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터블 (우분투) 리눅스 만들기

운영체제인 리눅스를 USB메모리에 설치하면, USB부팅을 지원하는 컴에서 USB만으로 부팅이 가능한 포터블 리눅스가 됩니다.
우분투 리눅스 9.04 Jaunty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우분투를 USB메모리에 설치하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습니다.
[url:w81be3fo]https://wiki.ubuntu.com/LiveUsbPendrivePersistent[/url:w81be3fo]에 크게 3가지 방법이 설명되어 있는데…
그중 가장 간단하고 견고(?)한 방법인 method 1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이 경우 컴의 하드 기능을 USB가 완전히 대신하는 거여서 USB를 혹사(?)시킬 수는 있지만 다른 방식(live & persistent 방식인 method 2)에 비해 업데이트가 자유롭고 프로그램 추가/삭제에 제한이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 liveCD에 비해 더 다양한 하드웨어 지원이 가능해서 liveCD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컴에서도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리눅스를 컴의 하드 대신에 USB메모리에 설치하고,
부트로더를 컴의 하드 대신에 USB메모리(의 첫번째 파티션)에 설치하면 됩니다.

준비물:
USB메모리 (전송속도 빠르고 최소 8기가 이상이어야 함다.)
우분투 9.04 설치CD

  1. 먼저 컴에 USB메모리를 꼽고 우분투 설치CD로 부팅…
    [attachment=2:w81be3fo]0.png[/attachment:w81be3fo]
    언어 설정 후 위와 같은 화면이 출력되면 두번째의 "인스톨 우분투"를 선택하고 엔터…
    이후 인스톨 설정화면이 나타나면 각각 선택하여 진행하고

  2. 4번째 설정 화면…
    [attachment=1:w81be3fo]4.png[/attachment:w81be3fo]
    에서 설치되는 곳을 하드디스크가 아닌 USB 플래시 드라이브로 선택하여 진행

  3. 마지막 설정(Step 7 of 7)화면에서 Advanced(고급옵션)을 클릭하고…
    ([color=#FF0000:w81be3fo]이 부분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 과정을 생략하면 USB메모리로 부팅이 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컴 본체 부팅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color:w81be3fo])
    [attachment=0:w81be3fo]7-2.png[/attachment:w81be3fo]
    [color=#FF0000:w81be3fo]부트로더 인스톨을 하드디스크가 아닌 USB메모리의 첫번째 파티션(위의 경우 /dev/sdb1)으로 선택[/color:w81be3fo]하여 설치를 진행하면 끝…
    (부트로더를 /dev/sdb1이 아닌 /dev/sdb에 인스톨해야 부팅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설치가 종료되면 우분투 설치된 USB메모리를 빼서 다른 컴에 꼽고 바이오스에서 "USB로 부팅"을 선택 후 부팅을 하면 됩니다.

참 쉽죠!!
이제 여러 컴에 리눅스를 일일이 설치할 필요없이 이 USB메모리만 갖고 다니면 됩니다. 모든 컴에서 똑같은 우분투 리눅스 환경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quote="푸른바람":1vi2ne2f]** 우분투 iso 이미지를 CD로 구워 설치할 수 있지만 설치 과정 중 잘못되어서 (컴퓨터 하드의 MBR을 망가뜨리거나 하면) 컴퓨터가 부팅이 안되는 문제가 유발될 수도 있어서 Vmware의 가상 컴퓨터에서 설치하는 것이 더 안전할걸로 생각합니다. **[/quote:1vi2ne2f]
제가 얼마전에 이렇게 시도했는데, HAL 초기화 오류가 나면서 잘 안되더군요.
푸른바람님의 방법을 이용해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

이거 아주 유용한 방법인데요.
나중에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좋은 내용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저도 몇번 USB 부팅을 시도하다가 뭐가 잘못됐었는지 모두 실패했었는데…
이 방법으로 완전 성공했네요.

다만, 중간에 VMWare 에서 하드디스크를 만들지 않고 그냥 진행하는게 오히려 더 편합니다.
그럼 grub 도 알아서 USB에 설치됩니다. 즉,
[color=#FF0000:3als5802]sudo gedit /media/disk/boot/grub/menu.lst[/color:3als5802]

이 부분을 생략할 수 있게되죠.
제가 그렇게 했는데 아무 무리없이 잘 됐습니다.

처음엔 하드디스크를 그냥 하나 만들고, 나중에 우분투 이미지(CD)로 부팅하기 직전에 하드디스크를 제거해주신 상태에서 VMWare 를 시동하면 USB를 하드로 인식하면서 그냥 쭉~ 진행됩니다.

참고하셔요.

오 잘 되는군요.
전 버추얼박스를 이용했고, nemonein 님 말씀처럼 가상하드 없이 했습니다.
그런데 버추얼박스는 USB 부팅을 지원하지 않는다라는 걸 모르고 다 해놓고 좀 헤맸네요. ㅎ

여튼 잘 됩니다. 감사합니다.

[quote="nemonein":2p3h1wdf]
처음엔 하드디스크를 그냥 하나 만들고, 나중에 우분투 이미지(CD)로 부팅하기 직전에 하드디스크를 제거해주신 상태에서 VMWare 를 시동하면 USB를 하드로 인식하면서 그냥 쭉~ 진행됩니다.
[/quote:2p3h1wdf]
Vmware를 실행시키고 가상디스크를 하나 만든 후,
설치용 우분투 CD 이미지로 부팅하기 직전에 그 가상디스크를 제거하면 더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는 거죠?

가상하드디스크가 없으니 USB메모리만 설치 가능한 디스크로 나타날거고…
그러면 설치 화면에서,
설치되는 곳이 기본으로 USB메모리로 잡힐거고…
부트로더 역시 기본으로 USB메모리에 인스톨되기 때문에…
설치시 특별히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겠네요.

또 나중에 /boot/grub/menu.ls를 수정할 필요도 없을거고요.

다음에 설치할 때는 요 방법으로 해봐야겠습니다. ^.^

옙, 푸른바람님. 제 말씀이 그 말씀입니다.

VMWare를 실행하고 New Virtual Machine 을 만들면 가상하드를 만드는 과정을 꼭 거쳐야 합니다. (안거칠 수가 없게 되어 있죠.) 따라서, 대충 만들고, 부팅 전에 그 하드를 삭제해준 뒤 CD로 부팅하면 위에 설명하신 후반부(grub 위치설정, menu.lst 편집)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사실, 아무것도 해줄 것이 없이 그냥 쭉~ 지켜보기만 하면 되겠죠.)

음… 크루져 컨투어인데…;;

4GB인데…;;; 될라나요…ㅠㅠ

그 동안 몇번씩 깔고 지우고, 좀 지겨웠는데,
게다가 컴이 몇군데 있어서 참 그랬는데,
아주 좋네요, ^^*
한번 해봐야겠슴다, ㅋ :D

우분투가 9.04 Jaunty로 업그레이드되고 grub의 디스크 인식이 uuid 방식으로 바뀌면서 설치 과정이 더욱 간편해졌습니다. 8.04 기준으로 설명하였던 것을 9.04 기준으로 수정 변경하였습니다.

제가 계속 실패를 하고 있는 부분이 올려주신 내용과 관련이 있을 것 같군요.
USB에 부트로더를 만들어놓고 부팅을 함에 있어서 에러 화면이 뜨고 있는 부분입니다.

일부분을 파티션 테이블을 작성할 때, NTFS파일시스템을 첫번째 파티션으로 생성을 하고(이동형디스크 처럼 사용하기 위해서…).
나머지를 EX3 journal 용, linux Swap용으로 만들어 두었습니다.

다만 파일 설치가 이렇게 되면, 두번째 파티션에 Ubuntu가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알려주신 usb의 첫번째 파티션 위치가 아닌, 2번째 위치(sdc/2 )에 설치하였습니다.

지금은 1번째 위치(sdc/1)에 설치 중인데… 어떻게 될런지 모르겠네요.

어제 오늘 리눅스 설치만 10번 가까이 한 것 같네요.
좋은 글 올려주신 덕에, 그나마 포기하지 않고 계속 도전하고 있습니다.

usb부팅은 별도로 지원하지 않더라도…(usb HDD로 인식 안함.)
부팅시에, F11을 누르면, cd,hdd,usb,network로 부팅 디바이스 선택이 가능하여
편법으로 usb부팅이 가능하더군요.

그래서 포기하지 않고 가능한 부분까지 시도해 볼 생각입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quote="TheOldType":1sl3xtzy]다만 파일 설치가 이렇게 되면, 두번째 파티션에 Ubuntu가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알려주신 usb의 첫번째 파티션 위치가 아닌, 2번째 위치(sdc/2 )에 설치하였습니다.[/quote:1sl3xtzy]
잘 안된다면 부트로더를 파티션의 부트섹터(/dev/sdc2)가 아닌 디스크의 mbr(/dev/sdc)에 설치해보세요.

우분투 전체를 다시 설치하지 않고 부트로더만 재설치하려면…
컴에 우분투가 이미 설치된 USB플래시를 꽂고…
우분투설치CD로 부팅 후 "설치하지 않고 우분투 사용해보기"를 선택하여 우분투를 실행하고…

  1. 터미널에서 "grub"을 실행…
  2. grub 명령 창에서 "find /boot/grub/stage1"을 실행… 나온 값을 기억했다가
  3. 이어서 "root (hd0,1)"을 명령 창에 입력 엔터…
    [만약 2)의 실행결과 (hd1,0)이 나왔다면 "root (hd1,0)"을 입력 후 엔터…]
  4. 이어서 "setup (hd0)"을 실행…
    [만약 2)에서 (hd1,0)이나 (hd1,1)의 값이 나왔다면 "setup (hd1)" 을 실행…]
  5. 마지막으로 "quit"를 실행하여 grub을 종료하면 됩니다.

"[b:1j74rxbx][color=#FF0000:1j74rxbx]포터블 (우분투) 리눅스 만들기 : 푸른바람[/color:1j74rxbx][/b:1j74rxbx]"

방법대로 부팅 USB를 만들기는 했는데요…
문제가 생겼습니다.
USB가 없이는 원래 있던 하드의 윈XP가 부팅이 안되고

부팅시 메시지

"GRUB loading stage 1.5.
GRUB loading, please wait…
Error 21"
커서 깜빡임

USB 를 꽂으면 멀티 부팅으로 xp 실행 가능…

우분투 연습용을 만들려했는데 …

그리고 일반 라이브 usb 처럼 다른 PC에서도 부팅이 안되고
처음 설치 PC에서만 작동됩니다.

바이오스 초기화등도 해보았음
그래서 에러 메시지를 없애고 처음 우분투 USB없이 PC를 XP로 부팅시킬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quote="다방커피":qvbn0kvi]그리고 일반 라이브 usb 처럼 다른 PC에서도 부팅이 안되고
처음 설치 PC에서만 작동됩니다.[/quote:qvbn0kvi]바로 위 댓글을 참조하여 부트로더인 grub을 USB에 설치해보세요. 우분투 전체를 USB에 다시 깔 필요없이…

[quote="다방커피":qvbn0kvi]그래서 에러 메시지를 없애고 처음 우분투 USB없이 PC를 XP로 부팅시킬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quote:qvbn0kvi]윈도즈 XP라면 복구콘솔에서 (XP설치CD로 부팅 복구 콘솔로 진입한 후)…
fixboot
fixmbr
를 차례로 실행하시면 됩니다.

윈도즈 비스타라면 복구콘솔에서
bootrec /fixboot
bootrec /fixmbr
를 하시면 되고요.


그리고 USB에 우분투를 설치하실때 주의하실 점은…
우분투 설치 설정 과정 마지막 단계에서 꼭 고급 옵션을 클릭해서 부트로더를 컴의 하드가 아닌 USB에 인스톨해야 합니다. 우분투 설치는 USB에 잘 해놓고 부트로더인 grub은 컴의 하드에 설치해버려 문제가 생기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가능하면 우분투 베타버전보다는 정식버전을 설치하시는게…

사실 라이브시디만으로도 꽤 유용하다는…

예전에 윈도PE들고다니던 때 생각나는군요…

우분투 9.10 에 와서 grub-pc (grub2)로 바뀌면서
부트 로더 설치 장소는 sda, sdb, sdc … 로 설정해줘도 잘 작동하는 것 같습니다.
sdb1, sdb2 이런 식으로 번호 붙은 파티션에 설치할 필요 없는 것 같네요.

또한 Ext 4 저널링 파일시스템으로 설정한 '우분투 설치 영역’은 주 파티션이 아닌 [b:8vf6ax6e]논리 파티션[/b:8vf6ax6e]으로 설정하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우분투 설치하고 남은 영역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주 파티션, FAT32 파일시스템으로 설정해 주시구요.
EXT4 파일시스템을 주 파티션으로 설정하면 Windows에서 그 USB의 일부조차도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무작정 포맷만 하겠다고 우겨댑니다.

또한 설치과정 중 파티션 설정할 때
하드디스크에 리눅스 스왑 영역이 이미 존재한다면 ‘사용하지 않음’ 설정할 것을 권장하고 싶습니다.
스왑 영역이 어찌 생성되는지는 원리는 모르겠지만 내 하드디스크와 연동될 가능성은 원천 봉쇄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하드디스크에 설치한것과 성능면에서 차이는 어떤지요??

성능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다면, 구미가 당기는데요??

저 방법대로 SD 카드에 설치해서 사용중입니다.
8기가까지는 아니고 2.5기가 정도 잡아먹으니까 4기가 이상은 되어야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