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민영화 국무회의 통과

보건노조, 원격의료 등 의료법 개정안 통과에 반발

“사실상 영리병원 허용하는 병원경영지원사업 반대”

이철영 기자 paris177@medifonews.com
등록일: 2010-04-08 오전 9:33:45

보건노조는 지난 6일 의료법일부개정법률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한 것에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지난 6일 통과된 의료법일부개정법률안에는 의사-환자간 원격의료, 의료법인 부대사업 범위 확대(병원경영지원사업 포함), 의료법인 합병절차 마련 등을 담고 있다. 국무회의를 통고한 의료법일부개정법률안은 국회 의결 절차만을 남겨두고 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8일 개정안이 그대로 시행될 경우, 의료기관의 수익 추구는 기승을 부리고 의료양극화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보건노조는 “보건복지부는 ‘불필요한 규제를 대폭 완화함으로써 의료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미명하에 의료민영화 독소조항으로 구성된 의료법 개정을 시도하며 그야말로 ‘불필요한 사회적 논란’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먼저 보건노조는 의료인-환자간 원격의료 허용 등 의료법일부개정법률안이 담겨있는 세가지 내용에 모두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보건노조는 “의료인-의료인간의 원격의료에서 의료인-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원격의료 허용은 단순히 원격의료 주체 변화가 아닌 대형재벌병원 위주로 의료공급체계를 전환하려는 시도”라며 “이는 통신업체와 연계한 병원경영지원회사 등장과 재벌병원들이 병원경영지원회사를 통해 의료를 독과점화 한다는 시나리오”라며 의혹을 제기했다.

또, 의료인-환자간 원격의료 허용으로 의료전달체계 붕괴, 의료사고 문제 등 원격의료가 가져올 문제점에 대한 충분한 대책마련이 없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보건노조는 “사실상 의료민영화의 완성판으로 보이는 원격의료를 서두르는 것은 환자의 입장보다 대형재벌병원의 이윤창출을 위한 것이라는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보건노조는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허용 범위가 급기야 병원경영지원사업까지 확대되는 것도 문제삼았다.

보건노조는 “병원경영지원사업(MSO)은 의료행위와 관계없는 병원경영전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의료분야에서 병원경영지원사업 허용은 단순히 경영지원의 문제가 아닌 영리병원의 우회로가 된다는 것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고 해석했다.

즉, 무분별한 부대사업 허용은 의료서비스 제공이라는 의료업 본연의 임무보다 환자들을 상대로 ‘돈벌이’ 장사를 하겠다는 것으로 비영리인 의료법인의 설립 취지와도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

또한, 보건노조는 의료법인 인수합병을 허용한다는 것은 의료법인을 사회적 자산이 아닌 사적 소유물로 간주하고 의료법인의 공공성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보건노조는 “의료법인의 합병을 허용하게 되면, 대형의료자본이 주변의 중소병원을 인수 합병해 특정지역에서 독점적 위치를 가지게 될 것”이라며 “특히 지방 중소병원들의 경우 생존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몰릴 것이며 수도권 중심으로 대형재벌병원만 생존하고 의료전달체계는 붕괴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보건의료노조는 의료법 개정 저지를 위해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보건의료노조는 “의료법 개정을 비롯한 각종 의료민영화 악법에 반대하는 시민사회단체 국민들과 연대해 의료법 개악 저지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면서 “노조는 보건복지위원회 국회의원 면담 등 대국회 투쟁, 6월 지방선거 국면에서 의료법 등 의료민영화의 문제점을 알려 전국민적인 반대 여론 조성 등 의료민영화 악법 저지를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http://www.medifonews.com/news/article.html?no=63205

아… 이제 건강관리 해야겠군요… 돈 굳힐려면… OTL

복지사회따윈 없는거다…

후대가 감당하지 못할 일들을 한꺼번에 밀어붙이고 있네요. 당장은 괜찮겠지만 앞으로가 걱정입니다.

앞으로 이땅에 살아갈 사람들에게 부끄러운 세대로 남겨질거 같습니다.

대규모로 자연이 훼손되고, 사회보장이 줄어들고, 권력과 부의 집중화가 더욱 굳건해지는

이세대의 책임은 어느 정당하나, 어느 대통령하나의 책임은 아닌것 같습니다.

사회 구성원들의 어느정도의 동의가 없지않는한 이런일이 생길수는 없으니까요.

인문학의 위기라는 말이 절실합니다. 요즘.

글쎄요… 지금 지지기반이 돈으로 상위 몇% 끌어들인것 외에는 잘못된 정보로 정보력 부족한 나이드신 세대를 속여서 얻어내게 대부분인지라… 젊은 세대가 잘못된 정보를 바르게 알지 못하는건 순전히 본인의 노력부족이지만 나이드신 분들은 한계가 있는 법이니까요.

아…의료실비…100%지원해주는…개인 보험 얼렁 가입해야겠습니다…

미국은 우리 나라 따라오고 싶어하는데;;

우리는 왜 반대로 가는건지;;

오바마 캐어에대해 미국민 과반수 이상이 반대한건 알고 계신지 궁금하네요.
오히려 제 주위에 교육 받은 미국인들은 왜 정부가 개인의 건강에 이래라 저래라 해야하는지 이해를 못하고 있습니다. 태생적으로 미국은 시민이 정부를 감시하는것이며 절대로 정부가 개인의 주권을 침해할수 없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통과된 오바마 보건개혁은 가장 반 미국적이고 반 헌법적인 법안이라는 말을 듣는거죠. 단지 미국에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무언가를 구입해야 합니다. 세금 한푼 안내면서 다른이들이 피땀흘려 번돈을 마치 자기돈 처럼 쓰려는 게으른 시민들때문에 미국은 파산할껍니다. 제대로 세금내는 미국인구는 50%도 안됩니다. 사회주의 모델을 많이 가지고 있는 유럽국가들이 그동안 쌓아온 빚이 얼마인지 연구해 보는것도 의미있을듯 합니다.
당연히 건강관리는 본인이 해야합니다. 과식하고 폭음하고 담배피면서 망가지는 자기 몸을 언제까지 세금으로 낭비할려고 합니까? 정부가 이것저것 관여하면 할 수록 개인의 주권은 침해되는겁니다. 올바른 교육으로 개개인을 개화 시켜서 개개인이 독립적으로 올바른 정신을 가지도록 하면 작은 정부가 구현되는것이고 말도 안되는 비용들이 줄어드는 겁니다. 그렇지만 부패한 정부들은 그걸 원치 않죠. 의식있는 미국 보수 시민들에게 이번 오바마 보건법은 헌법에대한 중대한 도전으로 보여지는겁니다. 그렇다고 대통령의 보험 민영화를 지지하는건 아닙니다. 미국은 이러는대 우린왜? 이런 식의 질문은 각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무시한 1차원적인 접근이라는걸 알려드리고 싶어서 주절 거렸습니다.

[quote="ubtpenguin":20p73i8u][quote:20p73i8u]오바마 캐어에대해 미국민 과반수 이상이 반대한건 알고 계신지 궁금하네요.
오히려 제 주위에 교육 받은 미국인들은 왜 정부가 개인의 건강에 이래라 저래라 해야하는지 이해를 못하고 있습니다. 태생적으로 미국은 시민이 정부를 감시하는것이며 절대로 정부가 개인의 주권을 침해할수 없습니다.[/quote:20p73i8u]

개인의 건강이 있어야 주권이고 뭐고 주장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만… 그리고 주권과 개인의 건강은 별 상관이 없는 것 같군요…

[quote:20p73i8u]그래서 이번에 통과된 오바마 보건개혁은 가장 반 미국적이고 반 헌법적인 법안이라는 말을 듣는거죠. 단지 미국에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무언가를 구입해야 합니다. 세금 한푼 안내면서 다른이들이 피땀흘려 번돈을 마치 자기돈 처럼 쓰려는 게으른 시민들때문에 미국은 파산할껍니다. 제대로 세금내는 미국인구는 50%도 안됩니다. 사회주의 모델을 많이 가지고 있는 유럽국가들이 그동안 쌓아온 빚이 얼마인지 연구해 보는것도 의미있을듯 합니다.[/quote:20p73i8u]

게으른 시민들 때문에 미국이 파산할꺼라면… 많은 유럽 국가들은 훨 예전에 파산하였을 것 같습니다만…

[quote:20p73i8u]당연히 건강관리는 본인이 해야합니다. 과식하고 폭음하고 담배피면서 망가지는 자기 몸을 언제까지 세금으로 낭비할려고 합니까? 정부가 이것저것 관여하면 할 수록 개인의 주권은 침해되는겁니다.[/quote:20p73i8u]

술, 담배로 인한 엄청난 세금을 나라가 걷어가고 있는데… 그 세금 어디다 씁니까? 팔았으면 A/S도 해줘야지요 ^^;;

[quote:20p73i8u]올바른 교육으로 개개인을 개화 시켜서 개개인이 독립적으로 올바른 정신을 가지도록 하면 작은 정부가 구현되는것이고 말도 안되는 비용들이 줄어드는 겁니다.[/quote:20p73i8u]

제가 알고 있는 지식이 맞다면… 스미스 이론 아시죠? 보이지 않는 손이 어쩌고 저쩌고~ 그 때 아마 작은 정부 이론 어쩌고 저쩌고 하다가… 개망~ 뉴딜정책했죠? 댐 짓고 뭐 하고
그 이후로 이론에 따른 작은 정부는 이제까지 없었던 걸로 압니다…

[quote:20p73i8u]그렇지만 부패한 정부들은 그걸 원치 않죠.[/quote:20p73i8u]

잘 아시네용~ 그 부패한 정부가 의료 민영화 하고 온갖 걷는 세금은 오로지 삽질만 할려고 한다는데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quote:20p73i8u]의식있는 미국 보수 시민들에게 이번 오바마 보건법은 헌법에대한 중대한 도전으로 보여지는겁니다. 그렇다고 대통령의 보험 민영화를 지지하는건 아닙니다. 미국은 이러는대 우린왜? 이런 식의 질문은 각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무시한 1차원적인 접근이라는걸 알려드리고 싶어서 주절 거렸습니다.[/quote:20p73i8u][/quote:20p73i8u]

지금의 정부와 그 정부를 미는 나이드신 어르신들에게 통할 수 있는 말이 미국이 안하니 쩜 하지 마라입니다. 모든 국민이 미국을 숭배해서 나온 말이 아닙니다. 1차원적 접근을 해서라도 이해시킬 수 있었으면 참 좋겠습니다…

미국이 어쩌건, 우니라라 문제부터 고민을 하는 게 정석일 듯…
우리나라가 미국처럼 자유민주주의국가도 아니잖아요. ㅎㅎ

일부 제외한 수천만명에게 영향을 줄 법안인데.

[quote="ubtpenguin":39vw9fgu]오바마 캐어에대해 미국민 과반수 이상이 반대한건 알고 계신지 궁금하네요. 오히려 제 주위에 교육 받은 미국인들은 왜 정부가 개인의 건강에 이래라 저래라 해야하는지 이해를 못하고 있습니다. [/quote:39vw9fgu]
주위의 :"교육받은" 미국인들이 아니라 주위의 "republican" 혹은 "conservative"겠죠. democrat/liberal쪽의 의견은 또 달라집니다. 그리고 지금 간과하고 계신게 있는듯 한데 식생활과 운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건강이 있고 그거랑 전혀 상관없는 건강이란게 있습니다. 뭐 건강한 사람은 교통사고 안납니까.

게다가 성인은 자기가 알아서 뭐 기본적인 관리를 할 수나 있다고 하지만 미성년은 뭔 죄랩니까? 제가 어린시절 이야기라 벌써 20년이 지난 케케묵은 이야기긴 합니다만 제대로 거동도 못할정도로 열나고 아파서 병원갔더니 물 마시란 소리 듣고 300불 정도 지불하고 나왔습니다. 감기따위니까 이 정도였지 더 심한 병이면 지불해야 되는 돈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의료보험 민영화는 돈없고 아픈 미성년은 그냥 죽으란 소리밖에 안됩니다.

아울러, 제대로 된 의학 지식이 없는 사람들이 아플때 대비해 화장실 캐비넷에 온갖 약을 다 쌓아놓고 슈퍼마켓 가면 한 아일이 전부 수십가지 약재로 이뤄져 있는것 역시 바람직한 현실이라고는 못 하겠습니다.

덧: 절대로 정부가 개인의 주권을 침해할 수 없다뇨… 이상이겠죠. 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