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4를 설치했던 공간에
USB 메모리설치방법으로 포멧을 안하고 그대로 9.10을 다시 설치했는데요.
부팅화면이 이렇습니다. 어떻게 된건지…
generic pae 를 선택해야 그래픽 모드로 부팅되고요.
나머지는 텍스트 모드로 되네요.
왜 이렇죠?
10.04를 설치했던 공간에
USB 메모리설치방법으로 포멧을 안하고 그대로 9.10을 다시 설치했는데요.
부팅화면이 이렇습니다. 어떻게 된건지…
generic pae 를 선택해야 그래픽 모드로 부팅되고요.
나머지는 텍스트 모드로 되네요.
왜 이렇죠?
포맷을 안하고 덮어 씌우는 방식으로 설치하셔서 10.04의 커널이 그대로 남아 있었고 9.10을 설치하는 동안 자동으로 이 커널들을 인식해서 메뉴에 등록해 놓은 것 같습니다. 위에 있는 2.6.32 버전의 커널이 10.04에서 설치된 커널일텐데 이 커널로 부팅이 되지 않는 이유는 9.10 설치시에 덮어 씌워진 파일들과 호환이 안되서 그렇지 않을까 짐작이 됩니다.
2.6.31 커널로 부팅이 잘 되신다면 그냥 쓰시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boot 아래에서 2.6.32로 시작하는 파일들을 삭제하고 update-grub 해주시면 메뉴에서도 제거 될 겁니다.
[quote="마잇":3n4thrsz]포맷을 안하고 덮어 씌우는 방식으로 설치하셔서 10.04의 커널이 그대로 남아 있었고 9.10을 설치하는 동안 자동으로 이 커널들을 인식해서 메뉴에 등록해 놓은 것 같습니다. 위에 있는 2.6.32 버전의 커널이 10.04에서 설치된 커널일텐데 이 커널로 부팅이 되지 않는 이유는 9.10 설치시에 덮어 씌워진 파일들과 호환이 안되서 그렇지 않을까 짐작이 됩니다.
2.6.31 커널로 부팅이 잘 되신다면 그냥 쓰시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boot 아래에서 2.6.32로 시작하는 파일들을 삭제하고 update-grub 해주시면 메뉴에서도 제거 될 겁니다.[/quote:3n4thrsz]
답변감사합니다. 권한 문제로 삭제가 안되서 그냥 찝찝해서 새로 설치했습니다.
설치시간이 너무 짧아서 심심하면 재설치 하게 되네요.^^
답변감사합니다.
저도 9.10 -> 10.04 설치 직후 pulp님과 같은 상황을 겪었습니다.
외국 포럼등에서의 대세는 /home(즉 업그레이드/다운그레이드와 상관없이 유지되었으면 하는 개인 파일 등)을 위한 파티션을 따로 두고
업그레이드 등에서는 OS 파티션을 무조건 포맷하고 업그레이드하는 방향을 추천하더라구요//
좋은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