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부터인지는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지만, 중국어 사이트를 들어가보면 한자 중 몇자가 한글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네이버 사전체를 쓰고 있었기 때문에 네이버 사전체의 버그로 생각하고, 다른 글꼴로 바꿔 봐도 똑같더군요.
글꼴 관련 글타래들을 보다가 한글 글꼴, 영어 글꼴, 중국어 글꼴이 각각 따로 적용 된다는 사실을 알고, 혹시 중국어 글꼴의 버그인가 싶어
중국어 글꼴도 새로 설치해 보았지만 역시나더군요.
그러다 오늘 구글 뉴스를 보니(어제 까진 정상적으로 본 것 같습니다.) 다음과 같이 모든 한자가 한글로 나오더군요.
[quote="ace4ker":16865u7g]글꼴 관련 글타래들을 보다가 한글 글꼴, 영어 글꼴, 중국어 글꼴이 각각 따로 적용 된다는 사실을 알고, 혹시 중국어 글꼴의 버그인가 싶어
중국어 글꼴도 새로 설치해 보았지만 역시나더군요.[/quote:16865u7g]
글꼴에 대한 설정은 따로 적용됩니다만, 글 자체의 언어를 판별해서 해당 언어에 맞는 글꼴을 적용하는 AI 는 아직 미적용(미구현?)입니다.
다시 말해 지정한 글꼴에 해당 글자가 없으면 표시가 안됩니다. 단순히 그런 이유입니다.
해결책은 분도님 말씀처럼 "기본 글꼴" 로 변경하는 것 같습니다.
[code:2d7ah3hq]<rejectfont>
<pattern>
<patelt name="family">
<string>Guseul</string></patelt>
</pattern>
</rejectfont>[/code:2d7ah3hq]
를 넣어 구슬체를 아예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애구 이제서야 글을 확인하네요.
강분도님 말씀 처럼 렉시굴림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강분도님이 올리신 리눅스 데스크탑 글꼴설정 [url:znhmzpi7]http://www.ubuntu.or.kr/viewtopic.php?f=9&t=791[/url:znhmzpi7]을
참고하며 렉시굴림을 기본 글꼴로 세팅했는데, 그게 문제가 된 것 같습니다.
렉시굴림이 가독성이 상당히 좋아 너무 맘에 들었었는데 아쉬워 연가시님 말씀처럼 해보았지만 이상하게 변화가 없더군요.
지금은 네이버사전체로 돌아왔습니다.
연가시님 덕분에 구슬체에 대해서 잘알게 되었습니다.
상당히 특이한 발상에서 만들어진 글꼴이네요. ^^
바쁜 시간 쪼개서 글남겨주신 모든분들 감사합니다.
혹시 렉시굴림 아무런 문제 없이 사용하는 분 계시면 글꼴 설정을 어떻게하고 쓰시는지 조언 좀 부탁합니다.
그냥 포기하기엔 너무나 좋은 글꼴 같아서요.
글꼴 설정이 좀 혼란스럽네요.
모양새의 글꼴 설정은 그대로 둔채 /etc/fonts/conf.d/69-language-selector-ko-kr.conf만 편집해서 사용했었는데,
그냥 모양새의 글꼴을 렉시굴림으로 바꾸고, Firefox 글꼴 설정도 렉시굴림으로 바꿨더니 아무 문제 없네요.
괜한 삽질을 한 것 같기도 하고, 뭔가 좀 깔끔하진 않지만 이대로 써야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