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에 윈도우에 우분투를 설치하려는데 질문입니다

리눅스와 멀티부팅으로 사용하다가

윈도우에서만 돌아가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다보니 멀티부팅이 불편해졌네요

이전에 윈도우에서 프로그램설치하듯이? 우분투를 설치하는 글을 봤던거 같은데 안찾아지네요

그방법이 나을까요? VMWare 통해서 설치하는것이 나을까요???

위에서 이야기 드렸듯이 윈도우에서만 돌아가는 프로그램때문에 멀티부팅을 하기가 불편해서요

윈도우에 VMware를 깔고 우분투를 까는게 아니라면 말씀하시는 방법은 윈도 파티션 내에 가상 파티션 잡아 우분투 설치하는걸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요. 그 방식은 그냥 멀티 부팅 하는거랑 다름 없어요;
윈도우에서 쓰셔야 되는 프로그램 때문에 그러시면 Wine 쓰시던지 가상 머신을 쓰시는 수 밖에 없을듯 합니다.
심리스 모드 지원하는 가상 머신 쓰시면 좀 나을 것 같기도 하구요.

컴퓨터의 성능이 괜찮으시다면 VMware나 VirtualBox와 같은 Virtualizer를 사용해 보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리눅스 상에서 Wine 기반으로 Windows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것은 일부 애플리케이션 같은 경우 완벽하게 구동이 되지만 많은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어떤 애플리케이션들이 Wine 기반으로 잘 동작하시는지 보시려면 Wine 공식 사이트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페이지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appdb.winehq.org/

또한 위에서 말씀드렸던 Virtualizer들의 홈페이지는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http://www.vmware.com/ http://www.virtualbox.org/

VMware의 경우 VMware Server와 VMware Player가 무료입니다. VMware Player에서도 가상 머신 이미지 생성이 가능해 졌다니 VMware 계통을 쓰시려면 VMware Player를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VirtualBox의 경우 OSE (Open Source Edition) 버전은 우분투 공식 저장소에서도 설치 가능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virtualbox-ose) 그러나 OSE 버전의 경우 약간의 제약이 있으므로, 공식 홈페이지에서 PUEL (Personal Use and Evaluation License)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이렇게 설치하시면 VirtualBox의 서드 파티 저장소 또한 로컬 시스템의 소스 리스트에 자동으로 저장이 되므로, 시냅틱 등의 소프트웨어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으로 손쉽게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멀티 부팅이 아니더라도, 리눅스 상에서 Windows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방법은 이와 같이 다양합니다. 글쓴님의 취향에 맞게 선택하셔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