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에서 Tsclient를 이용해서 Windows 서버에 접속을 할려고합니다.
접속할때 로컬드라이브를 원격 컴퓨터에 추가로 하니
현재 로컬 컴퓨터의 드라이브가 remote display에 나타납니다.
하지만 그 remote display에서 로컬 컴퓨터의 드라이브에 접근을하여
파일을 만들거나 할려고 하면 접근권한에 대한 error가 발생을합니다.
이것을 해결할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참고로 로컬 컴퓨터랑 윈도우 서버의 접속 계정이름은 둘다 동일합니다.
이건 tsclient 문제가 아니고 일반적인 윈도우 파일 공유할 때 퍼미션 세팅해주는 문제 같아요.
그쪽 컴퓨터에서 이쪽 컴퓨터 하드가 접근되서 읽기/쓰기 가능한지부터 체크해보심이
[quote="ahavatar":2rwtogt3]이건 tsclient 문제가 아니고 일반적인 윈도우 파일 공유할 때 퍼미션 세팅해주는 문제 같아요.
그쪽 컴퓨터에서 이쪽 컴퓨터 하드가 접근되서 읽기/쓰기 가능한지부터 체크해보심이[/quote:2rwtogt3][quote="bcinepara":2rwtogt3]Ubuntu에서 Tsclient를 이용해서 Windows 서버에 접속을 할려고합니다.
접속할때 로컬드라이브를 원격 컴퓨터에 추가로 하니
현재 로컬 컴퓨터의 드라이브가 remote display에 나타납니다.
하지만 그 remote display에서 로컬 컴퓨터의 드라이브에 접근을하여
파일을 만들거나 할려고 하면 접근권한에 대한 error가 발생을합니다.
이것을 해결할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참고로 로컬 컴퓨터랑 윈도우 서버의 접속 계정이름은 둘다 동일합니다.[/quote:2rwtogt3]답변 감사드립니다.^^;
제가 알고 싶은것이 그 퍼미션 설정하는건데…
local computer가 unbuntu이고 원격이 windows sever입니다.
local–>windows server–>local hdd 이런식으로
accesss를 해야 하는데 하드에 대한 퍼미션을 어떻게 설정을 할지
잘 몰라서요.^^:
혹시 알고계신다면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쌈바 (Samba) 사용법을 찾아서 읽어보세요. 이곳 게시판에도 사용법 정리한 게시물이 많고 인터넷에 구글링하면 쏟아질거에요. 매우 중요한 기능이니깐 시간 좀 투자해서 공부해둬야 합니다.
[quote="bcinepara":r7zobclw][quote="ahavatar":r7zobclw]이건 tsclient 문제가 아니고 일반적인 윈도우 파일 공유할 때 퍼미션 세팅해주는 문제 같아요.
그쪽 컴퓨터에서 이쪽 컴퓨터 하드가 접근되서 읽기/쓰기 가능한지부터 체크해보심이[/quote:r7zobclw][quote="bcinepara":r7zobclw]Ubuntu에서 Tsclient를 이용해서 Windows 서버에 접속을 할려고합니다.
접속할때 로컬드라이브를 원격 컴퓨터에 추가로 하니
현재 로컬 컴퓨터의 드라이브가 remote display에 나타납니다.
하지만 그 remote display에서 로컬 컴퓨터의 드라이브에 접근을하여
파일을 만들거나 할려고 하면 접근권한에 대한 error가 발생을합니다.
이것을 해결할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참고로 로컬 컴퓨터랑 윈도우 서버의 접속 계정이름은 둘다 동일합니다.[/quote:r7zobclw]답변 감사드립니다.^^;
제가 알고 싶은것이 그 퍼미션 설정하는건데…
local computer가 unbuntu이고 원격이 windows sever입니다.
local–>windows server–>local hdd 이런식으로
accesss를 해야 하는데 하드에 대한 퍼미션을 어떻게 설정을 할지
잘 몰라서요.^^:
혹시 알고계신다면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quote:r7zobclw]
rdesktop에서 건드릴 수 있는 영역은 해당 유저가 건드릴 수 있는 영역과 일치합니다.
접근 권한에 문제가 있다고 하시면
일반 유저가 접근하지 못하는 부분을 rdesktop으로 접근하고자 하실 경우인듯 하네요.
꼭 그런 곳을 원격에서 수정하셔야 하는지 의문입니다만
꼭 접근 불가능한 곳의 파일을 수정하셔야 한다면
ubuntu쪽의 권한을 건드리시는 것보다
차라리 sudo rdesktop을 이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어느 쪽이고 매우 위험한 방법이니 신중히 사용하시길…