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ro
1
백업 관련에대해 질문드리려고 하는데요,
tar cpf - --directory=/home/zero/Music/ . | (cd /root/mp3; tar xpf - )
위와같은 다른하드 , 혹은 다른 파티션, 다른 폴더로 미러링 하는 백업 명령어와
복사한 뒤 붙여넣기의 차이점이 있나요… ?
cp 명령으로도 충분히 간단하게 할수 있는 작업같은데 말이죠 ;
–listed-incremental 같은 백업명령어의 이점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일반 복사에비해 얻어지는 이점이 뭐가 있나요…? 백업리스트 파일의 생성…? 그 뿐인가요?
초보라그런지 복사한뒤 tar.gz로 묶는거나 위의 명령어로 백업하는거나 차이점을 모르겠네요… ;
[quote="Zero":3akiq10q]백업 관련에대해 질문드리려고 하는데요,
tar cpf - --directory=/home/zero/Music/ . | (cd /root/mp3; tar xpf - )
위와같은 다른하드 , 혹은 다른 파티션, 다른 폴더로 미러링 하는 백업 명령어와
복사한 뒤 붙여넣기의 차이점이 있나요… ?
cp 명령으로도 충분히 간단하게 할수 있는 작업같은데 말이죠 ;
–listed-incremental 같은 백업명령어의 이점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일반 복사에비해 얻어지는 이점이 뭐가 있나요…? 백업리스트 파일의 생성…? 그 뿐인가요?
초보라그런지 복사한뒤 tar.gz로 묶는거나 위의 명령어로 백업하는거나 차이점을 모르겠네요… ;[/quote:3akiq10q]
퍼미션유지때문에 사용되는 방법 아닐까요?
그냥 cp를 하게 되면 백업하는 유저(보통 root)로 퍼미션이 넘어가게 되지만
tar의 p옵션을 사용하면 여러 유저의 퍼미션을 유지 하면서 백업이 가능하게 됩니다.
위의 예에서는 별상관이 없어보이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