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정보와 관련해서

요즘 같아서는 하루에 하나씩 질문을 올릴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좀 귀찮으시더라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하나는 제가 상단 패널에 ‘시스템 정보’ 항목을 추가해서 사용중이거든요.
주로 CPU를 모니터링 하는건데 이 항목을 보다보니 궁금한 것이 생겨서요.
시스템 감시 창을 열어서 자원 탭을 보면 메모리 및 스왑 사용기록이 나옵니다.
그런데 여기서는 메모리의 18%(178MiB)를 상용 중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터미널을 열어서 free -mt라고 쳐서 메모리를 확인해보면 443을 사용 중이라고 합니다.
둘의 차이가 생각보다 커서 어느쪽이 맞는 건지 확인할 수가 없네요.
다행히 둘 다 스왑은 사용하고 있지 않다고 나오지만요.

또하나 위에 메모리를 표시하는 기호로 MiB는 어떻게 다른 건가요?
내용으로 보면 Mb랑 똑같은 거 같은데요.
처음보는 기호라 궁금하네요.

또 혹시 넷북 리믹스의 첫 화면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없나요?
넷북에서도 AWN를 쓸 수 있는지 알고 싶어서요.

마지막으로 요사이 넷북 리믹스를 쓰면서 좀 화면이 밝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다른 컴퓨터와 비교해보면 색차이는 명확한데요.
아마 넷북들이 주로 인텔 그래픽 카드를 써서 드라이버를 충분히 지원해주지 못하는구나 싶습니다.
혹시 화면의 컨트라스나 브라이트를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있나요?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찾아봐도 작동하는 걸 못 찾겠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위에 제가 남긴 MiB 기호와 관련해서 답변이 있길래 남겨봅니다.

http://k.daum.net/qna/view.html?qid=3Yi4C&q=mib

[code:i55ud5wo]$ free -m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3763 1840 1923 0 129 636
-/+ buffers/cache: 1075 2688
Swap: 5734 0 5734
[/code:i55ud5wo]
진짜 사용량을 알고 싶으시면 -/+ buffers/cache 부분을 봐야 할 것 같아요.
used 아래에 있는 건 buffers와 cached가 포함된 거고요,
이것들은 다음 사용에 속도를 높이려고 가지고 있는 것이어서 메모리가 필요하면
반환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검색해 보니 http://www.codeforum.net/blog/pitoosung/175

MiB와 MB에 대해서는 위키에도 언급이 있습니다.

http://ko.wikipedia.org/wiki/%EB%B0%94% ... 4%ED%8A%B8

제가 알기로는 컴퓨터는 0과 1의 2진수로 처리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1000단위를 매길 때 2의10승(=1024)을 단위로 삼았습니다.
그래서 1킬로바이트는 1024바이트, 1메가바이트는 1024킬로바이트=1048576바이트였는데요…
이를 줄여서 KB, MB, … 로 표시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 디스크 용량을 표현할 때 1KB라 하면 말 그대로 1000배, 1000바이트를 의미하기 시작했죠.
보다 인간적인 표현에 맞춘 것이기도 하고(이젠 1,2바이트의 용량은 의미가 없는 시대이니까),
저장장치 업체에서 용량이 커보이게 하기 위한 상술로도 사용되었습니다.
1TB 하드디스크라면 1024GB 용량을 가지는게 아니라 1000GB의 용량을 가지는…
(그래서 80GB 하드를 포맷하면 최대 용량이 8010001000*1000바이트 = 대략 74GB. 왠지 사기당한 느낌?)

이렇게 혼용되서 쓰이다보니 1KB라고 스펙을 적으면 1024B인지 1000B인지 헷갈리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2의 제곱으로 용량이 표현되는 "이진 접두어"가 생겨났습니다. (1999년도 IEC 표준으로 제정)

http://ko.wikipedia.org/wiki/%EC%9D%B4% ... 0%EC%96%B4

되도록 표준을 따르는 리눅스 세상은 새로운 표준 표기법을 적용하기 시작했구요.
이미 고대부터 표준화되어 사용되는 "SI 접두어"는 원래 의미로, 1KB(킬로바이트)는 1000B로, 돌아갔습니다.
그래서 1KiB(키비바이트)는 1024B이고, 1KB(킬로바이트)는 1000B.
대게의 오픈소스 어플리케이션들은 "이진 접두어" 표현을 지원합니다만 MS윈도우 세상에서는 아직도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