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 동안 우분투를 사용하면서 궁금함

꾸준히 우분투를 사용하진 않고, 멀티부팅으로 xp와 우분투를 번갈아 사용했습니다.

xp를 사용하면서
‘어라? 이 정도 사용 용도라면 우분투를 사용해도 되는데?’ 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우분투에 익숙하지 않고 윈도우에서 주로 사용하던 프로그램과 습관을 바로 대체하기 어려운 점이 있네요.

[color=#0000FF:1cn835f0]* smplayer[/color:1cn835f0]

xp에서는 kmp를 사용합니다. 세세한 조정이 그 장점이라고 하는데, 실제로는 그 기능도 모르고 사용하는 기능도 많지 않아서 그 장점을 크게 느끼진 못합니다. ㅡㅡ;;
smplayer의 기능은 제가 주로 사용하는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어 맘에 딱 듭니다.

kmp에서 사용했던 자막의 세부설정과 같은 kmp의 다양한 조정이 아쉽긴 합니다만
앞 뒤 이동에 세가지 시간 이동이 있는 것은 smplayer의 세세한 조정이라
세부 설정에 있어 어떤 플레이어가 더 좋다고 말할 수는 없네요.

우분투에서 동영상 플레이어를 사용할 때 조금 불안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1. 영화 보는 중 마우스나 키보드 동작이 없으니 스크린 세이버가 작동하네요.
    검색을 통해 해결책은 찾아 시도해봤지만 여전합니다. 해결되지 않은 버그인지?

  2. 영화, 드라마 등을 보는 중간에 멈추거나, 시간 이동을 할 때 멈추는 증상이 있습니다.
    이때 키를 이용하여 앞 뒤로 다시 옮겨주거나 시간 스크롤버튼을 눌러줘야 다시 재생됩니다.
    동일한 영상을 xp에서 볼 때 이상이 없었으니 파일 문제는 아닙니다.

  3. 자막 싱크를 단축키로 맞춰줄 수 있는데, 이 때 시간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표시되지 않으니 조금 불편하네요. (그냥 불편한 정도…)

[color=#0000FF:1cn835f0]* 파일 검색[/color:1cn835f0]
xp에서는 everything을 사용했습니다.
인덱스를 만들어 검색어를 입력하는 즉시 파일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이 상당히 편했습니다.

이런 기능이 있는 검색 프로그램이 우분투에 있는지요?

검색을 통해 알아보니 패널 추가에서 '데스크바’를 이용하면 인덱스를 사용해 빠른 검색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패널 추가에 데스크바 기능이 없습니다.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에서도 deskbar 라는 프로그램이 없네요.

  • 노틸러스 혹은 다른 파일관리자
    xp에서 dopus라는 파일관리자를 사용했는데요. (암흑가 버전… 부끄부끄)
  • 토탈커맨더를 이용해보려 했지만 dopus가 더 편한 것 같아 적응하지 못했습니다.

우분투에서는 터미널에서 mc, gui에서 조금 갈리는 것 같지만 컹커러를 많이 이용하는 것 같네요.

  • KLDP 검색에서…
  • 사용할 수 있으면 하는 기능.
    mc처럼 창기능과 터미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기능
    듀얼 창 - 파일의 복사, 이동의 편리함
    노틸러스의 폴더 열기로 여러 폴더 내 파일 선택
    사이드 창의 트리 기능
    폴더 색상 지정
    폴더 북마크
    탭 설정과 탐색기 종료 후 탭 기억

이 정도를 만족하는 파일 관리자가 있을까요?
다른 분들께선 주로 어떤 파일 관리자를 사용하시나요?

[color=#0000FF:1cn835f0]* 톰보이의 메모가 상당히 좋네요.[/color:1cn835f0]
가끔 글이 드래그 되지 않을 때가 있네요.
글자의 속성지정, 복사 등이 안되요.

지금도 그러한데, 이것이 톰보이의 오류인지 우분투의 오류인지 헷갈리는 것이…
파이어폭스에서 가끔 마우스 오른쪽 버튼(메뉴)이 안되는 경우가 있어 같은 증상이 아닐까 싶어요.

파이어폭스의 경우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트리 스타일 탭’이라는 부가기능의 탭 감추기/보여주기가 안되거든요.

톰보이 오류나, 파이어폭스 오른쪽 클릭이 안되는 (지금과 같은) 경우
혹시나 싶어 시스템 감시를 살펴봐도 메모리는 부족하지 않아요.

  • 메모리 510/1001, 스왑 2.3/980

[color=#0000FF:1cn835f0]* amarok 1.4[/color:1cn835f0]
amarok 2에 대한 불만이 많은 글을 읽기도 하고, 2를 설치했다 사용법을 몰라 지우고 1.4를 새로 설치했습니다.
이 역시 상당히 맘에 드네요.

xp에서는 알송->코원미디어->푸바 이렇게 사용했는데 모두 맘에 들진 않았습니다.

알송은 너무 간단한 기능,
코원미디어는 무겁기도 하고 음악 파일 설정이 제대로 저장되지 않는지 파일을 새로 읽을 때마다 리셋되어서 불만
푸바는 알게 된지 얼마 되지 않아 설정을 익히기도 어려웠고, 제가 원하는 스킨을 찾지 못했습니다.

amarok에 대해서는 아직 익숙하지 않지만, 실시간 가사 스크립트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http://barosl.com/blog/entry/amarok-live-lyrics

여기서 스크립트를 받아 설치, 실행했는데 창만 뜨고 아무것도 나오지 않네요.

다른 설정 방법이 있는지,
amarok 왼쪽 가사창에서 가사를 볼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lrc 나 txt 파일 등으로 가사를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color=#0000FF:1cn835f0]* rename[/color:1cn835f0]
파일 일괄변경을 사용하는 경우는 주로 음악 앨범의 파일을 한번에 수정해 주는 경우인데
xp에서는 dark namer, wildren을 이용했습니다.
특정 단어 변경, 앞 혹은 뒤에 문자열 붙이기, 숫자 붙이기, 대소문자 변경 등…

우분투에서는 파일 이름 일괄 변경 프로그램은 찾지 못했지만
rename 명령어, find 명령어를 쉘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변경한다는 것을 검색을 통해 알았는데 쉘스크립트를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대한 글, 문서는 찾지 못했습니다.

이름변경 프로그램이나 rename 스크립트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서, 글이 있다면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 스크립트에 대해 찾는 중 bash 스크립트 작성이라는 문서를 찾았습니다.
    우분투 프로그램 중에 bash라는 프로그램이 있는 것도 확인했는데 이 bash라는 것의 정체는 무엇이지요?

그리고 리눅스를 이해하고 배우기 위해 추천하는 문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color=#0000FF:1cn835f0]hwp[/color:1cn835f0]
xp에서 글을 쓰거나 프린트할 내용이 있을 때, 대부분을 한글로 작성했습니다.
이 hwp 파일을 우분투에서 읽어 들이고 편집하려면 어떤 프로그램을 써야 하나요?

아직 오피스 관련 프로그램은 사용해보지 않아서 관련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모르겠어요.
문서 작성에는 lyx가 최고라는 글이 있어 이 프로그램과 kile을 설치하긴 했습니다. ;;;;

우분투에서 괜찮은 문서 작성 프로그램과 hwp 파일을 변환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color=#0000FF:1cn835f0]3벌식 타자 연습 프로그램[/color:1cn835f0]

언젠간 꼭 해보고 싶었던 것 중 하나가 리눅스 사용이었고
다른 하나는 3벌식 자판입니다.
이번에 우분투를 사용하면서 3벌식이 다시 머릿속에서 스물스물 기어나오네요.
3벌식 연습에 관련하여 검색해봤지만 가장 근접한 해답은 에뮬레이터로 날개셋 연습을 이용하는 것이었습니다.
우분투에서는 3벌식 자판 연습 프로그램이 없는건가요?

질문이 많네요… 정리도 안되고… ^^;;;

제가 검색을 통해 알아보려고 했지만 아는 만큼 보인다고,
어떤 해답처럼 보이는 글도 배경지식이 없으니 외계어로 밖에 보이지 않고
어떤 문제에 대해서는 문제만 있고 해답은 없는 경우도 있어
제겐 한계가 있는 물음을 적었습니다.

가르침을 주세요~:heart:

파일 이름 변경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그냥 Thunar을 깔아서 사용하시는 걸겁니다. Xfce의 파일 매니저인데 그 기능이 추가되어 있지요. 파일 이름 변경만 하는데 파일 메니저를 하나 더 까는건 좀 과다한 감도 들지만 개인적으로는 아직 더 간단한 방법은 찾지 못했습니다.

Thunar에서 원하는 파일들을 선택>우클릭 해서 파일 이름 변경을 선택해 주시면 이름 변경 옵션창이 뜹니다. 다른 유틸리티를 사용하신 경험이 있으면 별로 다르지 않을거에요

SMPlayer에서 플레이백이 멈추는 현상 말인데… 혹시 사용하시는 그래픽 카드가 어떻게 되시나요? 제 경우는 ATI에서만 그런 일이 일어나는데…

smplayer가 사용하는 mplayer의 버전이 낮을 경우, 멈추는 현상이 생깁니다.
(우분투에 기본 포함된 mplayer버전이 좀 오래된 것입니다)
ppa 저장소를 추가해서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면 고쳐집니다.

https://launchpad.net/~rvm/+archive/smplayer https://launchpad.net/~rvm/+archive/mplayer

hwp의 경우는 wine으로 hwp를 실행하시거나, 리눅스버전 hwp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은 방법일거 같네요.
wine으로 실행할경우 조금 느리지만, hwp 97버전의 경우는 가벼워서 꽤 쓸만한 것으로 압니다.

  • Smplayer
  1. SMPlayer의 화면 보호기 비 활성화 옵션이 켜있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이 옵션이 켜있는데도 관련 문제가 발생한다면 ‘입력이 없는 상태일 때 화면 보호기 켜기’ 설정을 아예 해지해주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attachment=2:1d281rf2]Screenshot.png[/attachment:1d281rf2]
    [attachment=1:1d281rf2]Screenshot-1.png[/attachment:1d281rf2]

  2. mplayer는 자막싱크를 맞출 때 시간이 원래 표시되는게 정상입니다.(ms 단위긴 하지만-_-) 그렇지만 smplayer에서는 OSD 설정이 기본적으로 해제되어있죠. 이럴 땐 옵션 - OSD에서 Subtitle Only 이외의 값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attachment=0:1d281rf2]screenshot1.png[/attachment:1d281rf2]

  • 파일 검색

말씀하신 프로그램은 beagle(찰스 다윈이 연구를 위해 타고나갔던 배 이름)이라는 패키지로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이 패키지는 원래 우분투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있었는데 CPU 점유율 문제가 계속 보고되어서(사실 인덱싱을 하니 어쩔 수 없습니다만) 삭제되었습니다.

  • rename

음악 파일의 rename이라면 EasyTag 같은 태그 프로그램을 사용해보시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물론 태그 정리가 우선 되어야합니다)

[color=#008000:3cm8tvuw]Vulpes

파일 이름 변경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그냥 Thunar을 깔아서 사용하시는 걸겁니다.
혹시 사용하시는 그래픽 카드가 어떻게 되시나요? 제 경우는 ATI에서만 그런 일이 일어나는데…[/color:3cm8tvuw]

참치… 의 이름 변경은 제가 사용하기 딱 맞는 기능이 었습니다.

  • 제 로망은 글자만 있는 터미널에서 외계어를 써가면서 ‘후훗~ ^0^v’ 이렇게 하는 것이지만… 만족합니다.

사이드바의 폴더를 트리형식으로 보는 기능이 좋은데, 노틸러스에서는 불가능한가요?

그래픽 카드는 Geforce 7600 GT입니다

[color=#008000:3cm8tvuw]draco

smplayer가 사용하는 mplayer의 버전이 낮을 경우, 멈추는 현상이 생깁니다.
(우분투에 기본 포함된 mplayer버전이 좀 오래된 것입니다)
ppa 저장소를 추가해서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면 고쳐집니다.

hwp 의 경우는 wine으로 hwp를 실행하시거나, 리눅스버전 hwp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은 방법일거 같네요.
wine으로 실행할경우 조금 느리지만, hwp 97버전의 경우는 가벼워서 꽤 쓸만한 것으로 압니다.[/color:3cm8tvuw]

https://help.ubuntu.com/community/SMPlayer

Optional Additional Installation Instructions: I. PPA SMPlayer Packages
The SMPlayer and other related deb packages available in the Ubuntu repositories are usually not the most up to date. If you wish to install the latest packages then you may access them from the Ubuntu PPA repositories.
Add the following software sources using the Synaptic Package Manager by accessing in turn Settings from the top menu, Repositories, Third-Party Software and Add:

[color=#FF8000:3cm8tvuw]deb http://ppa.launchpad.net/rvm/smplayer/ubuntu jaunty main
deb-src http://ppa.launchpad.net/rvm/smplayer/ubuntu jaunty main[/color:3cm8tvuw]

Open a terminal and type:

[color=#FF8000:3cm8tvuw]sudo apt-key adv --recv-keys --keyserver keyserver.ubuntu.com E4A4F4F4[/color:3cm8tvuw]

Press Enter and type your administrator password and press Enter again.
Run the Update Manager from the System Menu by choosing the Administration Sub-Menu.
Once the update process is complete you will have the latest SMPlayer and related deb packages installed.

In case you have opted to set up the SMPlayer PPA software sources before installing SMPlayer then do not use the Update Manager route. Instead follow the steps given in the Installation Instructions section above after setting up the SMPlayer PPA software sources.

Optional Additional Installation Instructions: II. PPA MPlayer Packages

The MPlayer and other related deb packages available in the Ubuntu repositories are not the most up to date. If you wish to install the latest packages then you may access them from the Ubuntu PPA repository i.e. https://launchpad.net/~rvm/+archive/mplayer
Add the following software sources using the Synaptic Package Manager by accessing in turn Settings from the top menu, Repositories, Third-Party Software and Add:

[color=#FF8000:3cm8tvuw]deb http://ppa.launchpad.net/rvm/mplayer/ubuntu jaunty main
deb-src http://ppa.launchpad.net/rvm/mplayer/ubuntu jaunty main [/color:3cm8tvuw]

Open a terminal and type:
[color=#FF8000:3cm8tvuw]sudo apt-key adv --recv-keys --keyserver keyserver.ubuntu.com 03E02400[/color:3cm8tvuw]

Press Enter and type your administrator password and press Enter again.
Run the Update Manager from the System Menu by choosing the Administration Sub-Menu.
Once the update process is complete you will have the latest MPlayer and related deb packages installed.

In case you have opted to set up the MPlayer PPA software sources before installing MPlayer then do not use the Update Manager route. Instead follow the steps given in the Installation Instructions section above after setting up the MPlayer PPA software sources.

여기서 그대로 따라 했습니다.
deb와 deb-src의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어떤 것은 소스코드라고 나오는데… 각각이 다른 것인가요?

viewtopic.php?p=36968 viewtopic.php?p=32335 http://www.youtube.com/watch?v=pXxk7V2JdEU

ppa 저장소란 것도 어질어질 거리네요…
우찌 이리 많은 건지… 키는 또 뭔지…
헤롱헤롱~

[attachment=0:3cm8tvuw]업데이트.png[/attachment:3cm8tvuw]

업데이트 할 때마다 이런 경고가 나오는데 관련 저장소를 삭제해야 하나요?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color=#008000:3cm8tvuw]떠돌이

SMPlayer의 화면 보호기 비 활성화 옵션이 켜있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이 옵션이 켜있는데도 관련 문제가 발생한다면 ‘입력이 없는 상태일 때 화면 보호기 켜기’ 설정을 아예 해지해주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smplayer에서는 OSD 설정이 기본적으로 해제되어있죠. 이럴 땐 옵션 - OSD에서 Subtitle Only 이외의 값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말씀하신 프로그램은 beagle(찰스 다윈이 연구를 위해 타고나갔던 배 이름)이라는 패키지로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이 패키지는 원래 우분투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있었는데 CPU 점유율 문제가 계속 보고되어서(사실 인덱싱을 하니 어쩔 수 없습니다만) 삭제되었습니다.

음악 파일의 rename이라면 EasyTag 같은 태그 프로그램을 사용해보시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color:3cm8tvuw]

'화면보호기 비활성화 옵션’이 켜져있고, 화면보호기에서 ‘입력이 없는 상태일 때 화면 보호기 켜기’ 설정을 해제했습니다.
OSD 설정을 해주니 자막을 조정할 때 시간이 나오는군요!
beagle은 문제가 있다고 하니… ㄷㄷㄷㄷㄷ 떨려서 설치해 볼 엄두가 나질 않습니다.
Thunar로 이름을 변경하고 EasyTag로 태그를 수정하였습니다.

[attachment=1:3cm8tvuw]easytag.png[/attachment:3cm8tvuw]

mp3tag에서 불만이었던 정규식이 맞지 않은 mp3가 있을 때 수정 안되는 것이 여기서는 그냥 넘어가니 좋네요.
하지만 일부 태그를 수정할 경우 옆에 컨트롤박스를 하나만 선택해서 저장하는 것 같아 불편해요.

제가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

[color=#BFBF00:3cm8tvuw]가수이름 [앨범] 트랙 곡명 (피쳐링 등의 정보).mp3[/color:3cm8tvuw] 를 정규식을 통해 태그로 변환하는 것인데

파일명에 들어가지 않는 발매년도, 장르 등은 직접 수정했거든요.
이런 태그들을 한꺼번에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color=#FF8000:3cm8tvuw]Q. 새롭게 생겨난 의문점[/color:3cm8tvuw]

제 스크린샷을 보니, 스크린샷에는 글꼴의 AA와 같은 효과가 적용이 안되는 것 같네요.
다른 분들 스크린샷에서 이런 글꼴을 보면

‘오~ 고수는 역시 달라!! 가독성을 고려한 글꼴을 쓰는구나’
이렇게 생각했거든요.

  • 여러 글을 인용하는 방법을 몰라 수동 인용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세벌식 타자 연습 문제는
wine으로 날개셋타자연습기를 설치하셔서 쓰시면 됩니다.
단, 최신버전은 문제가 많으니 3.0 이하를 사용하세요.
3.0은 계정등록의 문제가 있으니, 등록을 안하고 써야 되고
2.6은 계정등록까지 되는 버전입니다.

(하위 버전은 김용묵 개발자님이 업로드를 안하시니까, 네이버 자료실에서 구해야 합니다.)
요즘은 네이버 자료실도 ie가 아닌 환경에서도 사용할수 있습니다. ㅎㅎ

[quote="bartsesang":21p2km5d]

[color=#0000FF:21p2km5d]hwp[/color:21p2km5d]
xp에서 글을 쓰거나 프린트할 내용이 있을 때, 대부분을 한글로 작성했습니다.
이 hwp 파일을 우분투에서 읽어 들이고 편집하려면 어떤 프로그램을 써야 하나요?

아직 오피스 관련 프로그램은 사용해보지 않아서 관련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모르겠어요.
문서 작성에는 lyx가 최고라는 글이 있어 이 프로그램과 kile을 설치하긴 했습니다. ;;;;

우분투에서 괜찮은 문서 작성 프로그램과 hwp 파일을 변환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quote:21p2km5d]

HWP는 참 답없지요. 저같은경우에는 Wine+한글2010(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가게에서 파는 디스크 버전입니다. ESD는 안됩니다.)
로 해결봤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은 그냥 네이버워드나 싱크프리(한컴에서 운영합니다.)에서 보는 걸 해결하더군요. 편집이라면…팁게시판에서 제가 올린것을 보세요. Wine에 패치까지 하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프린트는 되기는 되지만 직접 프린트는 좀 품질이 별로 안 좋게 나와서 docx로 저장 후에 오픈오피스로 프린트를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심지어 PDF도 안됩니다. 아이러니하게도 ODF는 와인이 뻗습니다.)

[img:21p2km5d]http://cfile235.uf.daum.net/original/18124B4B4D3C3A91065E1F[/img:21p2km5d]

제일 좋은 방법이라면…한글2008같은 리눅스용 한글이 우분투를 정식으로 지원하는 거지만…(지금은 아시아눅스만 정식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우분투에서는 약간의 간단한 삽질이 필요합니다.)

[quote="bartsesang":3iszzsbd]ppa 저장소란 것도 어질어질 거리네요…
우찌 이리 많은 건지… 키는 또 뭔지…
헤롱헤롱~[/quote:3iszzsbd]
ppa저장소라는건 프로그램 설치파일을 올려놓은 자료실이라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그리고 '키’라는 건 ‘인증키’ 입니다. 보안을 위한건지 사용자 인증을 위한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마 둘중 하나 혹은 둘다의 기능을 할거라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ppa 저장소는 우분투 버전별로 패키지를 구분 해놓습니다.

[quote="bartsesang":3iszzsbd]deb http://ppa.launchpad.net/rvm/smplayer/ubuntu jaunty main
deb-src http://ppa.launchpad.net/rvm/smplayer/ubuntu jaunty main[/quote:3iszzsbd]
이 저장소는 jaunty, 우분가 최초로 나온지 10번째로 나온 버전이군요. 구버전 이라고 보셔도 됩니다. 따라서 맨끝의 jaunty를 10.10이라면 maverick으로 10.04 LTS 라면 lucid 로 바꾸어 '시스템-관리-소프트웨어 소스’에 추가해 주시고

[quote="bartsesang":3iszzsbd]sudo apt-key adv --recv-keys --keyserver keyserver.ubuntu.com E4A4F4F4[/quote:3iszzsbd]
를 터미널에 입력하셔서 인증키를 받아오시면 됩니다.

9.10(맞나?) 이후 버전에선 터미널에서

[code:3iszzsbd]sudo apt-add-repository ppa:/(*은 임의의 값)[/code:3iszzsbd]
명령어로 손쉽게 저장소를 추가하실수 있습니다.

댓글이 자꾸 달리는데 1년전 글을 재활용 하시는 거죠?
날짜 착각은 아니시겠죠? ;)

bartsesang님 하고 IRC에서 1년전 한 20개 정도 우분투 관련 답변해주던 기억이 나는군요
바트 그림(아바타) 옆을 투명하게 해서 선물로 주었는데 작년 봄 이후 안보이시는 군요

[quote="강분도":3q3u0b4u]댓글이 자꾸 달리는데 1년전 글을 재활용 하시는 거죠?
날짜 착각은 아니시겠죠? ;)

bartsesang님 하고 IRC에서 1년전 한 20개 정도 우분투 관련 답변해주던 기억이 나는군요
바트 그림(아바타) 옆을 투명하게 해서 선물로 주었는데 작년 봄 이후 안보이시는 군요[/quote:3q3u0b4u]
네크로맨서는 실제 있는 직업이라니까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