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를 사용하시는 님들은
무슨목적으로 사용하시나요??
사용 목적이라…
꼭 우분투를 사용해야만 하는 목적은 없지만…
다른 OS를 쓰는 사람들과 같은 목적으로 컴퓨터를 하지 않을까요?
전 우분투를 사용하고 있지만 그 목적은…
윈도우즈를 쓰는 사람들과 별반 다를것이 없다고 생각됩니다 ^.^
사용하는 OS의 차이일 뿐, 결국 하는일은 똑같지 않을까요?
막연한 질문이군요.
제 경우 이유가 여러가지 있습니다만
일단 리눅스를 다시 시작하게된게 농장사이트 제작 때문이였습니다.
비록 드림위즈나 포토샾같은 프로그램은 작동시키가기 쉽진안지만 그 이외의 환경은 윈도우즈보다 훨씬편하고 탁월했으니까요
예를 들자면 (순전히 제 경우일뿐입니다)
아파치와 mysql설치가 간편하고 사이트 등록시 사용하는 서버와 같은 환경을 만들어줄수있습니다.
요즘 대부분 php서버는 리눅스서버를 사용하고있잖심
프로그래밍시 떠있는 창이 대단히 많은데 compiz를 사용할경우 창정리가 쉽고 간편합니다.
윈도우즈에 에어로가 있긴하지만…그닥…
중요한 데이터의 정리라던가 보관및 시스템의 안정성이 탁월합니다. 하루종일 컴터 켜놓고 작업을 해도 느려진다거나
블루스크린과같은 화면을 보는 일이 없습니다. 윈도우즈로 해야할작업은 와인이나 버박으로 대부분 해결이 가능합니다.
물론 은행일은 =_= 직접 은행에 가서 봅니다만…이것때문에 나머지를 포기하기엔 전 그냥 개인유저일 뿐이라는것이지요…
게임때문에 XP와 듀얼부팅을 하고 있지만 그 이외의 작업은 대부분 리눅스안에서 해결이 됩니다.
그리고 눈이 즐겁습니다. ^^ 최소한 윈도우즈보다는 제가 원하는 모습으로 꾸며놓을수가 있어서 좋았습니다…
=_=;; 제가 쓰는 테마는 허접해도 제가 직접 만들어 쓰다보니 애착이 많이가고 질리면 테마를 바꾸면 또 새로운 기분이 듭니다 ㅋㅋ
제가 보는 컴퓨터는 하드웨어든 소프트웨어든 일단 안정적인 작동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블루스크린같은것이 뜨면 스트레스가 쩜 큽니다 ㅋㅋ
속도에 있어서도 때되면 재부팅해줘야하고 때되면 새로 설치해줘야하고 =_=;;; 솔직히 귀찮은 작업이기도하고요…
우분투의 경우 6개월마다 새로운 버전이 나오기 때문에 다시 설치하는 경우는 있어도 한번 설치하면 == 다시 손대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처음 설치할적에 삽질조금 하고 나면 그 다음은 그냥 그대로 사용하는겁니다. 특별히 여타부타 신경쓸것없이 쭈욱 쓰게 되죠
재설치 재부팅등으로 시간낭비하는일이 거의 없다는것입니다.
또 윈도우즈의 경우 새로 설치하면 이런저런 프로그램들 일일이 다 설치해주고 설정잡고 하는작업이 솔직히 우분투에선 거의 없습니다.
/home폴더만 살려두면 == 삽질도 필요없습니다. 새로 설치할경우 이것저것 만질것없이 쓰던프로그램 설치하면
그전에 쓰던 환경 그대로 다시 사용하게되기 때문에 새로 설치한다해도 따로 손댈일이 없다는것이지요.
전 상당히 합리적으로 살려고 노력을 합니다. 맘에 안들거나 이건 아니다 싶으면 미련없이 접어버립니다.
리눅스 초창기에 그랬습니다. 아 리눅스는 아직개인이 쓰기엔 힘들구나 라는 판단이 든 순간 지우고 윈도우즈98 불안정했지만 그냥 썼습니다.
리눅스가 아무리 안정성이 높다해도 초창기 리눅스에 있어서 xwindows띄웠을때 화면에 X모양 커서만 덜렁 떠 있는건 아니다 싶더군요 ㅋㅋㅋ
어디까지나 옛날이야기고 지금은 다르죠
지금 리눅스 배포판들 보면 정말 멋지다고 생각합니다.
저에게 이런 멋진 운영체제를 쓸수있게 있도록 발전시켜주신 전세계 프로그래머들에게 고개숙여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사용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재 시점에서 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M$, Mac, Linux 이 3개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무엇을 선택하느냐는 개인의 선택이죠.
전 Linux (Ubuntu) 를 선택한 거죠.
왜냐고요? 좋아서…
뭐가 좋냐고요? 그건 너무 개인적인 질문… 사람마다 좋아하는 이유가 다를테니…
저의 이유는 상업용 OS와 어플 없이도 컴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너무 좋아서 시작했고,
지금은 너무 익숙해져서… 우분투가 더 편해서 사용합니다.
장난감? =.=
무균 환경(윈도에 비해)… 물론 제 처음 목적은 compiz 였지만 말이죠-_-ㅋ
[quote="떠돌이":1ejchyw0]무균 환경(윈도에 비해)…[/quote:1ejchyw0]
ㅋㅋㅋ 무균환경
컴터를 왜 쓰시는지 되물으시면 답을 찾으실수 있을겁니다.
저는 유닉스 계열의 OS를 90년대부터 써 왔습니다.
그 당시 윈도우 3.1, 도스, 윈도우 95, 솔라리스, HPUX, 리눅스 등이 사용되던 시절이었습니다.
MS 사의 제품은 도스, 윈도우 3.1, 윈도우 95, 98, 2000, XP, 비스타, 7 등이 있습니다.
유닉스 계열로는 솔라리스, HPUX, IRIS, BSD, 리눅스, Mac OS 등이 있습니다.
유닉스 계열은 역사(1970년 경 탄생)가 깊은 만큼 매우 안정적인 운영체제입니다.
Linux Is Not UniX 라고 하지만 리눅스는 유닉스 계열입니다. 그리고 Mac OS X 는 커널이 BSD 커널이므로 유닉스 계열입니다.
MS 운영체제의 경우 윈도우 3.1 은 도스 위에서 돌아가는 유틸리티와 다름 없습니다. 사실상 운영체제가 아닙니다.
95, 98 도 도스 위에서 돌아가지만 실제로 하드웨어를 관리하기 때문에 운영체제라고 불러줄 뿐 굉장히 허접한 운영체제로써 툭하면 파란 화면 나오면서 컴퓨터가 정지합니다. 당시 사람들이 왜 이러한 제품을 돈을 주고 구입하는지 이해할 수 없었지만 DOS 에 익숙했던 PC(개인용 컴퓨터) 사용자들은 MS 윈도우 계열을 선택하였습니다.
MS 윈도우는 2000 이 나오면서 비로소 안정되었습니다.
유닉스 계열은 메인 프레임 같은 커다란 컴퓨터에서 동작하고 가격이 매우 비쌌으므로 PC(개인용 컴퓨터)에서 구동하기 위해 실험용으로 미닉스가 나오고 그 후 리눅스가 나오게 되었습니다.(1993) 하지만 PC 시장은 DOS가 장악한 상태이고 초창기 리눅스는 불안정하였습니다. 커널이 다운되는 경우도 가끔 있었지만 윈도우 95, 98 만큼 다운되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X 윈도우는 자주 죽었습니다. 당시 중요한 작업을 하는 사람들은 IBM, SUN, HP 등의 유닉스 계열이 설치되어 있는 워크스테이션을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가격은 수천만원이었습니다.
이 후 리눅스 커널 2.6 이 나오면서 매우 각광을 받기 시작했고 X 윈도우가 많이 발전되고 응용 프로그램이 많아지기 시작하였습니다. 지금은 처음 설치 시에 하드웨어 드라이버 때문에 어려운 점을 제외하고는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는 MS 윈도우와 비교하여 불편한 점이 전혀 없습니다. 불편하다고 한다면 그것은 MS 제품에 익숙하기 때문에 불편한 것이지 리눅스가 모잘라서 불편한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MS 윈도우도 모르는 여러 컴맹들에게 우분투 리눅스를 설치해 주었는데 그들은 지금까지 매우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사람들의 특징은 게임 안 하고, 인터넷 뱅킹 안 하고, 은행에 직접가고, hwp 같은 걸 사용할 일이 없는 사람들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MS 윈도우 제품의 최대 단점은…
- 레지스트리 사용입니다. 이것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컴퓨터는 느려질 수 밖에 없습니다.
패키지 제거 시 깔끔하게 제거가 되지 않고 레지스트리에 찌꺼기가 남습니다. 쓰레기에 비유하고 싶습니다. - rwx 같은 소유권, 그룹 권한이 없음.
이 부분을 보면 MS 윈도우 제품은 다중 사용자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한 듯하며 시장의 요구에 따라 임시방편으로 뜯어고쳐온 것 같은 느낌이 강하게 듭니다. - 비도덕적인 마케팅… 이미 과거에 나온 기술인데 무슨 신기술?
윈도우7 ??? 비스타랑 비슷합니다. 결국 비스타의 마이너 업데이트 판을 돈받고 팔고 있습니다. 과거에 윈도우 95 의 버그 패치판인 OSR2을 돈받고 팔아먹는 정신이 어디 가겠습니까. 자신의 제품에 문제가 있어서 버그 패치를 하였다면 그것을 정품 사용자에게 그대로 제공해야지 OSR2, 윈도우7 이런 이름으로 포장하여 돈을 받고 팔면 안 됩니다. - GUI, 커널 합체?
이것도 단점 중의 단점입니다. 유닉스 계열 처럼 GUI와 커널이 분리되어 윈도우만 따로 분리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유닉스 계열은 커널과 X 윈도우로 명확하기 분리가 됩니다. 즉, 유닉스 계열은 X윈도우가 없어도 사용할 수 있지만 MS 윈도우는 무조건 윈도우로 부팅해야 됩니다. 심지어 MS 윈도우 서버도 그러합니다. 서버를 구동하는 환경에서는 리소스를 많이 잡어 먹는 윈도우 같은 것은 불필요합니다.
현 시점에서 운영체제는
유닉스 계열(리눅스, Mac OS X) vs MS 윈도우 계열(XP, Vista, 7)
의 경쟁입니다.
구글 안드로이드가 리눅스 기반에서 돌아갑니다. 유닉스 계열의 완승을 기대합니다.
사실 MS 윈도우만 사라져 준다면 시장이 왜곡되지 않지 않을 것이며
어떠한 프로그램이든간에 유닉스 철학 중 하나인 멀티플랫폼 철학을 이어받아 상당히 많은 프로그램이 시스템에 구애받지 않고 돌아갈 것입니다. 과거에 이미 그러했습니다. 멀티 플랫폼이라는 것이 90년대 자바와 함께 나오는 신기술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MS 윈도우만 사라져 준다면 또는 MS 윈도우가 유닉스 기반에서 돌아간다면 우리는 매우 편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GUI 와 프로그램을 분리하여 그 프로그램에 GUI 만 씌워도 멋진 프로그램이 됩니다. MS 윈도우는 그게 어렵습니다만 유닉스 계열은 그게 굉장히 쉽습니다.
간단히 file-roller 프로그램만 보아도 그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프론트엔드(frontend)라 일컫습니다.
아무리 리눅스가 좋아도 다른 os를 쓰레기 취급하는 그런
자세는 지식인으로서 바람직하진 않은 것같습니다.
물론 윈도가 단점도 있고 근본적 문제가 있는 시스템이긴 합니다만
그런 '쓰레기’라고 표현하신 os가 쉽게 다가갈수 있는 친숙함으로
유저들에게 편리성을 제공했다면 그것 자체만으로도 존재의의가 있는겁니다.
우리가 암만 리눅스를 좋아한다 해서 타 os를 dog + ‘쓰레기’ 취급한다면
그게 맥빠들이랑 다른점이 뭡니까?
윈도 7 출시일에 맞춰서 이런 ‘쓰레기’ CF를 내놓는 ‘쓰레기’ 회사랑 다른 점이 뭡니까?
[quote="nike984":2hw2k026]아무리 리눅스가 좋아도 다른 os를 쓰레기 취급하는 그런
자세는 지식인으로서 바람직하진 않은 것같습니다.
물론 윈도가 단점도 있고 근본적 문제가 있는 시스템이긴 합니다만
그런 '쓰레기’라고 표현하신 os가 쉽게 다가갈수 있는 친숙함으로
유저들에게 편리성을 제공했다면 그것 자체만으로도 존재의의가 있는겁니다.
우리가 암만 리눅스를 좋아한다 해서 타 os를 dog + ‘쓰레기’ 취급한다면
그게 맥빠들이랑 다른점이 뭡니까?
윈도 7 출시일에 맞춰서 이런 ‘쓰레기’ CF를 내놓는 ‘쓰레기’ 회사랑 다른 점이 뭡니까?[/quote:2hw2k026]
MS윈도우를 쓰레기 취급한 것이 아니라…
레지스트리에 있는 찌꺼기를 쓰레기에 비유한 것입니다.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깨끗이 없어져야 하는데 불필요한 찌꺼기가 남아 있고 그 찌꺼기를 쓰레기에 비유한 것입니다.
처음에 그 부분을 '레지스트리에 남아 있는 쓰레기’라고 표현하려고 했었습니다.
'찌꺼기’는 걸러낸 후 남은 것을 의미하므로 찌꺼기 보다는 '쓰레기’라는 단어가 더욱 적절해 보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불필요한 논쟁은 하고 싶지 않습니다.
참고 다음 사전 발췌
찌꺼기
1 액체가 다 빠진 뒤에 바닥에 남은 물건.
2 쓸 만하거나 값어치가 있는 것을 골라낸 나머지.
쓰레기
1 비로 쓸어 내는 먼지나 내다 버릴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도덕적, 사상적으로 타락하거나 부패하여 쓰지 못할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개인적으로는 저 광고 완전 웃기다고 생각했습니다만… ㅋㅋㅋ
재미로…^^
저는 도스를 거쳐 윈도우만 쭉 사용하다가 올해 7월쯤에 처음으로 우분투를 설치했습니다. 설치하게된 계기는 윈도우를 다시 설치하는데 정품 어쩌고 저쩌고 하는 것에 갑자기 너무 짜증이 나더라고요. 정품 크랙이야 얼마든지 널려있기에 몰래 사용하면 그만이지만 저를 도둑으로 만드는 윈도우가 갑자기 너무 싫어졌었어요. 그래서 말로만 듣던 리눅스를 설치해보기로 하고 알아본 결과 우분투가 가장 많이 쓰인다고 하여서 설치했죠. 일주일 열심히 해매고 나서 보니 너무 괜찮은 오에스라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이후, 여러 오에스를 설치해 보았지만 처음의 선택만한 것이 없더군요.
우분투를 사용하면 할수록 괜찮은 것 같아 제가 좋아하는 한컴한글도 구입하였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환경상 우분투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차츰 깨닫게 되었습니다. 가급적 해결해 보려 했지만 안되는 것은 어쩔 수가 없어서 우분투는 저의 1번 오에스가 되지는 못하겠더라고요. 버춸박스로 윈도우 돌리는 것은 괜히 싫고요. 하지만 사실 저는 윈도우보다는 우분투가 더 좋습니다. 단지 윈도우를 써야하기 때문에 윈도우를 사용하는 것 뿐입니다. 왜 우분투를 사용하는지 묻는다면, 저는 왜 다른 사람들이 우분투를 사용하지 않는지 물을 겁니다.
그리고 사실 제가 지금 글을 쓰는 이유는 다음의 이야기 하나를 들려드리고 싶어서입니다. 괜히 서론이 길었네요. 이야기 출처나 진위 여부는 모릅니다. 그냥 예전 어디서 주워들었어요.
예전에 조선 건국 이전에 이성계와 무학대사는 가까운 사이였다고 합니다. 함흥차사의 유래에 관한 얘기와도 관련있는 사람들이죠 아마…? 하루는 이성계가 무학대사에게 장난을 치고 싶었답니다. 이성계가 말하기를, “스님, 저는 스님이 개로 보입니다.”라고 했대요. 그러자 무학대사가 “저는 당신이 부처님으로 보입니다.”라고 했답니다. 그래서 이성계가 물었대요. “스님, 저는 스님을 개로 보인다고 했는데 스님은 왜 저를 부처님으로 보인다고 하십니까?” 무학대사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습니다. “개의 눈에는 개가 보이고, 부처님의 눈에는 부처님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