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설치 후 윈도우 재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도움부탁드립니다

hp노트북에 우분투를 설치하였습니다.
하드 전체를 ext3 인가로 포맷하고 우분투를 설치하였지요.
그런데 랜카드를 인식하지 못해서인지 네트워크 설정이 잡히질 않아서 어쩔수 없이
XP를 설치하고 버츄얼박스에서 우분투를 설치하려고 하니

xp 설치 씨디로 부팅을 하면 하드디시크가 없다는 메세지가 나옵니다.
우분투 씨디로 부팅하면 멀쩡히 보이는데 말이지요.

우분투 씨디로 부팅하여 부팅과정에서 파티션 설정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일부파티션을 fat32로
포맷하고 마운트 위치를 /windows 로 잡아보는 등 여러가지 방법을 동원해보았으나
윈도우 설치 cd로 부팅하면 하드디스크를 찾을 수 없다는 메세지만 나옵니다.

대체 어떤 방법을써야 하드디스크를 되돌릴 수 있을까요?
현재로선 우분투도 xp도 사용할 수 없는 난감한 상황에 빠지고 말았습니다.

참고로 우분투 8.10 설치중이었습니다. 여러분의 도움 부탁드립니다

MS 윈도가 좀 독선적입니다.

MS 윈도 먼저 설치하고 우분투를 설치하는게 편해요~

810에서는 웬간한 네트웍 드라이버는 잘 잡히는데 말이죠.

그러나 정 없애고 싶으시다면 우분투 씨디로 부팅후 모든 파티션을 삭제하신 후 저장하고 윈도우 시디로 다시 부팅을 해주세요.

엠에스 윈도우즈 설치프로그램에서 우분투에서 파티션 잡은 걸 인식하지 못하는 현상으로 보이네요.

위에 두분 감사합니다. 어찌어찌하여 간신히 하드 인식시키고 포맷하여
xp를 설치하고 버추얼박스에 우분투를 설치하였습니다.

그래도 역시 찜찜한건 어쩔 수가 없네요… 윈도에서 벗어나 우분투로 들어갈 수 있길 바랬는데
현재 프로젝트는 물론 대부분의 사이트의 개발환경이 ms기반이다보니 우선은 우분투 맛보기에만 만족해야 하나 봅니다.

[자체 해결내용]

  1. 네트워크가 잡히지 않았던건 인트라넷망 내부적으로 ip와 맥어드레스를 체크하는데, 새로운 노트북이어서 기존 ip와 맥어드레스가 일치하지 않아 자동으로 네트웍 접속이 막힌다는 걸 간과했기 때문인거 같습니다. –> 이거 확인하려면 다시 xp밀고 우분투 설치해보아야 하는데 엄두가 나질않아 짐작만 하고 있습니다.

  2. 하드 인식에 대한 문제는 저 자신의 뿌리 깊은 Ms 불신 때문이었던거 같습니다. 우분투는 다 자동으로 되는데 Ms는 안된다는 인식때문에… ㅎㅎ 실상은 XP가 아직은 sata 방식 하드를 인식하지 못해서 였습니다. 그러니 우분투는 멀쩡히 인식하는 하드를 mS는 아예 인식하지 못했던 것이지요. cmos에서 sata - disable로 변경하니 그나마 하드 인식은 하더군요.

[quote="Eugene":2h08x9cd]810에서는 웬간한 네트웍 드라이버는 잘 잡히는데 말이죠.

그러나 정 없애고 싶으시다면 우분투 씨디로 부팅후 모든 파티션을 삭제하신 후 저장하고 윈도우 시디로 다시 부팅을 해주세요.

엠에스 윈도우즈 설치프로그램에서 우분투에서 파티션 잡은 걸 인식하지 못하는 현상으로 보이네요.[/quote:2h08x9cd]

말씀하신 우분투 씨디로 부팅후 모든 파티션을 삭제하는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설치 중간에 파티션 잡아주는 부분에서 manual로 선택하였을 시에는 반드시 루트로 마운트 되는 파티션과
swap으로 마운트 되는 파티션이 있어야만 다음 단계로 진행이 가능하게 되어 있었구요
다른 방법은 어떤게 있는지 잘 몰라서…

혹시 시간이 되시면 다시한번 시도해보시길 바랍니다.

[윈도우]

  1. 윈도우 시디로 부팅을 한다.
  2. 하드를 2개의 파티션으로 나눈다. 예 (c: ntfs d: 비워둠)
  3. c에 윈도우를 설치한다.

[우분투]

  1. 우분투 시디로 부팅하여 설치한다.
  2. 파티션 나누는 곳에서 manual을 선택한다.
  3. 윈도우 파티션은 edit 를 눌러서 /media/windows 혹은 /windows 로 마운트 경로를 잡는다.
    (주의:포멧 옵션 선택하시면 안됩니다.)
  4. 리눅스 파티션을 만들어 준다. 잘 모르시겠으면 전체를 / 로 마운트 해주시면 됩니다.
    보통 추천하는 것은 swap을 메모리보다 약간 크게 만들어 두는 것입니다.
    제경우 파티션은 3개로 나누셔서
    4.1. / (ext3 혹은 다른 파일시스템, 제경우 10GiB – 시스템은 10G - 20G면 충분할겁니다.)
    4.2. swap (메모리 2배정도, 논란이 많습니다만 메모리보다 크게 잡으시면 됩니다.)
    4.3 /home (ext3혹은 다른 파일시스템, 제경우 50GiB – 적당하게 잡으시면됩니다.)
  5.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보통 윈도, 리눅스 설치시 윈도를 먼저, 그리고 리눅스 설치를 권장합니다.
윈도 설치시 윈도가 MBR을 장악해 버리거든요. 그래서 리눅스를 먼저 설치하면 grub 혹은 lilo 가 지워져
버립니다. 그래서 리눅스로 부팅할 수가 없구요. (방법은 있습니다.)

리눅스에서는 윈도파티션을 마운트해서 읽고 쓰기가 가능합니다만, 윈도우에서는 불가능 합니다.
(물론 유틸리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윈도 부팅시 하드인식을 하지 못하는 경우는 sata하드 디스크를 사용하실때 종종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설치시디내에 하드 드라이버가 없는 경우이지요. (오래된 xp 경우) (노트북을 사실때 제공해준 복구 방법으로 는 복구가
됩니다만 다른 윈도 시디로는 안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물론 다른 이유도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한번 시도해 보려는 방법 중의 하나였거든요… ^^
집의 데스크 탑을 멀티 부팅으로 해서 저는 우분투를 가족들은 일단
윈도를 쓰게 하려는…

[quote="citadel":notsf659]혹시 시간이 되시면 다시한번 시도해보시길 바랍니다.

[윈도우]

  1. 윈도우 시디로 부팅을 한다.
  2. 하드를 2개의 파티션으로 나눈다. 예 (c: ntfs d: 비워둠)
  3. c에 윈도우를 설치한다.

[우분투]

  1. 우분투 시디로 부팅하여 설치한다.
  2. 파티션 나누는 곳에서 manual을 선택한다.
  3. 윈도우 파티션은 edit 를 눌러서 /media/windows 혹은 /windows 로 마운트 경로를 잡는다.
    (주의:포멧 옵션 선택하시면 안됩니다.)
  4. 리눅스 파티션을 만들어 준다. 잘 모르시겠으면 전체를 / 로 마운트 해주시면 됩니다.
    보통 추천하는 것은 swap을 메모리보다 약간 크게 만들어 두는 것입니다.
    제경우 파티션은 3개로 나누셔서
    4.1. / (ext3 혹은 다른 파일시스템, 제경우 10GiB – 시스템은 10G - 20G면 충분할겁니다.)
    4.2. swap (메모리 2배정도, 논란이 많습니다만 메모리보다 크게 잡으시면 됩니다.)
    4.3 /home (ext3혹은 다른 파일시스템, 제경우 50GiB – 적당하게 잡으시면됩니다.)
  5.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보통 윈도, 리눅스 설치시 윈도를 먼저, 그리고 리눅스 설치를 권장합니다.
윈도 설치시 윈도가 MBR을 장악해 버리거든요. 그래서 리눅스를 먼저 설치하면 grub 혹은 lilo 가 지워져
버립니다. 그래서 리눅스로 부팅할 수가 없구요. (방법은 있습니다.)

리눅스에서는 윈도파티션을 마운트해서 읽고 쓰기가 가능합니다만, 윈도우에서는 불가능 합니다.
(물론 유틸리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윈도 부팅시 하드인식을 하지 못하는 경우는 sata하드 디스크를 사용하실때 종종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설치시디내에 하드 드라이버가 없는 경우이지요. (오래된 xp 경우) (노트북을 사실때 제공해준 복구 방법으로 는 복구가
됩니다만 다른 윈도 시디로는 안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물론 다른 이유도 있습니다.)[/quote:notsf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