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잘한 질문~!

이제 리눅스를 시작한 초보입니다. 첫번째 쓰는 리눅스가 Ubuntu 이다 보니 Windows 처럼 GUI 만 쓰게 되는군요.

공부를 할려고 Console mode에서 명령어로 이것 저것 만저보고 있는데 생각이 나서 몇가지 질문 올립니다.

  1. Console Mode에서 ls 명령어를 사용할때 파일이나 폴더가 많으면, 한 화면에 나오지 안잖아요. 이럴때 사용하는 옵션이 따로 있습니까? (DOS 의 dir/p 처럼 한 화면씩 끊어서 보여준다든지하는…)

  2. 9.10에서 console mode 해상도 조절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3. 번외질문인데, Linux Server 공부를 시작할려니까 거의 모든 한글화된 강좌라든가 포럼이라든가 이런데 보면 서버 관리쪽에 Redhat이나 CentOS 에 초점을 맞추고 있더군요. 실제 업으로 Linux Server를 관리 하시는 분들은 우리나라에서 데비안 계열은 사용하지 않습니까? Ubuntu로 Server를 돌리는건 흔하지 않은 일인가요? 그렇다면 왜 그런건가요?

두서 없이 이것 저것 질문해 봅니다. 고수님들의 많은 도움 부탁드려요…

  1. ‘ls | more’ 이라고 치시면 한페이지씩 보실수 있습니다.

  2. 해상도 조절은 잘 모르겠고 terminal 윈도우에서 폰트 조절을 원하시면 Edit->Profile 이나 Right-click 해서 Profile->Profile Preferences 를 선택하신후 General tab 에서 조정 가능합니다. 그외에 다른 많은것들도 조정 가능합니다.

  3. 이것은 저도 우분투를 쓴지 얼마 되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아마도 Redhat 이 처음으로 Enterprise market 에 뛰어들어서 시장점유율이 많아서일것 같습니다. 나중에는 우분투의 점유율이 더 많아질지도 모르는 일이죠. 우분투로 서버를 돌리시고 관리하시는 분들도 많을것 같은데 아마도 그 분들이 더 많은 도움을 드릴수 있을것 같습니다.

1.ls -al | more, ls -al | less
ls 에도 옵션이 있습니다. 터미널에서 $man ls 라고 치고 보세요.
[url:22enysls]http://ubuntu.or.kr/viewtopic.php?f=9&t=493&view=previous[/url:22enysls]

2./etc/default/grub 에서 설정해 주면 됩니다.
빨간색 글자 부분을 추가하면 되구요.
vga=795에서 795라는 해상도 부분은 각자 다시 설정하면 됩니다.
아래 화산폭발님 팁에서 적절한 해상도를 찾으세요.
수정 후 저장하시고 터미널에서 sudo update-grub
다시 시작하면 적용됩니다.

GRUB_DEFAULT=4
#GRUB_HIDDEN_TIMEOUT=0
GRUB_HIDDEN_TIMEOUT_QUIET=true
GRUB_TIMEOUT=3
GRUB_DISTRIBUTOR=lsb_release -i -s 2> /dev/null || echo Debian
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splash"
GRUB_CMDLINE_LINUX="[color=#FF0000:22enysls]vga=795[/color:22enysls]"

화산폭발님 팁
[url:22enysls]http://ubuntu.or.kr/viewtopic.php?f=9&t=1602[/url:22enysls]
참고한 사이트
[url:22enysls]http://members.iinet.net/~herman546/p20/GRUB2%20Configuration%20File%20Commands.html[/url:22enysls]

전세계적으로는 우분투 서버가 더 많이 사용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도 많은 기업과 연구소가 우분투로 교체 하고 있습니다.
국내도 개인 서버까지 하면 우분투 서버 사용률이 더 많을것으로 예상 합니다.

그리고 우분투서버는 배울것이 없습니다.
제가 우분투서버에 붙은 별명이 원샷 원킬(One Shot One Kill) 이라고 그냥 설치하고 사용하면 됩니다.
즉 OS 신경 쓸 필요 없다는 거죠, 이에 반론을 제기할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 아파치 버처 셋팅은 어찌 하며 네임서버 추가는 어찌하며 메일서버 …
그런 2차 설정 작업들에 대한 제 답변은 필요한거 있으면 설치하고 문서 따라 하면 됩니다. ( http://wiki.ubuntu.com )

무엇보다 센토스나 레드햇보다 설치 후 설정을 추가로 손볼게 없습니다.
예로 트래픽 알기 위한 MRTG도 설치 후 그냥 사용 하며
phpmyadmin 도 설치 후 추가 설정이 필요 없습니다.

우분투 데탑도 XP 와 비교할때 컴을 전혀 안한 사람이 더빨리 익숙해지는 OS 가 우분투입니다.
우분투 서버 또한 OS로서 손댈게 없는 편한 설정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우문에 현답으로 대답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