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모드로 로그인하기 도와주세요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갈아탈려고 하다가 겁이나서
vm웨어에서 돌리고있는중입니다.
그런데 자꾸 막힙니다. 설치부터 파티션 나눠주는거 부터 몰라서 하루종일 이리저리 찾아보다가
루트, 스왑, 홈 이렇게 세개만 주고 해결하고
다음날 한글이 안써져서 이리저리 또 찾고 나비로 설정하는거 보고 해결하고
해결했더니 부팅할때마다 왼쪽상단에 한글 팔레트 뜨고 그거 없애고 싶은데 모르겠고
또 리눅스 네이트온 다운받아서 설치하려는데
rpm -Uvh nateon-1.0.1-275.fc12.x86_64.rpm
이렇게 입력하니까
rpm please use alien to install rpm packages on Debian, if you are really sure use – force-debian switch. See READEME. Debian for more details.
이러면서 설치안되고
폴더하나 만들어서 공부좀 하려고 했는데 퍼미션 걸려서 폴더 안만들어지고
관리자 모드 들어가고 싶어서 검색했는데 나왔길래 따라해보다가
중간부분이 또 나랑틀리고.
왜케 험난한거죠. 맨땅에 해딩하려니 너무 답답하네요.
일단 어떤 리눅스를 사용하고 계신지 분명히 말씀해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우분투 포럼이니 당연히 우분투를 사용하고 계실 것 같지만 말이지요-
일단 제가 답할 수 있는것에만 답을 드리자면,
우분투는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로서 무른모(응용프로그램)을 패키지 파일로 설치하시려면
확장자이름이 deb인 파일을 설치하셔야 합니다.
현재 네이트온을 설치하려고 하시는 rpm은 레드햇계열의 패키지 파일이구요-
포럼이나, 구글에, ‘우분투 <version> 네이트온 설치’ 혹은 '우분투 <version> 피진 네이트온 설치’라고 검색해보시면 많은 블로그를 참조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관리자 모드라함은 root권한이라고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콘솔(터미널)에서
$sudo -i
를 입력하시면, 프롬프트가 #으로 바뀌면서 root권한으로 제어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아직 많이 부족한 초보의 도움이었습니다!!!
리눅스는 그 배포판에 따라 특징이 서로 다릅니다.
참고하신 문서들이 우분투가 아니었나 봅니다.
우분투는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으로서, 윗 분 말씀처럼 데비안 패키지 시스템(deb)을 사용합니다.
RPM 패키지는 페도라, 레드햇, 오픈수세 등에 쓰이고요.
alien 패키지를 설치하시면 RPM을 deb로 변환할 수도 있긴 합니다만, 그다지 추천할 방법은 되지 않습니다.
우분투가 DistroWatch.com 등에서 최고의 데스크톱 리눅스 배포판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소프트웨어들이 deb로 패키징되어 배포되고 있는 중이며, 이들 중 선별된 프로그램들은 우분투 공식 저장소에서 편하게 내려 받아 설치하실 수 있으므로, 굳이 RPM 등의 다른 패키징 시스템으로 패키징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또한 우분투는 보안적인 이유로 root(관리자) 로그인을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 말은, root로 로그인하기 위한 방법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 아니라, 디폴트로는 root의 암호를 생성하지 않음으로써 root로 로그인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그러나 윗 분이 언급하신 sudo를 이용하면 root 권한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다만 'sudo -i’를 통해 완전히 root 쉘로 전환하기 보다는 'sudo <명령어>'를 통해서 유저 쉘에서 root 권한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을 더 자주 사용합니다. sudo를 사용하려면 현재 로그인한 user 계정이 sudo 유저에 포함이 되어야 하며, 우분투에서는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sudo를 사용하면 암호를 묻는데, 이 암호는 root 암호가 아니라 유저의 암호입니다. sudo에 포함된 유저들은 본인의 암호로 인증하면 root 권한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참고하시라고 댓글 답니다. 더 자세한 것은 구글링을 하시거나 본 포럼을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