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어폭스에서도 액티브엑스 쓴다

[url:1t8tcda5]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8&aid=0002312481[/url:1t8tcda5]

베라인(VeraIN)이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외환은행을 시작으로
액티브엑스를 쓸 수 없는 브라우저들(파이어폭스, 사파리, 크롬 등)에 적용한다는 것인데,
이게 과연 바른 길로 가는건지…

맥(Mac)하고 리눅스용은 2010년 하반기 목표로 개발중이라는데
과연 개발되면 Wine이나 Cedega 수준은 되는 건지도 궁금하네요.
맥이나 리눅스에서 윈도우 API를 돌리는게 쉬운일이 아닐텐데요…

밑에는 제작사 홈페이지 입니다.
[url:1t8tcda5]http://www.wizvera.com/[/url:1t8tcda5]

흠…전 ActiveX가 필요하면 플러그인으로 IE Tab써왔는데…
이건 다른건가요?

제생각으론 윈도우즈에 돌아가는 브라우저[size=200:mbnp25il][color=#FF0000:mbnp25il]만[/color:mbnp25il][/size:mbnp25il] 그렇게 적용하고 다른 운영체제들 한테는 코딱지나 튕겨 줄것 같은데요…

지금은 곤란하다, 기다려 달라.

마소의 차기 버전에서도 activex가 지원되지 않을때 까지만 기다려 달라.

그때 되면 깔아 쓰겠다. 썅~

홈페이지 들어가 보니 무서운 말이 있군요… MAC Linux 용은 개발중 (프로젝트명 : WizIN, 2010년 릴리즈 예정)

대체 웹을 이용할 때 왜 중간에 뭔가를 계속 끼워넣어야 하는건지 모르겠네요. 이러니 웹브라우저 버전업될때마다, 운영체제 버전업될때마다 난리굿을 치고 맨날 말로만 MS종속적이라고 떠들면서 나아지는건 하나도 없고 말이죠. 설령 우리나라에서 윈도우가 없어지고 우분투가 대세 먹는다고 쳐도 이런 상황이면 6개월마다 호환성 어쩌고 해서 난리칠건 안봐도 뻔합니다.

이럴바에야 차라리 아이폰 식으로 전용 어플을 만들지, 왜 웹을 가장해서 엄한 웹브라우저를 자꾸 건드릴 생각을 하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하여튼 대한민국 IT업계에서 제일 싫어라 하는 쪽을 선정하라면

첫번째 - 웹하드업체. 불법 저작권 컨텐츠로 장사해먹는건 마치 장물아비와 다를바 없다고 생각합니다.
두번째 - 보안업체. 컨텐츠 요소요소마다 끼어들어서 컴퓨터를 느리고 불편하게 하는 1등 공신입니다. (뭐 한편으로는 윈도우 플랫폼을 귀찮게 만들어 인식을 안좋게 하는것도 있겠죠)
세번째 - ActiveX를 사용하는 모든 웹컨텐츠 제공자. 非 윈도우 유저에겐 접근성 문제를, 윈도우 유저에겐 귀찮음을 제공합니다.

ActiveX가 무조건 안 좋은건 아니죠.
하지만, 악용을 하는 사람이 있고, 그 것을 막지 못한다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당연한 것인데.
오히려 '베라인’을 개발한 업체에서 한다는 소리가 한국에서 10년 이상 사용한 안정적인 보안 수준이라니…
이젠 MS를 넘어설 기세입니다.
IE9에서 ActiveX를 지원 안한다고 하면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네요.

[quote="potatochip":ff4ni9mr]IE9에서 ActiveX를 지원 안한다고 하면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네요.[/quote:ff4ni9mr]

IE9에서 지원안되면 별도 공지 띄워서 업그레이드 못하게 막을 기세 ㅎ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