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솜과 다른 입력기와 다른 점

ibus 등에 나타나는 끝글자 입력 버그를 해결한 것이었군요.
증상은 간단한데 해결은 매우 복잡한…
현재버전 1.0.1이네요.

https://github.com/cogniti/dasom/

비록 노이즈 마케팅이지만, 세벌님 덕분에 다솜 입력기 홍보는 확실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점은 감사드립니다.
일단, 프레임워크라는 용어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프레임워크는 틀, 골격을 의미합니다.
정확히는, 다솜 입력기 프레임워크(편의상 다솜 입력기)는 다국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림
[attachment=0:whl5mmgj]dasom-architecture.png[/attachment:whl5mmgj]

시간상의 이유로 한글/한국어만 지원하고 있는 것이죠.
설계에 5개월이 소요되었으며 ibus 와 구조면에서 차이가 많이 납니다.
비록 통신 구조이지만, 통신 구조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지연을 최대한 줄이려고 노력했습니다.
ibus 는 2단계 통신, 비동기화, DBus 방식임에 반해 다솜은 1단계 통신, 동기화, Unix Socket 방식에 플러그인(모듈)을 채용하여 유연함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ibus 보다 속도가 월등히 빨라 버추얼박스나 넷북에서 사용하기에 무리가 없습니다.
버추얼박스에서 ibus 와 dasom 을 각각 사용해보시면 속도 차이를 확연히 느끼실 수 있습니다.
또한, 언어 엔진 플러그인은 싱글톤 방식으로 작동하므로 자원 소비가 적습니다. 이는 중국어 엔진에 큰 장점이 됩니다.
그리고 1개의 dasom-daemon 에서 dasom 프로토콜과 xim 프로토콜을 동시에 처리합니다.
위에 언급한 것들이 dasom 과 ibus 의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덤으로 끝글자 버그가 사려져 버립니다. 그외 끝글자 버그는 다솜 버그가 아닌 어플 버그입니다.
이마저도 dasom 에서 이벤트 후킹을 통해 어느 정도 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C 언어로 작성하여 폭넓은 호환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미 자바스크립트에서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dasom agent for gnome-shell extension 은 자바스크립트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quote="세벌":whl5mmgj]ibus 등에 나타나는 끝글자 입력 버그를 해결한 것이었군요.
증상은 간단한데 해결은 매우 복잡한…
현재버전 1.0.1이네요.

https://github.com/cogniti/dasom/[/quote:whl5mmgj]

ibus 구조상, 7년이 넘도록 아직도 해결하지 못하는 것을, dasom 에서는 이미 해결했습니다.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PS.
아… 제 걱정하시는 분도 계시던데… 저는 괜찮습니다. 그냥 하는 얘기가 아니라 정말 괜찮습니다.
눈병은 10월 초, 1기~2기로 시작해서 주말에 심하게 아파서 어제 검사 받아봤는데 염증 없습니다. 영구적인 후유증도 없고요.
눈병은 세벌님 때문에 생긴 건 아니에요. 세벌님, 부담 가지실 필요 없습니다.
저는 거의 항상 즐겁고 행복합니다, 다만, 아까운 시간 ㅠㅠ

보통 세벌님 올리시는 글을 보면,
별 의미도 없는 한두줄짜리 글을 계속 올리는데…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 관심받기 위해 악성댓글로 진화하는 것 같거든요.
지금 건은 악성댓글이 아닙니다만, 악성댓글을 다시면 당사자는 어쩔 수 없이 댓글을 써야하므로…
아무튼…
저야 상관은 없는데… 우분투 포럼이 망해가는게 눈이 보이거든요.

전에 지은 죄가 있어서 만회해보려고 쓴 글이었는데… 이번 글도 문제가 되는 것인가요?
우분투 포럼 망하는 걸 바라는 건 절대 아니어요…
전에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다시한번 사과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