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ote="cky":zud2pce7]
export EDITOR=/usr/bin/vim[/quote:zud2pce7]
음… 노틸러스는 저 환경 변수는 상관하지 않는 것 같아 보이네요.
[quote="namhyung":zud2pce7]
해당 파일을 오른쪽 클릭하신 후에
속성 -> 다른 프로그램으로 열기 보시면 있지 않나요?[/quote:zud2pce7]
여기서 선택하는 것이 우클릭 -> 다른 프로그램으로 열기와 다른 것이었군요. 착각했습니다. 그런데 이것도 여전히 확장자 단위로만 적용되는 것 같습니다. 확장자가 없는 파일은 같은 파일이름일 때만 적용되는군요.
좀더 찾아보았는데 nautilus-actions라는 패키지가 있더군요. 이걸 좀 만져주니 파일 이름 패턴이나 mime type에 따라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세세하게 조정할 수 있군요. 여기 포럼에는 이것에 대한 소개가 없는 것 같아서 간단히 적어보자면 이렇습니다:
[b:zud2pce7]설치[/b:zud2pce7]
간단합니다. [code:zud2pce7]apt-get install nautilus-actions[/code:zud2pce7] 라고 하시면 됩니다.
[b:zud2pce7]설정[/b:zud2pce7]
설정 프로그램을 메뉴에서 띄울 때는 메뉴->시스템->기본설정->노틸러스 동작 설정을 선택합니다. shell이나 실행 창에서 띄울 때는 [code:zud2pce7]nautilus-actions-config[/code:zud2pce7] 를 실행합니다.
[b:zud2pce7]첫화면[/b:zud2pce7]
첫화면에 뜨는 것은 설정되어 있는 action의 목록입니다. 새 action을 추가하려면 추가를 누르고 이미 있는 action을 편집하려면 편집을 누르고 등등… 딱 보이는 것대로입니다.
[attachment=4:zud2pce7]-노틸러스 동작.png[/attachment:zud2pce7]
[b:zud2pce7]동작 편집[/b:zud2pce7]
추가나 편집을 누르면 각 action의 세부 항목을 정할 수 있습니다. 각 항목에 마우스를 올려놓고 잠시 기다리면 툴팁이 뜹니다. 여기 그냥 옮겨 보자면:
레이블은 우클릭 했을 때 팝업(context menu)에 뜨는 이름입니다. (_알파벳)의 형식으로 단축키도 지정할 수 있습니다.
툴팁은 context menu에서 해당 action에 마우스를 올려 놓았을 때 노틸러스 상태창에 뜨는 설명입니다.
아이콘은 context menu에 action 이름 옆에 뜨는 아이콘입니다. (그런데 아무 파일이나 아이콘으로 지정할 수는 없는가봅니다. 잘 모르겠습니다.)
그 밑에 프로파일은 이 action 항목을 어떤 상황에서 표시할 것인가와 실제로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할 것인가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프로파일 하나가 하나의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위에서 설정하는 레이블은 얼굴마담일 뿐이지요
[attachment=3:zud2pce7]-"gvim으로 열기(_V)" 동작 편집.png[/attachment:zud2pce7]
[b:zud2pce7]프로파일 편집[/b:zud2pce7]
프로파일을 선택하고 편집하거나 새 프로파일을 추가하면 프로파일 편집 창이 뜹니다. 역시 각 항목에 마우스를 올려 놓으면 툴팁이 뜨는데, 역시 여기에 설명을 달자면:
동작 탭:
경로는 실제 실행될 프로그램의 path입니다. $PATH에 들어 있는 경로에 있는 프로그램이면 그 실행파일 이름만 적어도 됩니다.
매개변수는 프로그램에 argument를 어떻게 넘길 것인가인데 범례를 눌러보면 설명이 잘 나와 있습니다. 여러 파일을 열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면 %M 정도를 주는 것이 적당하겠지요.
조건 탭:
여기서는 어떤 파일(또는 디렉토리)가 선택될 때 action을 context menu에 표시할 것인가를 정할 수 있습니다. 이름은 regular expression 같은 화려한 것은 아니고 ^^ 간단히 wildcard *와 ?를 이용해서 패턴을 정할 수 있습니다. MIME은 말 그대로 어떤 MIME 형식에 대해서 표시할 것인가인데 저 같은 경우 mime이 text/*로 되지 않더라도 실제로는 text인 것들을 vim으로 보려고 */*를 선택했습니다. 어떤 파일이든지 "무조건 gvim으로 열기"가 됩니다.
그 밖에 다른 것들은 그냥 보시면 압니다. (무책임 -.-
[attachment=2:zud2pce7]-"main" 프로파일 편집.png[/attachment:zud2pce7]
[attachment=1:zud2pce7]-"main" 프로파일 편집-1.png[/attachment:zud2pce7]
[b:zud2pce7]활용예[/b:zud2pce7]
예를 들어 index.theme이라는 파일이 있다면 이 파일은 순수한 text임에도 불구하고 MIME은 application/x-theme으로 감지됩니다. text/*이 아니기 때문에 그냥 우클릭해도 원래는 gvim이 context menu에 안 나옵니다. 위에서 action을 추가해서 무조건 gvim으로 열기를 추가해서 아래쪽에 항목이 하나 나옵니다.
[attachment=0:zud2pce7]-Grounation - 파일 찾아보기.png[/attachment:zud2pce7]
뭐… 좀 설명이 주절주절하지만, 실제로 뭔가 추가하게 되면 그리 오래 걸리지는 않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