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티션 변경 가능한가요~?

윈도 설치하고 리눅스를 설치했는데
파티션이 위 그림처럼 되어 있어요

sda1 윈도 시스템
sda2 extended 파티션 (이 안에 sda5~sda8까지 있습니다)
sda5 데이터 파티션(ntfs)
sda6 / 파티션
sda7 스왑 파티션
sda8 /home 파티션

근데 이걸 주파티션 3개로 구성해서

sda1 윈도시스템 파티션
sda2 데이터 파티션(ntfs)
sda5~8 리눅스 파티션

로 구성할수 있을까요?

(우분투 리눅스 설치시 / 파티션, 스왑 파티션, /home 파티션 모두를
논리 파티션으로만 구성했는데… 그래서 위 그림처럼 이렇게 된건지 모르겠네요)

주 파티션이 프라이머리 파티션을 말하는거라면 한 하드에 주파티션은 3인가 4개가 한계라고 알고 있습니다.
리눅스파티션을 3개로 나누면 총 파티션 갯수가 5개로 나와서 모두 주파티션으로 안될겁니다

http://wiki.kldp.org/wiki.php/%C6%C4%C6%BC%BC%C7

[quote="느림보":txxzc4mo]주 파티션이 프라이머리 파티션을 말하는거라면 한 하드에 주파티션은 3인가 4개가 한계라고 알고 있습니다.
리눅스파티션을 3개로 나누면 총 파티션 갯수가 5개로 나와서 모두 주파티션으로 안될겁니다

http://wiki.kldp.org/wiki.php/%C6%C4%C6%BC%BC%C7[/quote:txxzc4mo]

주파티션을 5개로 하는게 아니구요…

주파티션을

윈도시스템 파티션 1개

데이터 파티션(NTFS) 1개

리눅스 / 파티션 (주파티션) 1개
스왑 파티션 (논리)
/home 파티션 (논리)

이게 가능하게 할 수 있냐는 질문입니다… ^^

[quote:3ij10aet]윈도시스템 파티션 1개

데이터 파티션(NTFS) 1개

리눅스 / 파티션 (주파티션) 1개
스왑 파티션 (논리)
/home 파티션 (논리) [/quote:3ij10aet]

윈도 시스템 1개, 데이터 파티션 1개, 리눅스 / 파티션 1개에 주 파티션 만들고

확장 하나 만들어서 그 안에 스왑이랑 /home 파티션 만들면 되지 싶은데

전 이렇게 이해했는데 혹시 다른 의미인가요?

[quote="느림보":3q723y6x][quote:3q723y6x]윈도시스템 파티션 1개

데이터 파티션(NTFS) 1개

리눅스 / 파티션 (주파티션) 1개
스왑 파티션 (논리)
/home 파티션 (논리) [/quote:3q723y6x]

윈도 시스템 1개, 데이터 파티션 1개, 리눅스 / 파티션 1개에 주 파티션 만들고

확장 하나 만들어서 그 안에 스왑이랑 /home 파티션 만들면 되지 싶은데

전 이렇게 이해했는데 혹시 다른 의미인가요?[/quote:3q723y6x]

댓글 감사합니다. 느림보님…
제가 위엣 글을 명확하게 쓰지 않은 것 같아요

현재 데이터 파티션(ntfs) 과 리눅스 파티션(/ , swap, /home) 파티션이
하나의 extended 파티션 안에 있거든요
extended 파티션 안에서 각각 논리 파티션(?)으로 존재하는 셈인데 이걸 분리하고 싶어서 문의드린거예요

그렇게 하자면
/ 파티션, 스왑파티션, /home파티션 모두 포맷하고 우분투를 다시 깔아야 하는 건가요?
(/home파티션의 설정은 유지하고 싶은데 / 파티션만 주파티션으로 바꾸면 되는건지,
아니면 / , swap, /home 모두 포맷하고 재설정 해주어야 하는건지 싶어서요 ^^;;;;:wink:

일단 파티션과 파일 시스템은 분리해서 생각하셔야 합니다.

하나의 주 파티션 안에 NTFS 파일 시스템이 설치된 논리 파티션과 리눅스 용 파일 시스템(Ext3 등)이 설치된 논리 파티션이 있다는 말씀인 것 같은데요,

방법은 여러개가 있겠습니다만, 새 파티션을 준비하신 뒤 거기에 그냥 copy 하는 방식으로도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원하시는 것을 하실 수 있을 것 같네요.

자세한 방법은 이곳 포럼을 뒤져보시거나 구글링을 좀 하셔얄 듯 합니다.

자세한 답변 드리지 못해 죄송하네요. ^^;

[quote="pcandme":152m8vec]일단 파티션과 파일 시스템은 분리해서 생각하셔야 합니다.

하나의 주 파티션 안에 NTFS 파일 시스템이 설치된 논리 파티션과 리눅스 용 파일 시스템(Ext3 등)이 설치된 논리 파티션이 있다는 말씀인 것 같은데요,

방법은 여러개가 있겠습니다만, 새 파티션을 준비하신 뒤 거기에 그냥 copy 하는 방식으로도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원하시는 것을 하실 수 있을 것 같네요.

자세한 방법은 이곳 포럼을 뒤져보시거나 구글링을 좀 하셔얄 듯 합니다.

자세한 답변 드리지 못해 죄송하네요. ^^;[/quote:152m8vec]

네에… 파티션 copy는 처음 들어보네요
새로 파티션을 통째로 복사해야하는 부분인가보군요;;
아, 어려운 부분입니다;; 흠…

아무래도 리눅스를 다시 설치하면서 파티션 설정을 다시 해야 하는 부분일 것 같네요.

[quote:1diubcot] 리눅스를 다시 설치하면서 파티션 설정을 다시 해야 하는 부분일 것 같네요.

[/quote:1diubcot]현재는 sda2 extend파티션에 sda1을 제외한 하드 전 용량으로 되어 있는데요
sda2파티션 용량를 줄여야 리눅스를 원하는대로 설치 하실 수 있을 겁니다 .

[quote="느림보":1egob222][quote:1egob222] 리눅스를 다시 설치하면서 파티션 설정을 다시 해야 하는 부분일 것 같네요.

[/quote:1egob222]현재는 sda2 extend파티션에 sda1을 제외한 하드 전 용량으로 되어 있는데요
sda2파티션 용량를 줄여야 리눅스를 원하는대로 설치 하실 수 있을 겁니다 .[/quote:1egob222]

sda2 파티션 용량을 어떻게 줄이면 될까요…
애초에 컴터에 윈도 설치하면서 D파티션(ntfs 데이터 파티션)과 파티션 분할 않음(리눅스 파티션 공간)으로 해놓고
그 다음 리눅스를 설치하면서 파티션 분할 되지 않은 공간에서 리눅스 파티션을 / , 스왑, /홈 파티션 (이상 모두 논리파티션)으로
나눈 것이었거든요. (그렇게 했더니 위 그림과 같은 파티션 분할이 되었습니다)

다시 윈도 씨디를 넣고 ntfs데이터 파티션 용량을 조정해 줘야 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네요;;;

일단 좀 근본적인 이야기로… 굳이 주 파티션으로 바꾸고 싶은 이유가 어떻게 되시는지요?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는 굳이 주 파티션으로 바꿨을때의 큰 메리트가 없는지라 이렇게 하시고 싶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하고 싶으신 작업을 지금 파티션을 지우지 않은 상태에서 하시려면…이론적으로는 [url=http://ubuntu.or.kr/viewtopic.php?p=10499#p10499:1xd3sl7w]파티션 테이블을 직접 수정해 버리는 방법이 있는 모양입니다.[/url:1xd3sl7w]

그러나 저 글타래에서도 언급했듯이, 이건 제가 시도해서 성공해 본 적이 있는게 아니라 인터넷에서 관련 글을 찾은것에 불과한것이니 시도하시려거든 !!!반드시!!! 백업을 하고 하시길 바랍니다.

[quote="Vulpes":273wa8vr]그러나 저 글타래에서도 언급했듯이, 이건 제가 시도해서 성공해 본 적이 있는게 아니라 인터넷에서 관련 글을 찾은것에 불과한것이니 시도하시려거든 !!!반드시!!! 백업을 하고 하시길 바랍니다.[/quote:273wa8vr]
저 같으면 백업할 용량이 있다면…
새로 설치할 것 같습니다. 8-)

vulpes님, tinywolf님 정말 고맙습니다…

[quote="Vulpes":3giwe8ei]일단 좀 근본적인 이야기로… 굳이 주 파티션으로 바꾸고 싶은 이유가 어떻게 되시는지요?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는 굳이 주 파티션으로 바꿨을때의 큰 메리트가 없는지라 이렇게 하시고 싶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하고 싶으신 작업을 지금 파티션을 지우지 않은 상태에서 하시려면…이론적으로는 [url=http://ubuntu.or.kr/viewtopic.php?p=10499#p10499:3giwe8ei]파티션 테이블을 직접 수정해 버리는 방법이 있는 모양입니다.[/url:3giwe8ei]

그러나 저 글타래에서도 언급했듯이, 이건 제가 시도해서 성공해 본 적이 있는게 아니라 인터넷에서 관련 글을 찾은것에 불과한것이니 시도하시려거든 !!!반드시!!! 백업을 하고 하시길 바랍니다.[/quote:3giwe8ei]

굳이 이렇게 바꾸고 싶은 이유는…
vulpes님 말씀처럼 큰 메리트는 없지만, (굳이 이유라고 들것까지는 없지만)
다시 설정하고 싶은 마음이 들어서입니다;;;
제 목적은 윈도 시스템 파티션 따로, ntfs 데이터 파티션 따로, 리눅스 시스템(/) 파티션 따로
이렇게 만들어보려는 것이었습니다.
헌데, 위엣 글을 보니 현재 설정을 유지한 채로 파티션 테이블을 바꾸는 건 위험하고 불가능해 보이네요.;;

이왕 남긴 김에 질문 하나 더 드리고 싶습니다…

저의 경우 애초에 윈도 상에서 C, D(ntfs 데이터 파티션) 드라이브를 잡은 다음 빈공간을 리눅스용으로 남겨두었었습니다. 윈도 설치후 리눅스에서 빈공간을 리눅스용 파티션으로 / , /스왑, /home 으로 잡았는데요,
그래도 혹시, 나중에 다시 리눅스를 설치할 경우
/ 파티션을 주 파티션으로 하고 /swap, /home 파티션을 논리 파티션으로 한다면 ntfs 파티션과 분리될수 있을까하는 마지막 질문 하나 드리고 싶습니다.

미묘하군요.
윈도우즈 부터 설치하면 지금 상태가 정상이고
하드디스크 전체를 포맷하고 우분투 부터 설치한다고 해도
우분투가 sda1 부터 설치가 되면 나중에 윈도우즈를 설치할 수가 없는 것 같은데요… 맞나요?
저도 머리가 어지럽네요.

자료가 있는 파티션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때(백업) 하시는게 낫겠어요.
운영체제야 망가져도 정 안되면 재설치하면 되지만 자료가 사라지는 건 상상하기 싫은 일이죠.
…아니면 어디서 하드디스크를 얻어서 sdb 에만 우분투를 설치하면… 8-)

[quote="cloudb":1raow3e9]헌데, 위엣 글을 보니 현재 설정을 유지한 채로 파티션 테이블을 바꾸는 건 위험하고 불가능해 보이네요.;;[/quote:1raow3e9]
그래서 제가 직접 실험을 못해봤습니다 ㅋㅋㅋ 전 언제나 용량에 굶주려 사는지라…

[quote="cloudb":1raow3e9]저의 경우 애초에 윈도 상에서 C, D(ntfs 데이터 파티션) 드라이브를 잡은 다음 빈공간을 리눅스용으로 남겨두었었습니다. 윈도 설치후 리눅스에서 빈공간을 리눅스용 파티션으로 / , /스왑, /home 으로 잡았는데요, 그래도 혹시, 나중에 다시 리눅스를 설치할 경우 / 파티션을 주 파티션으로 하고 /swap, /home 파티션을 논리 파티션으로 한다면 ntfs 파티션과 분리될수 있을까하는 마지막 질문 하나 드리고 싶습니다.[/quote:1raow3e9]

제가 아는 한, 윈도우즈는 인스톨시 C를 주 파티션으로, 그 이외의 파티션들은 확장 파티션 안의 논리 파티션으로 잡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고로…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cloudb님이 원하시는 결과를 내려면:

[list=1:1raow3e9]
[:1raow3e9]윈도우즈 인스톨 시점에서 C와 빈 공간으로 나눈 상태에서 C에 인스톨. (주 파티션 C, 빈 공간)[/:m:1raow3e9]
[:1raow3e9]리눅스 인스톨 하면서 수동 파티셔닝. 기존의 D드라이브로 쓸 용량을 미리 비워 두고 /로 쓸 주 파티션을 만든다 (주 파티션 C, 빈 공간 (D), 주 파티션 /, 빈 공간) [/:m:1raow3e9]
[:1raow3e9]맨 마지막 빈 공간을 확장 파티션으로 잡고, 그 속에 swap등을 만든다 (주 파티션 C, 빈 공간 D, 주 파티션 /, 확장 파티션 [ /home, swap, etc])[/:m:1raow3e9]
[:1raow3e9]우분투로 부팅 후, ntfsprogs을 깐 다음 빈 공간으로 남겨 두었던 부분을 ntfs주 파티션으로 잡아줌[/:m:1raow3e9][/list:o:1raow3e9]
…이렇게 하면 결과적으로 주 파티션 C, 주 파티션 D, 주 파티션 /, 확장 파티션 [ /home, swap, etc] 이런 형태가 나올듯 하네요.

[quote="Vulpes":gxdsfz7w]제가 아는 한, 윈도우즈는 인스톨시 C를 주 파티션으로, 그 이외의 파티션들은 확장 파티션 안의 논리 파티션으로 잡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고로…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cloudb님이 원하시는 결과를 내려면:

  1. 윈도우즈 인스톨 시점에서 C와 빈 공간으로 나눈 상태에서 C에 인스톨. (주 파티션 C, 빈 공간)
  2. 리눅스 인스톨 하면서 수동 파티셔닝. 기존의 D드라이브로 쓸 용량을 미리 비워 두고 /로 쓸 주 파티션을 만든다 (주 파티션 C, 빈 공간 (D), 주 파티션 /, 빈 공간)
  3. 맨 마지막 빈 공간을 확장 파티션으로 잡고, 그 속에 swap등을 만든다 (주 파티션 C, 빈 공간 D, 주 파티션 /, 확장 파티션 [ /home, swap, etc])
  4. 우분투로 부팅 후, ntfsprogs을 깐 다음 빈 공간으로 남겨 두었던 부분을 ntfs주 파티션으로 잡아줌

…이렇게 하면 결과적으로 주 파티션 C, 주 파티션 D, 주 파티션 /, 확장 파티션 [ /home, swap, etc] 이런 형태가 나올듯 하네요.[/quote:gxdsfz7w]

그렇군요. 먼저 리눅스 파티션을 설치한 다음 ntfs 데이터 파티셔닝을 하는 방법이군요.
더 어려워지는 것 같기도 하네요~ 정말 고맙습니다 ^^

참, 그리고 이건 또다른 질문인데요…
제가 지금 우분투 8.04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ext3 파일시스템이고요
이번에 10.04 lts 가 나오면 설치할 생각인데요,

지금 /home 파티션의 경우, (지금은 ext3 이지만) ext4 파일시스템으로 설정해줄경우
포맷을 해야하는 건가요? 아니면 우분투 설치시 파일시스템만 ext4로 변경하고 포맷체크 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ext4로 바뀔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quote:1xmn9r1o]지금 /home 파티션의 경우, (지금은 ext3 이지만) ext4 파일시스템으로 설정해줄경우
포맷을 해야하는 건가요? 아니면 우분투 설치시 파일시스템만 ext4로 변경하고 포맷체크 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ext4로 바뀔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quote:1xmn9r1o]9.10설치할 때도 업그레이드가 아니라 클린 재설치 하면 기본 파일 시스템이 ext4가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home’ 파티션이고 아니고를 떠나서 '포맷체크’하면 그 파티션 정말 포맷 합니다.
친절하게 메세지도 보이면서 ‘어어어…’ 하면서 당황하는사이 그 파티션안의 파일들은 다 날아가는거지요.
제 짐작에는 ext3에서ext4로 포맷 안하고 변경되는지 말씀하는거 같은데 그건 저도 잘 모르겠네요

[quote="cloudb":3prspqmo]지금 /home 파티션의 경우, (지금은 ext3 이지만) ext4 파일시스템으로 설정해줄경우
포맷을 해야하는 건가요? 아니면 우분투 설치시 파일시스템만 ext4로 변경하고 포맷체크 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ext4로 바뀔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quote:3prspqmo]
자동… 은 아니지만 Ext3을 ext4로 바꿀수는 있다고 합니다

http://maketecheasier.com/how-to-upgrad ... 2009/04/21

그러나 중간중간에 댓글을 보면 실패하시는 분들이 보이고 있으니 시도하실땐 반드시 백업하세요.

부쩍 Vulpes 님께서 위험한 방법만 알려주시는거 같습니다 ^-^;;

아무튼 평소에도, 큰 작업 할때도 백업은 필수 인거 같습니다.

ps. 수년전에 남자는 NO 백업이야~ 라며 사시던 형님이 계셨는데,
아직도 그 생각을 바꾸지 않고 사시고 계실까… 갑자기 궁금해졌습니다.

전 설치할 때
먼저, 우분투 CD의 사용해보기로 부팅해서 파티션 편집기로 파티션을 구성합니다.
하드디스크가 하나일 때 보통 아래와 같이 잡는데요.

[list:2suyhs3z]주 파티션
[:2suyhs3z]sda1 : ext4 - /boot[/:m:2suyhs3z]
[:2suyhs3z]sda2 : NTFS - MS 윈도우용[/:m:2suyhs3z]
[*:2suyhs3z]sda3 : ext4 - /

확장 파티션[/:m:2suyhs3z]
[
:2suyhs3z]sda5 : swap[/:m:2suyhs3z]
[
:2suyhs3z]sda6 : xfs - /home[/:m:2suyhs3z]
[
:2suyhs3z]sda7 : FAT32 - 윈도우와 데이터 공유용[/*:m:2suyhs3z][/list:u:2suyhs3z]

파티션 변경을 다하고 난 뒤에 컴퓨터를 끈 다음,
윈도우CD로 부팅해서 윈도우를 먼저 설치하고 나서 그 후에 우분투를 설치합니다.
하드 디스크가 여유가 있을 때는 LVM도 구성해서 /home을 늘려서 사용합니다.

파티션을 무언가 변경하고 싶으시다면 안전하게 백업하고 하시는게 나을 것 같아요.
‘어떤 방법이 잘 되더라’ 해도 자칫 잘못하면 순식간에 날릴 수 있는게 파티션 정보니까…

따로 하드 디스크를 마련하기 힘든 상황이라면 백업에 웹하드를 이용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요새는 새로 가입하면 일정 기간 무료로 사용 가능한 곳도 있다고 하더군요.
큰 파일들을 친구들에게 메신저로 보내버리고 작은 파일들만 백업한 후에 새로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죠 ㅋ

사나이는 포맷입니다! ㅋㅋ [size=85:2suyhs3z][color=#808080:2suyhs3z](농담입니다. :? )[/color:2suyhs3z][/size:2suyhs3z]

파일 시스템을 바꾸는 일은 왠만하면 데이터 백업 후 포맷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Ext3에서 Ext4로의 변환은 어차피 같은 저널링 파일 시스템이고, 버전업이므로 큰 위험이 뒤따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파일 시스템을 변경하려면 포맷을 하시는 것이 좋을 겁니다.

여분의 하드디스크가 없으시다면 꼬마늑대님께서 추천해주신 웹 하드 백업 방법도 꽤 괜찮을 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