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적에 본것이지만 로봇쥐가 막혀있는 벽을 스스로 찾아가며 최종 출구로 나가는 경연같은것을 본적이 있습니다만
그런것에 비슷하여 일정한 지점에서 정해진 길을 통해서 최단 경로를 찾아가는 프로그래밍을 한다면
어떤 이론을 기본으로 해야 되는지 (평면에서 찾아가는 것으로 시작점에서 목적지까지 다양한 경로 검색을 통해 최단 경로를 찾는경우)그리고 그런 부분에 가장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어떤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논리적 언어로 LISP이 있다는 것을 들은적도 있고,근간에는 파이썬을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만.
단지 조건상 한 지점에서 최종 한 지점을 찾는 것만이 아니라 여러 출발지점에서 각기 다른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를 찾는 경우는 어떤 이론에서 분석하는지 짧은 지식이나마 알아 두려 합니다.
적용분야는 토목 입니다.
저도 아는 건 하나도 없지만
지인들이 자기네 근황같은거 이야기 하면서 슬쩍슬쩍 내비쳤던 이야기들을 떠올려보자면…
greed 탐색인가 뭔가 vector에 가중치 부가해서 경로탐색하는 거랑
미로에서 분기점을 노드로 하는 트리를 구성해서 깊이우선탐색하는 거랑 있었던거 같습니다.
너무 수박겉핥는 얘기인데다가 쓸모없는 소리라 댓글안달려고했는데 댓글이 하나도 없길래… ㅡㅡ;
저 역시 아는 건 많지 않지만…
마이크로 마우스 대회를 예로 들자면, 탈출하려는 미로의 크기를 미리 알고 시작합니다.
좌수법이나 우수법으로 시작점부터 도착점까지 1차 탐색을 하면서 미로를 2차원 배열에 저장합니다.
그 후에 최단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으로 최단 시간에 미로를 통과합니다.
최단경로 알고리즘에는 다익스트라(Dijkstra)와 플로이드(Floyd) 알고리즘 등이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