. 그냥 ibus 삭제했더니 입력기가 dasom 으로 잡혀서 사용가능하더군요. ㅎㅎㅎ
우분투에서만 발생하는 문제인지 가상 머신에서 발생하는 확인이 안 되니, 가상 머신 말고, 한자창 테스트해 보실 분을 찾습니다. 우분투 버전, 비트를 말씀해주시면 그에 맞는 컴파일된 deb 프리뷰 파일을 제공하겠습니다.
한글 키보드의 경우 한글키, 한자키 그냥 사용하시면 되고,
한글키, 한자키가 없는 키보드의 경우,
dconf-editor 을 실행하여
(없으면 설치할 것 sudo apt-get install dconf-editor)
org –> freedesktop –> dasom –> engines –> jeongeum 에 가보면,
korean-101-104-key-compatible [v] 체크해주세요.
[i:2lot2e73](그거 체크하면 내부에서 xmodmap이 실행됩니다.
xmodmap -e ‘keycode 105 = Hangul_Hanja’
xmodmap -e ‘keycode 108 = Hangul’
xmodmap -e ‘remove mod1 = Hangul’
xmodmap -e ‘remove control = Hangul_Hanja’ )[/i:2lot2e73]
오른쪽 ALT키로 한글키, 오른쪽 CTRL 키로 한자키, ALT 속성 제거됨, CTRL 속성 제거됨.
설정은 실시간으로 적용됩니다. 로그아웃/로그인할 필요 없음.
[attachment=1:2lot2e73]dconf-editor-dasom.png[/attachment:2lot2e73]
그리고 15.04 의 경우,
키보드 설정 들어가서 ALT 단축키 걸려있는 것 있을텐데… 그거 해제시켜주세요.
(아마, 그게 하드 코딩 되어 있는 것 같아요.)
[attachment=0:2lot2e73]hurd-shortcut.png[/attachment:2lot2e73]
저는 ᅟ15.04 64bit Ubuntu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올려주신 해당 패키지를 설치하고 im-config에서 dasom 입력기를 선택 후 로그아웃하니
로그인시 패스워드 입력이 안되었습니다.
방향키는 되는데 입력은 전혀 되지 않아서 다시 dasom를 제거하고 설정을 다시 돌려 놓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추측인데 우분투 로그인창이 입력기를 거쳐서 패스워드를 받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입력기 프로세스 dasom-daemon 는 로그인하면 실행되고 로그아웃하면 종료될 겁니다.
아무래도 프로세스 목록과 환경 변수를 보기 위해 운영체제를 우분투로 갈아타서 테스트해야 하므로 시간이 꽤 걸릴 것 같습니다.
요새 잠을 너무 못자서 10월 9일 전에 해결은 어렵지만 우분투 지원을 늦추고 예정대로 10월 9일 릴리즈합니다.
우분투 15.04 지원은 12월 24일 경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나머지 우분투 버전은 미정.
테스트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