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기초 초보적인 질문 드립니다~ 파티션, 마운트 질문!

우분투 서버버젼으로 삽질에 삽질을 하고 있는 생초보입니다.

얼마전 raid 1 설정에 관해 질문드렸는데

오늘은 그보다 훨씬 더 기초적이고 초보적인 질문을 드릴까 하고 용기내어 글을 씁니다.

HDD를 파티션 할때

10% 우분투 파티션 & 90% 윈도우의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사용할 파티션

이렇게 사용한다고 가정을 했을 때

(90% 네트워크 드라이브는 NAS의 개념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10% 는 ext3로 포멧하고 /, 스왑영역을 주고

90% 는 fat32로 포멧하고 /windows 옵션을 주면 가능한가요?

공유라는 의의를 두기 위해서는 삼바를 통해 설정이 되어야 할 듯한데

마운트해서 네트워크상에 공유가 가능할런지요??

삼바를 통한 공유에 ext3 이든 fat32든 상관 없습니다.
오히려 ext 포멧이 관리가 더 편할듯 한데…

[quote="강분도":j22iec0a]삼바를 통한 공유에 ext3 이든 fat32든 상관 없습니다.
오히려 ext 포멧이 관리가 더 편할듯 한데…[/quote:j22iec0a]

윈도우에서 ext 포멧을 인지하려면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고,

자유로운 읽고 쓰기를 위함입니다 ^^

저희 아버지 어머니께서도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구요.

[quote="hideiloveu":txhabhun]자유로운 읽고 쓰기를 위함입니다 ^^[/quote:txhabhun] 본인, 자신이 원하는 대로 하십시요 ;)
그러나 삼바 서버 운영하다 보면 느끼실 겁니다. ( 리눅스의 파일소유와 소유권 등… )

NAS로 쓰시는 거라면 서버의 파일시스템은 뭘해도 아무 문제가 없을텐데요…
samba로 읽고 쓰기 전부 다 주면 될테구요.
파티션을 안 나누고 특정 디렉토리를 공유해도 되고…

한 때 제가 사무실에서 우분투(데스크탑 버전)로 파일서버를 구축했었는데,
LVM으로 320GB, 500GB, 640GB 등등 여분의 하드디스크 6대를 하나로 묶어서
xfs로 파티션 만들고 삼바로 읽기&쓰기 공유해서 사용했었습니다.
방화벽 설치해서 연구실 구성원의 ip만 접속을 허용하구요.
외부에서는 ftp로 로긴해서 사용하도록 서비스하고 한동안 잘 썼습니다.

나중에 윈도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서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사건을 겪고 난 뒤로…
삼바는 읽기만 가능하게, 쓸려면 ftp를 사용하게, 바꿔버리고 지금까지 잘 사용하고 있지요.

[quote="강분도":2tof5d30] 본인, 자신이 원하는 대로 하십시요 ;)
그러나 삼바 서버 운영하다 보면 느끼실 겁니다. ( 리눅스의 파일소유와 소유권 등… )[/quote:2tof5d30]

아핫.솔직히 제가 잘 모르는 초보인데다 살짝 귀찮은 것도 없잖아 있었지만 ^^;;

raid 시스템에서 vfat포멧이 불가능 하다는 오류메세지로 인해 그냥 ext로 깔았습니다~

[quote="tinywolf":2tof5d30]NAS로 쓰시는 거라면 서버의 파일시스템은 뭘해도 아무 문제가 없을텐데요…
samba로 읽고 쓰기 전부 다 주면 될테구요.
파티션을 안 나누고 특정 디렉토리를 공유해도 되고…

한 때 제가 사무실에서 우분투(데스크탑 버전)로 파일서버를 구축했었는데,
LVM으로 320GB, 500GB, 640GB 등등 여분의 하드디스크 6대를 하나로 묶어서
xfs로 파티션 만들고 삼바로 읽기&쓰기 공유해서 사용했었습니다.
방화벽 설치해서 연구실 구성원의 ip만 접속을 허용하구요.
외부에서는 ftp로 로긴해서 사용하도록 서비스하고 한동안 잘 썼습니다.

나중에 윈도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서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사건을 겪고 난 뒤로…
삼바는 읽기만 가능하게, 쓸려면 ftp를 사용하게, 바꿔버리고 지금까지 잘 사용하고 있지요.[/quote:2tof5d30]

앗~ 좋은 팁 감사합니다~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