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실험 1

  1. SD 카드에 GRUB2를 설치한다.

  2. 우분투 9.10 ISO 파일 안에 있는 것들을 싹 다 SD 카드 쪽으로 복사한다.

  3. isolinux 폴더를 syslinux로, 그 폴더 안의 isolinux.bin과 isolinux.cfg 파일은 각각 syslinux.bin과 syslinux.cfg로 이름을 바꾼다.

  4. SD 카드로 부팅한다.

  5. 아래 명령들을 순서대로 입력한다.
    set root=(hd0,1)
    linux /casper/vmlinuz root=/dev/sdb1 file=/preseed/ubuntu.seed boot=casper ignore_uuid
    initrd /casper/initrd.lz
    boot

  6. 중간에 데비안 CD를 넣으라는 메시지가 뜨면서 진행을 멈추면 ESC를 3번 누르고 엔터를 누른다.

  7. GNOME에 진입 성공.

저 옵션들이 GRUB2에서도 그대로 먹히는군요. 흠좀무.

그런데 제가 이 실험에서 사용한 게 코분투인데 막상 이렇게 부팅하고 보니 죄다 영어로 나오더군요 ibus도 nabi도 안 뜨고(웃음)

[quote="포풍저글링":1473vqmv]
그런데 제가 이 실험에서 사용한 게 코분투인데 막상 이렇게 부팅하고 보니 죄다 영어로 나오더군요 ibus도 nabi도 안 뜨고(웃음)[/quote:1473vqmv]
라이브 부팅시에 처음 보여지는 gfxboot-theme-ubuntu는 우분투 만이 가진 특징입니다. (우분투만 가진 패키지 중 하나.)
우분투는 기본이 영어이고 gfxboot-theme-ubuntu를 이용하여 여러 언어를 선택 부팅 할 수 있으나
한국어를 선택하여 라이브 부팅 하여도 언어 파일이 부족하여 메뉴가 영문으로 보이며 (이문제는 영어외에 다른언어도 같습니다.) 한글 입력도 불가능 합니다.

코분투는 초기화면( gfxboot-theme-ubuntu)에서 한국어가 기본으로 보이며 영어 외에 선택이 불가 하며 한글 언어팩 추가와 한글 입력이 가능하게 한 것 합니다.
(포풍저글링님이 한 작업은 언어 선택 없이 부팅하였으니 당연히 영어 상태이며 입력기 또한 없는 것입니다.)

저 같으면 복잡하게 안하고 그냥 sd 카드에 iso 파일 넣고 vmlinuz 파일과 initrd.lz 복사 후 grub2로 아래 메뉴 정도 40_custom에 추가 하여 부팅 해볼것 입니다.

[code:1473vqmv]menuentry "Cobuntu 9.10 Live & Test " {
set root=(hd0,1)
linux /vmlinuz root=/dev/sdb1 boot=casper iso-scan/filename=/cobuntu-9.10_1-1-desktop-i386.iso
initrd /initrd.lz
}[/code:1473vqmv]

음… iso파일로 부팅 걸면 설정 저장 등은 되나요?

[quote="ctrl144":3orl5qnz]음… iso파일로 부팅 걸면 설정 저장 등은 되나요?[/quote:3orl5qnz]
아뇨 [b:3orl5qnz]시디를 절약[/b:3orl5qnz]하려는 하드에서부터의 라이브 테스트 및 설치 스타일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