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우분투를 사용하진 않고, 멀티부팅으로 xp와 우분투를 번갈아 사용했습니다.
xp를 사용하면서
‘어라? 이 정도 사용 용도라면 우분투를 사용해도 되는데?’ 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우분투에 익숙하지 않고 윈도우에서 주로 사용하던 프로그램과 습관을 바로 대체하기 어려운 점이 있네요.
[color=#0000FF:1cn835f0]* smplayer[/color:1cn835f0]
xp에서는 kmp를 사용합니다. 세세한 조정이 그 장점이라고 하는데, 실제로는 그 기능도 모르고 사용하는 기능도 많지 않아서 그 장점을 크게 느끼진 못합니다. ㅡㅡ;;
smplayer의 기능은 제가 주로 사용하는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어 맘에 딱 듭니다.
kmp에서 사용했던 자막의 세부설정과 같은 kmp의 다양한 조정이 아쉽긴 합니다만
앞 뒤 이동에 세가지 시간 이동이 있는 것은 smplayer의 세세한 조정이라
세부 설정에 있어 어떤 플레이어가 더 좋다고 말할 수는 없네요.
우분투에서 동영상 플레이어를 사용할 때 조금 불안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
영화 보는 중 마우스나 키보드 동작이 없으니 스크린 세이버가 작동하네요.
검색을 통해 해결책은 찾아 시도해봤지만 여전합니다. 해결되지 않은 버그인지? -
영화, 드라마 등을 보는 중간에 멈추거나, 시간 이동을 할 때 멈추는 증상이 있습니다.
이때 키를 이용하여 앞 뒤로 다시 옮겨주거나 시간 스크롤버튼을 눌러줘야 다시 재생됩니다.
동일한 영상을 xp에서 볼 때 이상이 없었으니 파일 문제는 아닙니다. -
자막 싱크를 단축키로 맞춰줄 수 있는데, 이 때 시간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표시되지 않으니 조금 불편하네요. (그냥 불편한 정도…)
[color=#0000FF:1cn835f0]* 파일 검색[/color:1cn835f0]
xp에서는 everything을 사용했습니다.
인덱스를 만들어 검색어를 입력하는 즉시 파일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이 상당히 편했습니다.
이런 기능이 있는 검색 프로그램이 우분투에 있는지요?
검색을 통해 알아보니 패널 추가에서 '데스크바’를 이용하면 인덱스를 사용해 빠른 검색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패널 추가에 데스크바 기능이 없습니다.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에서도 deskbar 라는 프로그램이 없네요.
- 노틸러스 혹은 다른 파일관리자
xp에서 dopus라는 파일관리자를 사용했는데요. (암흑가 버전… 부끄부끄)
- 토탈커맨더를 이용해보려 했지만 dopus가 더 편한 것 같아 적응하지 못했습니다.
우분투에서는 터미널에서 mc, gui에서 조금 갈리는 것 같지만 컹커러를 많이 이용하는 것 같네요.
- KLDP 검색에서…
- 사용할 수 있으면 하는 기능.
mc처럼 창기능과 터미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기능
듀얼 창 - 파일의 복사, 이동의 편리함
노틸러스의 폴더 열기로 여러 폴더 내 파일 선택
사이드 창의 트리 기능
폴더 색상 지정
폴더 북마크
탭 설정과 탐색기 종료 후 탭 기억
이 정도를 만족하는 파일 관리자가 있을까요?
다른 분들께선 주로 어떤 파일 관리자를 사용하시나요?
[color=#0000FF:1cn835f0]* 톰보이의 메모가 상당히 좋네요.[/color:1cn835f0]
가끔 글이 드래그 되지 않을 때가 있네요.
글자의 속성지정, 복사 등이 안되요.
지금도 그러한데, 이것이 톰보이의 오류인지 우분투의 오류인지 헷갈리는 것이…
파이어폭스에서 가끔 마우스 오른쪽 버튼(메뉴)이 안되는 경우가 있어 같은 증상이 아닐까 싶어요.
파이어폭스의 경우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트리 스타일 탭’이라는 부가기능의 탭 감추기/보여주기가 안되거든요.
톰보이 오류나, 파이어폭스 오른쪽 클릭이 안되는 (지금과 같은) 경우
혹시나 싶어 시스템 감시를 살펴봐도 메모리는 부족하지 않아요.
- 메모리 510/1001, 스왑 2.3/980
[color=#0000FF:1cn835f0]* amarok 1.4[/color:1cn835f0]
amarok 2에 대한 불만이 많은 글을 읽기도 하고, 2를 설치했다 사용법을 몰라 지우고 1.4를 새로 설치했습니다.
이 역시 상당히 맘에 드네요.
xp에서는 알송->코원미디어->푸바 이렇게 사용했는데 모두 맘에 들진 않았습니다.
알송은 너무 간단한 기능,
코원미디어는 무겁기도 하고 음악 파일 설정이 제대로 저장되지 않는지 파일을 새로 읽을 때마다 리셋되어서 불만
푸바는 알게 된지 얼마 되지 않아 설정을 익히기도 어려웠고, 제가 원하는 스킨을 찾지 못했습니다.
amarok에 대해서는 아직 익숙하지 않지만, 실시간 가사 스크립트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http://barosl.com/blog/entry/amarok-live-lyrics여기서 스크립트를 받아 설치, 실행했는데 창만 뜨고 아무것도 나오지 않네요.
다른 설정 방법이 있는지,
amarok 왼쪽 가사창에서 가사를 볼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lrc 나 txt 파일 등으로 가사를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color=#0000FF:1cn835f0]* rename[/color:1cn835f0]
파일 일괄변경을 사용하는 경우는 주로 음악 앨범의 파일을 한번에 수정해 주는 경우인데
xp에서는 dark namer, wildren을 이용했습니다.
특정 단어 변경, 앞 혹은 뒤에 문자열 붙이기, 숫자 붙이기, 대소문자 변경 등…
우분투에서는 파일 이름 일괄 변경 프로그램은 찾지 못했지만
rename 명령어, find 명령어를 쉘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변경한다는 것을 검색을 통해 알았는데 쉘스크립트를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대한 글, 문서는 찾지 못했습니다.
이름변경 프로그램이나 rename 스크립트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서, 글이 있다면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 스크립트에 대해 찾는 중 bash 스크립트 작성이라는 문서를 찾았습니다.
우분투 프로그램 중에 bash라는 프로그램이 있는 것도 확인했는데 이 bash라는 것의 정체는 무엇이지요?
그리고 리눅스를 이해하고 배우기 위해 추천하는 문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color=#0000FF:1cn835f0]hwp[/color:1cn835f0]
xp에서 글을 쓰거나 프린트할 내용이 있을 때, 대부분을 한글로 작성했습니다.
이 hwp 파일을 우분투에서 읽어 들이고 편집하려면 어떤 프로그램을 써야 하나요?
아직 오피스 관련 프로그램은 사용해보지 않아서 관련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모르겠어요.
문서 작성에는 lyx가 최고라는 글이 있어 이 프로그램과 kile을 설치하긴 했습니다. ;;;;
우분투에서 괜찮은 문서 작성 프로그램과 hwp 파일을 변환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color=#0000FF:1cn835f0]3벌식 타자 연습 프로그램[/color:1cn835f0]
언젠간 꼭 해보고 싶었던 것 중 하나가 리눅스 사용이었고
다른 하나는 3벌식 자판입니다.
이번에 우분투를 사용하면서 3벌식이 다시 머릿속에서 스물스물 기어나오네요.
3벌식 연습에 관련하여 검색해봤지만 가장 근접한 해답은 에뮬레이터로 날개셋 연습을 이용하는 것이었습니다.
우분투에서는 3벌식 자판 연습 프로그램이 없는건가요?
질문이 많네요… 정리도 안되고… ^^;;;
제가 검색을 통해 알아보려고 했지만 아는 만큼 보인다고,
어떤 해답처럼 보이는 글도 배경지식이 없으니 외계어로 밖에 보이지 않고
어떤 문제에 대해서는 문제만 있고 해답은 없는 경우도 있어
제겐 한계가 있는 물음을 적었습니다.
가르침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