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러리 파일은 저장소에서만 구할 수 있는가?! ^^;; + 그 밖에

안녕하세요
우분투 포럼에 오면 언제나 자발적?! ^^ 게시판 지기 분들의 성실한 답변에
많은 것을 배워가기만??? (응?ㅋ) 하는 뜨내기 입니다. ㅎㅎ ^^
오늘도 여전히 문제에 봉착한 나머지 도움의 손길을 얻고자 이곳을 찾았습니다!!

우분투는 참으로 편리한 배포판이라는 것을 새삼 느낀것은 구형 랩탑에 Puppy Linux를 깔고 난 이후 입니다.
‘apt’, ‘Repository’ 의 개념은 어느 우분투 관련 블로거님의 말씀을 빌리자면 모니터 앞에 앉아 무료 쇼핑을 즐기는 기분이랄까?!
그러나 요 강력한 특징은 우분투를 떠난 Puppy에서는 해당 사항이 없다는 것을 깨달은 지금에서는 난감하기 이를 곳이 없습니다.

자 이제 질문 들어갑니다!! ^^

[list:1y9n1sdt] 1. 우분투가 아닌 배포판으로 우분투 저장소에 있는 라이브러리 파일을 얻을 수 있는가? 가능하면 어떤식으로 가능한가? 또한 가능하지 않다면 필요로 하는 라이브러리 파일을 우분투가 아닌 배포판에서는 어떤 경로를 통해 얻을 수 있는가?

  1. PPA 라는 것을 최근에 알게 되었습니다. 이를 저장소 리스트에 추가하는 포스트들을 자주 보게되는데 그렇다면 시냅틱을 통해 확인 가능한 모든 파일들은 이 PPA라는 곳에 올려져 있고 이를 다시 우분투 소스리스트에 올려 놓은 것인가? (말이 어렵나요? 그럼 간단히 우분투의 '기본 저장소(Repository)'라는 개념을 단순히 ‘PPA’ 라고 단정 지을 수 있는가?)

  2. 제 스스로 편의상 이해한 개념인 [color=#0040FF:1y9n1sdt]'우분투의 ‘apt’(aptitude, apt-get…) = 레드헷 계열의 ‘yum’[/color:1y9n1sdt] 이 타당한가? [/list:u:1y9n1sdt]

ps> 이번 리눅스 마스터 시험을 치루면서 생각의 전환의 기회를 얻었습니다.
뭔가 모르게 리눅스는 남성 분들만 다룰 것이라는 막연한 고정관념에 사로 잡혀 있었는데 그건 또 아니더군요

[quote="crimsonbynw":3f392jg8]

  1. 우분투가 아닌 배포판으로 우분투 저장소에 있는 라이브러리 파일을 얻을 수 있는가? 가능하면 어떤식으로 가능한가? 또한 가능하지 않다면 필요로 하는 라이브러리 파일을 우분투가 아닌 배포판에서는 어떤 경로를 통해 얻을 수 있는가?
    [/quote:3f392jg8]
    가능은 한데…
    rpm 계열에 dpkg, apt 를 설치하면 가능합니다.
    debian 계열에 우분투 소스 리스트를 추가하면 됩니다.
    그 역으로도 가능합니다.
    rpm 계열의 경우는 실제 해보지는 않았고 만약 시도한다면 의존성 에러 엄청나게 생길 것 같네요. 파일이 덮쳐 쓰일 수 있고, 안 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rpm 계열에 alien 같은 도구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아…그리고 deb 파일을 다운 받아서 압축 풀고 적절한 위치에 수작업으로 설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경우 패키지 관리가 되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quote="crimsonbynw":3f392jg8]
2. PPA 라는 것을 최근에 알게 되었습니다. 이를 저장소 리스트에 추가하는 포스트들을 자주 보게되는데 그렇다면 시냅틱을 통해 확인 가능한 모든 파일들은 이 PPA라는 곳에 올려져 있고 이를 다시 우분투 소스리스트에 올려 놓은 것인가? (말이 어렵나요? 그럼 간단히 우분투의 '기본 저장소(Repository)'라는 개념을 단순히 ‘PPA’ 라고 단정 지을 수 있는가?)
[/quote:3f392jg8]
기본 저장소를 ppa 로 단정 지으면 좀 곤란하고…
PPA(Personal Package Archives)는 개인 패키지 저장소라 하는군요.

[quote="crimsonbynw":3f392jg8]
3. 제 스스로 편의상 이해한 개념인 [color=#0040FF:3f392jg8]'우분투의 ‘apt’(aptitude, apt-get…) = 레드헷 계열의 ‘yum’[/color:3f392jg8] 이 타당한가?
[/quote:3f392jg8]
apt --------- yum
dpkg ------- rpm
이렇게 비교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소스에서 컴파일하는게 진리에요.

먼저 답변 주신 데비안님, hanbin973님 감사드립니다. ^^

[quote:vcvoou89]소스에서 컴파일하는게 진리에요.[/quote:vcvoou89]

일단 틀리지 않다면 제가 알고 있는 컴파일 방법은 configure(환경설정) -> make(컴파일) -> make install(인스톨) 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소스파일들은 보통 *.tar.gz으로 묶인 파일들이 일반적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허나 제가 봉착한 문제는 puppy linux 에서 해당 파일을 컴파일하면 갖가지 동적 라이브러리 파일( *.so)들을 찾을 수 없다는 메세지와 함께 컴파일에 실패를 한다는 것 입니다.

본 문제의 시작도 퍼피 리눅스에서 한글을 사용하기 위해 scim 소스파일을 다운 받아 컴파일 하는 도중 라이브러리 파일의 위치를 알 수 없다는 메세지를 확인 후 해당 라이브러리를 찾아 헤매이던 것이 발단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