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에서 FTP서버, 웹서버는 구축해봤지만 메일서버는 DNS문제 때문인지 잘 되지 않습니다.
저의 환경은
vmware 사용자,
KT엔토피아 유동아이피,
인터넷 공유기 사용.
공유기에 ddns 기능을 이용해서. 다이나믹 DNS 주소에 로그인 되어 있는 상태. ex) xxx.dyndns.org
공유기 포트포워딩과 VMWARE의 NAT 기능을 이용하여 VMWARE에 설치된 우분투 사설 아이피 192.168.127.128 주소를 포트포워딩 해놓은 상태.
메일서버를 구축하는데 DNS 가 필요하다고 하여 DNSEVER 사이트에 가입해놓은 상태. 2차 무료 도메인 신청. ex)xxx.ip.or.kr
웹에 있는 기술자료를 이용하여 우분투에서 메일 서버 패치키를 다 설치하고 완료까지 다 했는데 보내고 받지를 못하네요.
위와 같은 환경에서 메일서버 구축이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DNSEVER 사이트 에서 어떻게 우분투 메일서버와 연동을 해주어야 하죠?
우분투 메일 환경설정 할때 DNS주소를 xxx.dyndns.org 를 넣는건가요? xxx.ip.or.kr을 넣는 건가요?
추가적으로 그리고 제가 호스팅 업체에서 xxx.pe.kr 도메인을 등록해서 도메인과 호스팅 업체에 네임서버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도메인으로도 할 수 있나요?
너무어렵네요… 전체적으로 우분투 메일서버와 DNS와 어떻게 연동되어 동작 되는지 궁금합니다.[/quote:2nvu23uz]
메일은 어떻게 전송되냐하면 말이지요, 그 도메인 담당하는 DNS 서버에게 물어봅니다. 네 도메인 주소로 보내려는데 어디로 보낼까요 하구요.
FTP 나 HTTP 는 클라이언트가 직접 그 주소로 찾아가지만, 메일은 직접 가는게 아니거든요.
따라서 자신이 쓰고자 하는 이메일 주소의 도메인을 담당하는 DNS에 그 메일을 어디로 부치라는 정보를 세팅해줘야 합니다.
그러니 DNS 도메인 등록할때 그 도메인으로 오는 메일은 어디로 보내라는 정보도 함께 저장을 해야합니다. 그게 xxx.dyndns.org 면 xxx.dyndns.org 를 담당하는 DNS 서버에다가 xxx.dyndns.org로 가는 이메일은 어디로 보내라고 해주면 됩니다.
저도 비슷한 환경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KT FTTH, VirtualBox, 애니게이트 RG-3500A.
저는 공유기에 자동 로그인 기능이 있어 사용했는데 불편한 점이 dyndns가 3개월마다 재등록하셔야 계속 사용이 가능하실겁니다. 그래서 도메인 하나 구입했습니다.
KT에서 주는 아이피는 맥어드레스만 안 변하면 계속 같은 아이피를 할당하여 주어서 편합니다. 그래서 편하게 고정 아이피처럼 도메인 하나 사서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이 아이피는 공유기 연결 정보를 보시면 인터넷 아이피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유동 DNS나 2차 도메인 필요없이 DNSever의 네임서버에 이 아이피를 등록하면 가능합니다. 아마 여기에도 메일 서버(MX) 설정이 있을겁니다. DNSever의 FAQ나 도움말을 보시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저는 도메인 판매 회사의 네임서버에 등록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결론은 아이피가 변하지 않는다면 아무곳이나 네임서버와 메일 서버 설정에 공유기에 할당된 아이피를 등록만 하시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아이피 등록 후 접속이 되기까지 한 두시간 걸립니다. 이 정보를 전달해 주는데 시간이 좀 필요하다고 합니다.)
만일 이 아이피가 공유기를 껐다 다시 켜는데 변경이 된다면 유동 DNS나 도메인 포워딩이라는 것을 사용해야 되므로 한 단계를 더 거침니다. 이것을 먼저 확인하십시오.
VMware를 사용하신다면 nat가 아닌 브릿지 네트워크로 설정하셔서 호스트 컴퓨터와 같은 대역의 사설 아이피 또는 공유기의 아이피(게이트웨이)와 앞의 3자리가 같은 지 확인하세요.
공유기와 VMware에 설치한 우분투가 브릿지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이 되고 포트 포워딩, DMZ이 우분투의 아이피로 설정이 되었다면 완료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